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좌자의” 에 대한 검색결과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정4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1392년(태조 1) 고려 말의 삼사를 계승하여 영사(領事) 이하의 관원을 두면서 비롯되었으며, 영사‧판사‧좌복야‧우복야의 지휘를 받으면서 상위의 좌승‧우승, 하위의 좌우장...
  • 각답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국왕 노부 의장의 하나. 은교의(銀交椅)와 함께 쌍을 이루는 의장으로 교의에 앉을 때 사용하는 발판이다. 어답(御踏)이라고도 한다. 子前排仍用銀脚踏二前排仍用每坐改鑞所入鍮鑞三兩, (국장1834/143ㄱ07~09)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우찬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였다. 그래서 해당 조(曹)를 지휘하게 함으로써 3의정 보 일원으로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판서‧참찬 역임자가 좌찬성이 되기 위해 거치는 형식상 관직으로부터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는 요직이었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비변사 중심의 국정운영으로 의정...
  • 우참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럼 각 조마다 판서의 상위에 판조사(判曹事)를 설치해 해당 조(曹)를 지휘하게 하였다. 그래서 우참찬은 3의정 보 일원으로서, 또는 판서와 교체되는 형식상 관직으로부터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는 요직이었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비변사 중심의 국정운영으...
  • 연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데 7세기 이후의 신라에서는 반역죄의 경우에 연좌형을 과하는 점은 같으나, 연 범위에 관한 표현이 이구족‧육종족당여(戮宗族黨與)‧이일족(夷一族)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연좌될 친족의 범위가 넓어졌을 뿐만 아니라 반역자의 도당에게도 미쳤음을 알 수...

고서·고문서(9)

  • 雄俊傑더리 레로 안저난 第一난 隆準龍顔의 美鬚髧이라 漢高祖 안지시고 第二넌 龍鳳之姿의 □□之表라 唐太宗 안지시고 第三난 虎儀龍俵의 方面大耳니 宋太祖 안지시고 第四난 天威嚴肅고 身彩動人니 明太祖도 안지섯다 朝天冠絳紗袍의 白玉笏 손의 쥐고 各各...
    구분잡가
  • 招, 罪人原情。 在事變日記中 上曰, 來復, 卽益衍之子, 今當爲應。 尙魯曰, 鼎衍所親者, 詳問於此罪人, 好矣。 上問來復曰, 汝言極精詳, 故方下府施以應生之律, 勿爲隱諱而直招, 可也。 罪人原情。 在事變日記中 晩曰, 來復所告, 桃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湯를 今世의 뫼와난 듯 孔孟顔曾를 뫼셔난 듯 三千弟子를 左右의 버러난 듯 竹林七賢을 朋友로 議論니 精神이 灑落고 文腸이 이러나니 五老峰 爲筆이요 三湘水 作硯池라 筆落의 驚風雨요 詩臥의 泣鬼神을 文論으로 일을 삼고 才簡으로 집을 삼아 學海의 를 타고 □...
    구분잡가
  • 화 두고 字字이 熟讀니 千秋事蹟은 胸中의 버러 잇고 萬古人物은 眼前의 모환 듯 三皇五帝 이예 뵈옵 듯 文武周公 今世의 當온 듯 孔孟顔曾을 法밥 듯 三千弟子 左右의 버러 듯 十哲群賢은 朋友로 講論 듯 精神도 灑落고 文章이 發...
    구분잡가
  • 弟子書乙 八歲의 외와두고 前集이며 後集이며 離騷經 古文眞寶 字字이 외와며 卷卷이 화두고 春秋事蹟은 胸中의 버러잇고 萬古人物은 眼中에 歷歷며 三皇五帝乙 此時의 만나 본 듯 孔孟顔曾乙 뫼와 듯 瀛洲 十八旦子乙 同接乙 삼아두고 建安 七篇書乙 朋友...
    구분잡가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정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392년(태조 1) 고려 말의 삼사를 계승하여 영사 이하의 관원을 두면서 비롯되었으며, 영사·판사·좌복야·우복야의 지휘를 받으면서 상위의 좌승·우승, 하위의 좌우장사 및 도사와 함께 백관의 녹봉지급, 국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