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좌시직” 에 대한 검색결과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8품 관직. [내용] 우시직(右侍直) 1인과 함께 있었다. 왕세자를 배호(陪護)하면서 사만(仕滿) 2년 뒤에 참상(參上)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처음에는 삭수가 없어서 폐단이 되자, 이에 1년을 지낸 ...
  • 우시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8품 관직. [내용] ()과 함께 있었다. 왕세자를 배종(陪從)하면서 사만(仕滿) 2년 후 참상(參上)이 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그러나 처음에는 재임연한에 따른 승급기간이 없어서 문제...
  • 통사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록(司錄)‧설경(說經)‧저작(著作)‧대교(待敎)‧학정(學正)‧부직장(副直長)‧부검‧()‧우시직‧사맹(司猛)‧수문장 등이 있다. 이들에게는 1438년에 정비된 녹과(祿科)에 의거하여 실직(實職)에 따라 1년에 모두 네 차례에 걸쳐 중미(中米 : 품질이...
  • 승의부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우시직‧사맹‧수문장 등이 있다. →무산계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초기(朝鮮初期) 양반(兩班) 연구(硏究)』(이성무, 일조각, 1980)
  • 유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15(태종 15)∼1481(성종12). 조선 전기의 무신. [내용]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노택(魯澤). 아버지는 지중추원사 은(殷)이다. 1435년(세종 17)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이 되고 뒤에 내금위(內禁衛)에 보...
    이칭별칭 노택(魯澤)| 안양(安襄)|문성군(文城君)

고서·고문서(2)

  • 李淵翼爲左衛率, 朴世秉爲右衛率, 金應漢爲左副率, 鄭元世爲右副率, 金炳休爲, 尹致祖爲右侍直, 金五鉉爲左洗馬, 徐公淳爲右洗馬, 訓鍊判官加設單李載旭, 訓鍊正申樂熙陞敍, 依定式加資, 南桃浦萬戶金明河施以加資之典事, 兵曹覆啓判下, 前平安兵虞候沈宜稷今降禦侮。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水山別將, 朴來敏爲臨溜僉使, 鄭洛信爲牛峴僉使, 李時中爲五老梁萬戶, 尹道俊爲薺浦萬戶, 金元奎爲林土別將, 李容德爲, 安世烈爲安骨萬戶, 金達寬爲木浦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8품 관직. 우시직(右侍直) 1인과 함께 있었다. 왕세자를 배호하면서 사만(仕滿) 2년 뒤에 참상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처음에는 삭수가 없어서 폐단이 되자, 이에 1년을 지낸 뒤 부수(副率)가 되도록 하고, 다시 1년 뒤에 비로소 승륙하여

  • 승의부위 / 承義副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8품 무신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정하여졌고, 그뒤 ≪경국대전≫에 그대로 법제화되었다. 정8품 관직으로는 사록·설경·저작·대교·학정·부직장·부검··우시직·사맹·수문장 등이 있다.

  • 우시직 / 右侍直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8품 관직. 과 함께 있었다. 왕세자를 배종하면서 사만 2년 후 참상이 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그러나 처음에는 재임연한에 따른 승급기간이 없어서 폐단이 되자, 이에 1년을 지낸 뒤 부수가 되고 다시 1년을 보내면 6품으로 승품하여

  • 통사랑 / 通仕郎 [정치·법제/법제·행정]

    ·우시직·사맹·수문장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