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좌윤”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8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64)
사전(471)
- 좌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발해시대의 관직. [내용] 모든 정령(政令)의 집행을 관장하는 최고의 행정 서무기구인 정당성(政堂省)에 소속되었다. 정당성에는 장관인 대내상(大內相) 아래에 좌사정(左司政)ㆍ우사정(右司政)과 좌윤ㆍ우윤이 있고, 그 아래에 직접적으로 업무...
- 좌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마진국(摩震國)의 관계. [내용] 좌윤(左尹)이라고도 표기되어 있다. 904년 궁예(弓裔)가 국호를 마진, 연호를 무태(武泰)라 칭하고 광평성(廣評省) 등의 관부를 설치할 때 이루어진 관인의 9품계 가운데 제5위에 해당되었다. ...이칭별칭좌윤(左尹)
- 좌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전기의 관계. [내용] 좌윤(左尹)이라고도 표기되어 있다. 왕건(王建)이 고려를 창건한 직후 신라의 옛 위계사용을 벗어나, 태봉(泰封)의 관계를 이어받아 919년(태조 2)부터 사용하였다. 이는 고려 초기의 독자적인 공적 질...이칭별칭좌윤(左尹)
- 좌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의 향직(鄕職). [내용] 좌윤(左尹)이라고도 한다. 995년(성종 14) 고려초의 관계가 중국의 문산계(文散階)로 대치되자 관계는 향직으로 대치되었다. 향직 16계 가운데 6품의 하위에 속하여 서열은 11위였다. 국가왕실...이칭별칭좌윤(左尹)
- 좌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한성부의 종2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1469년(예종 1) 한성부에 설치되었다. 즉, 한성부에는 종2품의 윤(尹)이 2인 있었는데, 1469년의 관제개혁 때 좌윤 1인, 우윤 1인으로 개칭하였다. 그 뒤 그대로 존속...
고서·고문서(559)
- 上李左尹【秀夏】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80 文集 卷十八 ITKC_MP_0597A_0180_030_0670 上李左尹【秀夏】 정약용(丁若鏞) 書簡類|書簡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권차명文集 卷十八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李左尹【命俊】輓詞【代人作】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20 詩集 卷二 ITKC_MP_0597A_0020_010_1100 李左尹【命俊】輓詞【代人作】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권차명詩集 卷二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京畿道庄土文績_제63책 : 京畿道安山郡仍火面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16. 乾隆三十三年-丁亥-八月日李左尹宅奴千儀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6478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63책 : 京畿道安山郡仍火面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63-016 16. 乾隆三十三年-丁亥-八月日李左尹宅奴千儀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46.2x34.9cm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41책 : 京畿道安山郡草山面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119. 乾隆二十二年-丁丑-十二月日李左尹宅奴千儀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4558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41책 : 京畿道安山郡草山面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41-119 119. 乾隆二十二年-丁丑-十二月日李左尹宅奴千儀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119-125 53.4x44.1cm 한지, 관인 무...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13책 : 京畿道仁川郡田反面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7. 乾隆二十三年-戊寅-八月十二日李左尹宅奴天儀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7035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13책 : 京畿道仁川郡田反面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13-007 7. 乾隆二十三年-戊寅-八月十二日李左尹宅奴天儀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43.4x54.5cm 한지, 관인 무, 좌촌 1장,...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기타자료(34)
