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좌사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5)
- 좌사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종5품 관직. [내용] 우사어(右司禦)와 함께 왕세자를 호위, 시종하는 임무를 띠었다. 1418년(태종 18) 세자관속(世子官屬)에서 익위사를 분리, 설치하면서 좌사어는 좌익위로 개칭되었다. 특히...
- 우사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종5품 관직. [내용] 좌사어(左司禦)와 함께 왕세자를 호위, 시종하는 임무를 띠었다. 1418년(태종 18)에 세자관속(世子官屬)에서 익위사가 분리, 설치되면서 우사어는 우익위로 개칭되었다. 특...
- 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동궁(東宮)의 관직. [내용] 동궁의 호위에 관한 일을 맡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동궁내의 좌사어수부(左司禦率府)ㆍ우사어수부ㆍ좌감문수부(左監門率府)ㆍ우감문수부에 소속되어 있었다. 『고려사(高麗史...
- 좌익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5품 관직. [내용] 우익위(右翊衛)와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 좌사어(左司禦)가 변하여 된 것으로, 우익위와 함께 왕세자를 위한 경서(經書) 강독의 질의응답에 참가하는 만큼 그 선발이 엄...
- 이명신(李明晨)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1431년(세종 13)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좌사어(左司禦)를 겸임하였다. 1432년(세종 14) 통례문(通禮門) 지사(知事)가 된 후 곧 이어 정3품하 통훈대부(通訓大夫)로 승품되고, 선공감 판사(判事)에 임명되었다. 1433년(세종 15) 정3품상 통정대부(通政大...
고서·고문서(5)
- 송사_宋史487 列傳246 外國3 高麗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0359 중국 정사 송사 열전 076 경종(景宗) 1 976 宋史487 列傳246 外國3 高麗 太宗即位 加檢校太傅 改大義軍為大順軍 遣左司禦副率于延超 司農寺丞徐昭文使其國 사신왕래, 조공책봉, 5대ㆍ송, 5대ㆍ송, 太宗即位年은...국가중국 | 서명송사 | 왕대경종(景宗) 1
- 고려도경_開寶九年 伷立 遣使請命 封高麗國王 太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5342 중국 정서 고려도경 王氏 009 광종(光宗) 26 975 開寶九年 伷立 遣使請命 封高麗國王 太宗皇帝卽位 改封大順軍使 조공책봉, 宋에서 左司禦副率 于延超 등을 보내 景宗을 책봉한 내용이 『고려사』 세가 경종 원년(97...국가중국 | 서명고려도경 | 왕대광종(光宗) 26
- 속자치통감장편_續資治通鑑長編17 太祖 開寶九年十一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5895 중국 사서 속자치통감장편 006 경종(景宗) 1 976 11 30 續資治通鑑長編17 太祖 開寶九年十一月 壬辰 遣左司禦副率于延超司農寺丞徐昭文使高麗 [昭文 未見] 5대ㆍ송, 조공책봉, 宋 太祖 開寶九年은 고려국가중국 | 서명속자치통감장편 | 왕대경종(景宗) 1
- 남도포(南桃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3584 B033584 남도포 南桃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高宗 12年 1月 1日_049 ○兵批, 行判書李載元進, 參判李珪永病, 參議鄭匡始病, 參知張時杓入直, 承旨缺。 以尹宗儀爲左翊衛, 李喬榮爲右翊衛, 李憲稙爲左司禦, 洪善周爲右司禦, 金永應爲左翊贊, 柳敎祚爲右翊贊,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范純仁【忠宣公】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差夫雖曰萬錢然隨身者不過三千又得一丁就食於官今免夫所出七千盡歸於官矣民又儼然坐食於家蓋力者身之所出錢者非民所有今捨其所有而征其所無民安得不病此一事富民不親執役者以爲便窮民有力而無錢者非所便也又况差夫必計其的確合用之數縦使所差倍其所役則力愈衆民愈不勞矣今若出錢以免夫雖三分之二亦可以取十分免夫錢其弊無由...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3)
-
좌사어 / 左司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종5품 관직. 우사어(右司禦)와 함께 왕세자를 호위, 시종하는 임무를 띠었다. 1418년(태종 18) 세자관속에서 익위사를 분리, 설치하면서 좌사어는 좌익위로 개칭되었다. 특히 왕세자와 사·부·빈객 상견례 등에서 우사어와 함께 좌우로 나뉘어 익
-
좌익위 / 左翊衛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5품 관직. 우익위(右翊衛)와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 좌사어(左司禦)가 변하여 된 것으로, 우익위와 함께 왕세자를 위한 경서강독의 질의응답에 참가하는 만큼 그 선발이 엄격하였다. 강연 외에 담제의례, 왕세자의 사·부·빈객 상견례
-
우사어 / 右司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 종5품 관직. 좌사어와 함께 왕세자를 호위, 시종하는 임무를 띠었다. 1418년(태종 18)에 세자관속에서 익위사가 분리, 설치되면서 우사어는 우익위로 개칭되었다. 특히, 왕세자와 사(師)·부(傅)·빈객(賓客) 상견례 등에서는 좌사어와 좌우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