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좌익찬” 에 대한 검색결과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6품 관직. [내용] 우익찬(右翊贊)과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 좌익위(左翊衛)가 변하여 된 것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世子左右司)로 고치면서 우익찬과 함께 두게 되었는데, ...
  • 우익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6품 관직. [내용] ()과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에 우익위(右翊衛)가 개칭된 것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世子左右司)로 고치면서 과 함께 두게 되었...
  • 안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흘렸다 한다. 이러한 소문이 알려져 다시 목천현감을 제수받았는데 치적이 더욱 훌륭하였다. 이에 백성들이 생사당을 세웠는데 이로 인하여 다시 발탁되어 ()을 지냈다. 지동관(枝同官)을 지냈으며 서연(書筵)에 나가서는 바르고 정중한 자세로 왕의 두터운 신...
    이칭별칭 자승(子承)
  • 최흥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진사 조종(趙0x975f)의 딸이다. [내용] 1778년(정조 2) 학행으로 천거되어 참봉ㆍ교관(敎官)이 되었고, 1782년 장악원주부ㆍ공조좌랑을 거쳐 1784년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이 되었다. 어려서부터 침식을 잊을 정도로 학문...
    이칭별칭 태초(太初), 여호(汝浩)| 백불암(百弗庵)|칠계선생(漆溪先生)
  • 사육신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묘역에 사육신의 사우(祠宇)로 민절서원(愍節書院)이 세워지고 1692년에 편액(扁額)이 하사되었다. 또, 이 때 박팽년의 7대 손인 숭고(崇古)가 육신묘를 수축하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사육신묘가 공식화되어 사람들의 존숭을 받게 되었다. 그 뒤 1782년(...
    연계항목사육신묘(死六臣墓)

고서·고문서(5)

  • 33584 B033584 남도포 南桃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高宗 12年 1月 1日_049 ○兵批, 行判書李載元進, 參判李珪永病, 參議鄭匡始病, 參知張時杓入直, 承旨缺。 以尹宗儀爲左翊衛, 李喬榮爲右翊衛, 李憲稙爲左司禦, 洪善周爲右司禦, 金永應爲, 柳敎祚爲右翊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芮利祚爲守門將, 崔聖煥爲廣梁僉使, 車友植爲所斤僉使, 崔斗南爲許沙僉使,趙完璇爲昌德將, 金萬敎爲慶熙將, 金世基爲, 趙鍾純爲左衛率, 張龍煥爲部將, 愼宅仁·任秀麟爲五衛將, 申錫晧爲德津萬戶,宋應燮爲梨津萬戶, 金仲哲爲會寧浦萬戶, 金學普爲五衛將, 趙羲周·朴宗秉爲訓鍊副正, 趙存...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將, 崔興龍·高尙鎭爲景福將, 金致植·李致淳爲慶熙將, 金永應爲右司禦, 朴齊文爲, 黃益秀·李晩瀅爲文兼, 申相珪爲御營把摠, 宋鍾五爲右侍直, 李愼爀爲守門將, 李宗懋爲慶尙中軍, 李獻宇爲加里浦僉使, 李世鉉爲咸興監牧官, 同仁權管單韓鎭奎。 再政。 以金基鉉爲忠壯將, 李希稙爲中樞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藍田鄕約에 의거하여 규약을 세우고 講學과 근검으로 저축에 힘쓰게 하며 先公庫‧恤貧庫등을 두어 생활 안정을 얻게 하였다. 명망을 일찍 들었으나 만나지 못하고 한 장의 편지도 올리지 못하여 한스럽다고 하였다. 조정에서 여러 번 벼슬을...
    분야문학 | 유형문헌
  • ○12월,임소로 돌아감.豊安君에게 편지 보냄.文蔭試에 입격하여 말 을 하사받음. 1812 (51세) ○1월,高城郡守에 제수되자 체직을 청하고,忠勳府都事에 임명. ○3월,歸覲. ○4월,厚祚‧孝祚의 관례를 치름.翊衛司에 제수. ○6월,東宮相見禮에 참석. ○8월,거실에...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6품 관직. 우익찬(右翊贊)과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 좌익위(左翊衛)가 변하여 된 것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世子左右司)로 고치면서 우익찬과 함께 두게 되었는데, 세자가 갑사 중에서 선발, 임명하거나 또는 공신 자

  • 우익찬 / 右翊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6품 관직. 과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에 우익위가 개칭된 것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로 고치면서 과 함께 두게 되었는데, 세자가 갑사 중에서 선발, 임명하거나 또는 공신자제 및 재상자제로서 마땅한 자를

  • 최흥원 / 崔興遠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05∼1786). 학행으로 천거되어 참봉이 된 후 세자익위사에 이르렀다. 가난한 백성들을 위해 규약을 세우고 선공고·휼빈고 등을 두었다. 저서로는《백불암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