- 발해 사신을 영접, 위로 안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교노사(郊勞使)는 함께 발해국 입근대사(入覲大使) 정당성좌윤(政堂省左允) 정4품 위군상진장군사자금어대(慰軍上鎭將軍賜紫金魚袋) 양성규(楊成規)와 부사 우맹분위소장(右猛賁衛少將) 정5품 사자금어대(賜紫金魚袋) 이흥성(李興晟) 등 20명을 이끌어 서울에 들어와 홍로관(鴻臚館...대표표제어발해 사신을 영접, 위로 안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72년(壬辰/신라 경문왕 12/발해 현석 3/唐 咸通 13/日本 貞觀 14)
- 존문사 겸 영객사 가하국사 등이 발해의 계첩과 신문을 올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바다가 가로놓여 있어 직접 찾아뵙지 못하고 있습니다. 저의 뜻이 사모함에 치달음을 어찌할 수 없어 삼가 정당성 좌윤(左允) 오효신(烏孝愼)을 보내어 받들어 계를 올립니다. 드릴 말씀 많으나 다 펴지 못하고 삼가 계를 올립니다.”라고 하였다. 중대성 발해 3성(省)의 하...대표표제어존문사 겸 영객사 가하국사 등이 발해의 계첩과 신문을 올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59년(己卯/신라 헌안왕 3/발해 虔晃 2/唐 宣宗 大中 13/日本 文徳天皇 天安 3, 清和天皇 貞觀 1)
- 발해가 사신을 일본에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右司政)·좌윤(左允)·우윤(右允)이 있어 6부를 분장하였다(崔根泳 외, 1994, 『日本六國史 韓國關係記事(譯註)』,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국사편찬위원회, 2004, 『中國正史朝鮮傳 譯註(二)』, 신서원, 519쪽). 좌윤(左尹) 왕문구(王文矩) 등을 보내어 계를 갖...대표표제어발해가 사신을 일본에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21년(辛丑/신라 헌덕왕 13/발해 宣王 建興 4/唐 穆宗 長慶 1/日本 嵯峨天皇 弘仁 12)
- 존문사 겸 영객사 가하국사 등이 발해의 계첩과 신문을 올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여 있어 직접 찾아뵙지 못하고 있습니다. 저의 뜻이 사모함에 치달음을 어찌할 수 없어 삼가 정당성 좌윤(左允) 도효신(烏孝愼)을 보내어 받들어 계를 올립니다. 드릴 말씀 많으나 다 펴지 못하고 삼가 계를 올립니다”라고 하였다. 중대성 첩에 이르되, “첩하여, 처분을 받...대표표제어존문사 겸 영객사 가하국사 등이 발해의 계첩과 신문을 올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59년(己卯/신라 헌안왕 3/발해 건황 2/唐 大中 13/日本 天安 3, 貞觀 1)
- 발해 사신을 영접, 위로 안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의 상서성(尙書省)에 해당한다. 중대성(中臺省)·선조성(宣詔省)과 함께 발해의 삼성(三省)을 구성하였다. 장관은 대내상(大內相)이며 그 아래에 좌사정(左司政)과 우사정(右司政)·좌윤(左允)·우윤(右允)이 있어 6부를 분장하였다.(崔根泳 외, 1994, 『日本六國史 韓國...대표표제어발해 사신을 영접, 위로 안치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72년(壬辰/신라 경문왕 12/발해 玄錫 2/唐 懿宗 咸通 13/日本 清和天皇 貞觀 14)
주제어사전(22)
-
좌윤 / 左尹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성부의 종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69년(예종 1) 한성부에 설치되었다. 즉, 한성부에는 종2품의 윤(尹)이 2인 있었는데, 1469년의 관제개혁 때 좌윤 1인, 우윤 1인으로 개칭하였다. 그 뒤 그대로 존속되다가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
-
송재경 / 宋載經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8∼1793). 음보로 벼슬길에 올랐으나 1764년(영조 40)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이조참판·한성부좌윤·강화유수 등 내외직을 두루 거쳤다. 사신으로 임명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
엄정구 / 嚴鼎耉 [종교·철학/유학]
1605(선조 38)∼1670(현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서 증손, 할아버지는 인달, 아버지는 황, 어머니는 이길의 딸이다. 1630년(인조 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충청도염문사, 평안도도사, 이조좌랑, 한성부좌윤 등을 역임하였다.
-
정내성 / 鄭來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4∼1835). 1785년 전라도도사에 제수되었으나 어버이가 연로하였으므로 사양 하였다. 그 뒤 다시 장악원주부·종묘서령, 병조참판·한성부좌윤 등의 벼슬을 역임 하였다.
-
조적명 / 趙迪命 [종교·철학/유학]
1865(숙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형 증손, 할아버지는 상변, 아버지는 유수, 어머니는 안평대군의 딸이다. 1721년(경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대사간, 한성부좌윤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