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좌수영어방놀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
사전(12)
- 좌수영어방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좌수영어방놀이 경상좌도의 수군절도영이 있던 오늘날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중요무형문화재 제62호. 좌수영어방놀이 / 칭칭이소리 ...연계항목좌수영어방놀이(左水營漁坊놀이)
- 좌수영어방놀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요무형문화재 제62호. 경상좌도의 수군절도영이 있던 오늘날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전승되는 민속놀이.정의중요무형문화재 제62호. 경상좌도의 수군절도영이 있던 오늘날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전승되는 민속놀이.[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wasuyeong Eobang Nori | MR표기Chwasuyŏng Ŏbang Nor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쾌지나칭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떨고 ‘레’에서 ‘도’로 꺾는 시김새를 가지고 있다. 매우 경쾌하고 씩씩한 느낌을 주는데, 흔히 춤추고 돌아가며 부르는 경우가 많다.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좌수영어방놀이」나 「예천통명농요」에도 이 소리의 원형이 불린다. 『한국가창대...이칭별칭칭칭이소리|치기나칭칭
- 담비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수영야류․좌수영어방놀이》, 청송인쇄사, 2004. 정상박, 《수영야류》, 화산문화, 2001. 하을란, 〈한국 동물가장가면희의 역사와 연희양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사진 및 도판】 도판 1. 수영야류의 담비. 도판 1. 수영야류 담비.jpg...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팔선녀춤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팔을 다른 쪽 팔의 겨드랑이 쪽으로 감아주는 동작이다. 배김사위는 평사위로 앞으로 걸어가다가 몸을 돌려 양팔을 앞으로 내렸다 다시 몸을 돌려 양팔을 위로 올려 맺어주는 동작이다. (도판 1) 【참고문헌】 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 《수영야류․좌수영어방놀이》, 청송인쇄...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구술자료(7)
- 경남 어요 현장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경남 어요 현장녹음 ② 예술·체육 작품 현대 F-264 969 부산 현장녹음자료 1) 본 음원은 중요무형문화재 제62호 좌수영어방놀이에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병재
- 경남 어요 현장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경남 어요 현장녹음 ② 예술·체육 작품 현대 F-264 969 부산 현장녹음자료 1) 본 음원은 중요무형문화재 제62호 좌수영어방놀이에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장종천
- 경남 어요 현장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경남 어요 현장녹음 ② 예술·체육 작품 현대 F-264 969 부산 현장녹음자료 1) 본 음원은 중요무형문화재 제62호 좌수영어방놀이에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최대윤
- 경남 어요 현장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경남 어요 현장녹음 ② 예술·체육 작품 현대 F-264 969 부산 현장녹음자료 1) 본 음원은 중요무형문화재 제62호 좌수영어방놀이에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덕문
- 경남 어요 현장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경남 어요 현장녹음 ② 예술·체육 작품 현대 F-264 969 부산 현장녹음자료 1) 본 음원은 중요무형문화재 제62호 좌수영어방놀이에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설정규
주제어사전(1)
-
좌수영어방놀이 / 左水營漁坊─ [생활/민속]
경상좌도의 수군절도영(水軍節度營)이 있던 오늘날의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중요무형문화재 제62호. 놀이의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후리질을 하기 위하여 줄 틀로 줄을 꼬며 부르는 <내왕소리>, 둘째 그물을 치고 나서 이것을 끌어당길 때 부르는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