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좌의정” 에 대한 검색결과 2,7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65)

사전(1,35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1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좌상(左相)‧좌정승(左政丞)‧좌규(左揆)‧좌합(左閤)‧좌대(左臺) 등으로도 불린다. 은 1400년(정종 2) 4월 고려 충렬왕 이래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가 의정부...
    이칭별칭좌상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1품 관직.
    정의조선시대 의정부의 정1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wauijeong | MR표기chwaŭij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좌정승(左政丞) 영의정(領議政), 의정부(議政府) 우의정(右議政) 좌규(左揆), 좌대(左臺), 좌상(左相), 좌합(左閤) 대신(大臣), 비변사(備邊司) 도제조(都提調), 삼공(三公), 상신(相臣), 총리대신(摠理大臣)...
    상위어영의정(領議政), 의정부(議政府) | 하위어우의정(右議政) | 동의어좌규(左揆), 좌대(左臺), 좌상(左相), 좌합(左閤) | 관련어대신(大臣), 비변사(備邊司) 도제조(都提調), 삼공(三公), 상신(相臣), 총리대신(摠理大臣)
  • 영경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삼의정이 겸직한 문반 관직. [내용] 경연관 중 가장 높은 관직이다. 대개 영의정‧‧우의정 3인이 겸하였다. 기록상 영경연사가 처음 나타나는 것은 1390년(공양왕 2) 1월에 문하시중(종1품)과 수(守)문하시중을 이에 임...
  • 삼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인 ‧우의정‧영의정을 합하여 부르던 칭호. [내용] 조선에서는 1400년(정종 2) 중국 주관(周官)의 삼공제를 참작하여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를 의정부로 개편, 의정부로 하여금 총백관(總百官)‧평서정(平庶政)‧...

고서·고문서(1,305)

  • 藥圃鄭公畫像贊【諱琢】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20 文集 卷十二 ITKC_MP_0597A_0120_060_0030 故藥圃鄭公畫像贊【諱琢】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贊頌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
    권차명文集 卷十二 | 문체雜著類|贊頌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朴淳)辭免不允批答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十三 應製文 32 賜(朴淳)辭免不允批答 13_097_029.jpg 賜(朴淳)辭免不允批答 賜……答: 초1․중국1․중공2에는 “敎左相朴淳辭免不允書”. 王若曰: 閔予小子, 遭天不弔, 惸惸在疚, 古今異制, 雖未克不言, 摠理機宜, 俾予不困于庶務,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貞愍)(安公)神道碑銘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十七 神道碑銘 16 (貞愍)(安公)神道碑銘 17_071_004.jpg 政: 초국2‧중규1‧중공2에는 뒤에 “贈諡”가 있음.(貞愍)(安公)神道碑銘 中廟戊寅之歲, 三公缺一, 博咨熙載。 于時羣賢滿朝, 淸議張甚, 奴視流俗士。 僉曰 “吏曹判書...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三月。 權轍稱病不出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三月。 權轍稱病不出 28_119_088.jpg ○三月。 權轍稱病不出, 上敦諭乃出。 初轍於經席聞白仁傑進言曰: “君相 相: 대규에는 “臣”로 되어 있는데 의매 맥락상 “臣”으로 하는 것이 더 적합할 듯함.相和如父子兄弟...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閏四月。 盧守愼自春辭疾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 經筵日記三 56 ○閏四月。 盧守愼自春辭疾 30_189_088.jpg ○閏四月。 盧守愼自春辭疾, 請免章十三上, 上終不允, 乃出仕。 上引見賜酒。 時領、左相雖人望, 而不能有爲, 只隨波而已。 變異疊現, 自上別無消弭之策, 而遽請復正殿, 識者...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구술자료(1)

  • 영의정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0-08-08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군 일반성면 | 제보자조채제

신문·잡지(1)

  • 112 친일파열전(9) 반독립 정치모략과 친일파-일제 문화운동에 동원된 거물급 민족주의자 역사연구가 임종국 116 20일 집무로 끝난 우정국장 홍영식-삼일천하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89

주제어사전(118)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1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은 1400년(정종 2) 4월 고려 충렬왕 이래 도평의사사가 의정부로 개편되면서 설치되었다. 1401년(태종 1) 7월 비로소 문하부를 혁파하고 의정부적인 것으로 개칭, 의정부좌정승으로 고쳤다. 1414년 6

  • 김창집 / 金昌集 [종교·철학/유학]

    1648(인조 26)∼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상헌 증손, 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광찬, 아버지는 영의정 수항, 어머니는 호조좌랑 나성두의 딸이다. 창협·창흡의 형이다. 이른바 노론 4대신으로 불린다. 정언, 지돈녕부사, 우의정, , 영

  • 이익명 / 李益命 [정치·법제/법제·행정]

    노론 4대신 중 한 명이었던 () 이이명(李頤命)이다.

  • 이존수 / 李存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2∼1829). 경상도관찰사 때 흉년을 구제하여 생사당이 세워졌고, 함경감사 때 조적을 바로잡는 오조변통책을 강구하였다. 우의정과 때 시정의 폐단 척결을 과감히 주장했으며, 논주함에 직언으로 하며 아첨하지 않았다. 재직 중 죽었

  • 권돈인 / 權敦仁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서화가(1783∼1859). 동지사의 서장관과 진하 겸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이조판서와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철종의 증조인 진종의 조천례에 관한 주청으로 인해 순흥으로 유배되었다. 서화에 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