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좌사어” 에 대한 검색결과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종5품 관직. [내용] 우사어(右司禦)와 함께 왕세자를 호위, 시종하는 임무를 띠었다. 1418년(태종 18) 세자관속(世子官屬)에서 익위사를 분리, 설치하면서 는 좌익위로 개칭되었다. 특히...
  • 우사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종5품 관직. [내용] ()와 함께 왕세자를 호위, 시종하는 임무를 띠었다. 1418년(태종 18)에 세자관속(世子官屬)에서 익위사가 분리, 설치되면서 우사어는 우익위로 개칭되었다. 특...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동궁(東宮)의 관직. [내용] 동궁의 호위에 관한 일을 맡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동궁내의 수부(率府)ㆍ우사어수부ㆍ좌감문수부(左監門率府)ㆍ우감문수부에 소속되어 있었다. 『고려사(高麗史...
  • 좌익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5품 관직. [내용] 우익위(右翊衛)와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 ()가 변하여 된 것으로, 우익위와 함께 왕세자를 위한 경서(經書) 강독의 질의응답에 참가하는 만큼 그 선발이 엄...
  • 이명신(李明晨)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1431년(세종 13)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를 겸임하였다. 1432년(세종 14) 통례문(通禮門) 지사(知事)가 된 후 곧 이어 정3품하 통훈대부(通訓大夫)로 승품되고, 선공감 판사(判事)에 임명되었다. 1433년(세종 15) 정3품상 통정대부(通政大...

고서·고문서(5)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종5품 관직. 우사어(右司禦)와 함께 왕세자를 호위, 시종하는 임무를 띠었다. 1418년(태종 18) 세자관속에서 익위사를 분리, 설치하면서 는 좌익위로 개칭되었다. 특히 왕세자와 사·부·빈객 상견례 등에서 우사어와 함께 좌우로 나뉘어 익

  • 좌익위 / 左翊衛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5품 관직. 우익위(右翊衛)와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 ()가 변하여 된 것으로, 우익위와 함께 왕세자를 위한 경서강독의 질의응답에 참가하는 만큼 그 선발이 엄격하였다. 강연 외에 담제의례, 왕세자의 사·부·빈객 상견례

  • 우사어 / 右司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 종5품 관직. 와 함께 왕세자를 호위, 시종하는 임무를 띠었다. 1418년(태종 18)에 세자관속에서 익위사가 분리, 설치되면서 우사어는 우익위로 개칭되었다. 특히, 왕세자와 사(師)·부(傅)·빈객(賓客) 상견례 등에서는 와 좌우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