검색결과 필터

[전체] “좌장사” 에 대한 검색결과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에 소속된 관직. [내용] 품계는 종6품으로 무관직이다. 우장사(右長史)와 함께 왕세손의 배종호위(陪從護衛 : 곁에서 호위함)를 담당하였다. 입직(入直: 자신의 순서에 따라 궁궐에 들어가 근무함) 1인...
  • 우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에 소속된 관직. [내용] 품계는 종6품이다. () 1인과 함께 있었다. 왕세손의 배종호위(陪從扈衛 : 곁에서 호위를 함)를 담당하였다. 입직(入直)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經書)의 강(講)에...
  • 아불화도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342(고국원왕 12). 고구려시대의 장군. [내용] 342년 전연왕(前燕王) 모용 황(慕容皝)이 예상을 뒤엎고 험한 길을 통하여 고구려를 침공해 오자, 고국원왕을 따라 이를 방어하다가 적장 () 한수(韓壽)에게 죽음을 당...
  • 박성양(朴成陽)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가운데 한 사람으로 칭하였다. 태조가 여러 차례 불렀으나 나아가지 않다가 남쪽지방에 왜구가 쳐들어왔을 때 조정에서 그를 원수(元帥)로 천거하자 명을 받고 군사를 이끌고 가서 대승을 거두었다. 그 뒤 보덕(輔德) ‧ () ‧ 우장사(右長史) 등에 임명되었고,...
    유형분류인물
  • 박성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승을 거두었다. 그 뒤 보덕(輔德)‧()‧우장사(右長史) 등에 임명되었고, 태종이 즉위하자 전라도안렴사‧함경도북영병마사를 역임하였다. 1419년(세종 1) 왜구들이 다시 출몰하자 우군절제사(右軍節制使)가 되어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이 전투에서...
    이칭별칭 금은(琴隱)| 정헌(正憲)

고서·고문서(11)

  • 38087 B038087 니포 泥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38年 7月 25日_016 ○兵批, 行判書金聖應進, 參判李泰和入直進, 參議金尙重病, 參知朴昌潤病。 兵批啓曰, 世孫衛從司吳載維, 素患狐疝之症, 漸成痼疾, 委頓床第, 萬無起動供仕之望, 呈狀乞遞, 實病如此,...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常情料之必謂大軍從北道當重北而輕南王宜率銳兵從南道擊之出其不意丸都不足取也別遣偏師出北道縱有蹉跌其腹心已潰四支無能爲也皝從之自將勁兵四萬出南道以慕容翰慕容覇爲前鋒別遣長史王寓等將兵萬五千出北道來侵王遣弟武帥精兵五萬拒北道自帥羸兵以備南道翰等先至戰皝以大衆繼之麗兵大敗韓壽斬麗將阿佛和度加【高句麗...
    서명東國兵鑑 | 저자문종(文宗, 朝鮮) 命編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者百人公以法無飲食卽日盡釋之杭州司理邵權騐囚小不如法已州罰矣轉運使又劾奏以爲不職詔公覆案公具本末獨保證之權卒得免自是它州之寃獄滯訟得平反亟決者多矣公居官勤勩不爲苟簡法或未便卽建明于朝甞言太學有嵗月之限遠方寒士或以貧或以親不能趨期者請州置學官如太學法以便科擧又言募官管押諸州綱運給以道費本欲紓牙校...
    국가중국 | 서명소위공문집 | 왕대기타  
  • 송학사문집_宋學士文集3 大明故王府參軍追封縉雲郡伯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
    殁也聞者莫不流涕郷人爲立祠宇祀之公元配同里項氏先五年卒生二子長曰楨宣武將軍僉䖏州衛指揮使司事次曰樞女一人適章存原継室滁陽楊氏前中書左司郞中元杲女弟也公旣沒之二年楨等乃刻木爲象具衣冠以塟實附于圍源之来徴濂爲之文昔濂侍上扵白虎殿忽顧問曰胡深何如人濂對曰文武才也上曰誠如卿言浙東一障朕方頼之則上所以倚...
    국가중국 | 서명송학사문집 | 왕대기타  
  • 주역대전:屯卦_효사-오효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제(晉武帝)의 사위다. 양주자사(揚州刺史)를 지냈다. 서진이 망하고 동진이 들어설 무렵 동진 정권을 지지한 덕에 정남대장군(征南大將軍)과 형주목(荊州牧)에 올라 병권을 장악했다 ‧온교(溫嶠) 온교(溫嶠): 진(晉) 나라 때 ()와 태위(太尉)를 지낸 사람....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최영진 교수)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위종사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종6품으로 무관직이다. 우장사(右長史)와 함께 왕세손의 배종호위를 담당하였다. 입직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의 강(講)과 질의응답에 참석하였다. 1448년(세종 30) 세손위종사가 세손강서원에서 분리됨에 따라 동반의 다른

  • 우장사 / 右長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손위종사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종6품이다. 1인과 함께 있었다. 왕세손의 배종호위를 담당하였다. 입직 1인이 왕세손을 위한 경서의 강에 참석하였다. 1448년(세종 30)에 세손위종사가 세손강서원에서 분리됨에 따라 동반의 다른 관원이 겸직하였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