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좌승지” 에 대한 검색결과 1,2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22)

사전(64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와 승정원(承政院)으로 나누어지면서 승정원에 소속되었고, 다음해 승정원이 승추부(承樞府)로 합쳐지면서 좌대언으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1433년(세종 15)에 다시 로 고쳐져『경국대전』의 승정원 관제에 기록되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승정원의 정3품 당상관직. [내용] 1392년(태조 1) 7월의 태조신반관제에 의하면 고려의 제도를 이어받아 중추원의 승지방에 도승지‧ 등 5승지를 설관하여 왕명의 출납을 맡았다. 1400년(정종 2)
  • 좌승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때에도 아무런 변동없이 그대로 존속하였다. 그러나 1275년(충렬왕 1)에 원의 간섭에 의하여 추밀원이 밀직사로 격하되자, 그 다음해에 로 바뀌었으며, 1310년(충선왕 2)에 다시 좌대언(左代言)으로 고쳐졌다. 1356년(공민왕 5) 반원정책...
  • 좌대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 밀직사(密直司)의 정3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 고려 전기의 좌승선이 를 거쳐 1310년(충선왕 2)에 개칭된 것이다. 그 뒤 1356년(공민왕 5) 밀직사가 추밀원으로 복구됨에 따라 좌승선으로 환원되었으며, 13...
  • 정숙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제안하였다. 우부승지ㆍ 등을 지내고 동지사(冬至使)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다시 이듬해 ㆍ병조참지를 거쳐 1599년에 ㆍ병조참의ㆍ형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선조실록(宣祖實錄)』
    이칭별칭 월호(月湖)| 경선(景善)

고서·고문서(579)

  • 宣祖가 로 하여금 司諫院正言 成安義에게 보낸 有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525 0254_01 宣祖가 로 하여금 司諫院正言 成安義에게 보낸 有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書, 有旨, 成安義 한자 고문서 GS047.JPG 宣祖가 로 하여금 司...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宣祖가 로 하여금 司諫院正言 成安義에게 보낸 有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526 0254_02 宣祖가 로 하여금 司諫院正言 成安義에게 보낸 有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書, 有旨, 成安義 한자 고문서 GS047-1.JPG 성이성 종가 천주교...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仁祖가 로 하여금 濟州牧使 成安義에게 보낸 有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534 0258_01 仁祖가 로 하여금 濟州牧使 成安義에게 보낸 有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書, 有旨, 成安義 한자 고문서 GS051.JPG 仁祖가 로 하여금 濟州...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仁祖가 로 하여금 濟州牧使 成安義에게 보낸 有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535 0258_02 仁祖가 로 하여금 濟州牧使 成安義에게 보낸 有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성이성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敎書, 有旨, 成安義 한자 고문서 GS051-1.JPG 성이성 종가 천주교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천주교 대구 대교구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鄭宜藩을 贈 通政大夫 承政院 兼 經筵參贊官으로 임명하는 교지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664 1466_01 鄭宜藩을 贈 通政大夫 承政院 兼 經筵參贊官으로 임명하는 교지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HJ316.JPG 鄭宜藩을 贈 通政大夫 承政院...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38)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정원의 정3품 당상관직. 1392년(태조 1) 7월의 태조신반관제때 중추원의 승지방에 도승지· 등 5승지를 설관하여 왕명출납을 맡았다. 1400년(정종 2) 4월에 도평의사사를 의정부, 중추원을 의흥삼군부로 개편할 때 승지방이 승정원으로 독립하여

  • 승지 / 承旨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승정원의 정3품 당상관. 도승지··우승지·좌부승지·우부승지·동부승지 등 6승지를 말하며,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였다.

  • 어진익 / 魚震翼 [종교·철학/유학]

    1625(인조 3)∼1684(숙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운해 증손, 할아버지는 몽린, 아버지는 한명, 어머니는 권숙지의 딸이다. 여주목사, 충청도관찰사, 병조참의, , 강원도관찰사, 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 이광하 / 李光夏 [종교·철학/유학]

    1643(인조 21)∼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경헌, 아버지는 합, 어머니는 민성휘의 딸이다. 1687년(숙종 13)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 함경도관찰사, 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하였다.

  • 이도익 / 李道翼 [종교·철학/유학]

    1692년(숙종 18)∼1762년(영조 38). 부는 이식이다. 음보로 삼가현감을 거쳐, 관직이 주부에 이르렀다. 문명이 높았으며, 에 추증되었다. 문집으로《희구재유고》가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