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좌복야” 에 대한 검색결과 3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1)

사전(19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상서성(尙書省)의 정2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상서’의 줄인 말이다. 995년(성종 14)에 상서성이 설치되면서 처음 두어진 것으로 보이며, 문종 때 품계와 정원이 정하여졌다. 실무직이 아닌 경우가 많...
    이칭별칭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 양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書兼中樞院使)가 되었다. 1020년에는 예부상서로서 거란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1027년()에 올랐다. 1031년에 로 있으면서 동경유수사(東京留守使)로 나아갔으며, 그 뒤 로 치사(致仕)하였다.
  • 우사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이 각각 1인씩 있었다. 우사정은 상서성의 차관인 ()에 비견될 수 있다. 우사정은 중대성(中臺省)의 차관인 우평장사(右平章事)보다 그 지위가 하위였다. 중대성은 당나라의 중서성(中書省)에 해당한다. 정당성의 좌사정은 당나라의 문하성(門下省)과 같은...
  • 여원 1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조칠현의 장인으로, 이다. 조칠현에게 구혼하여 딸과 정혼시킨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조영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귀동의 장인으로 이다. 승상이 된 귀동의 인품을 보고 청혼하여 사위로 맞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94)

  • 14997 B014997 강화도 江華島 도서 인천광역시 『高麗史』 31卷, 世家31 忠烈王4 忠烈王[甲午]二十年 十二月 庚寅 元遣中書舍人愛阿赤來先是爲征日本運江南米十萬石在江華島今遼瀋告飢帝詔以五萬石賑之⁄以朴義爲西北面都指揮使
    출처전거『高麗史』 31卷, 世家31 忠烈王4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035 B001035 가량잉 加良仍 정치행정 高麗史節要 卷之六 宣宗 七年 春正月 春正月 參知政事崔思諒 以疾乞退 制以致仕例 給半俸 有司 駁奏人臣 年至七十 而致仕者 給半祿 所以養國老也 未聞 病廢而家食者 王 曰 思諒 累代元臣 文章器識 有異常倫 豈拘恒例 竟不從乇羅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六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237 중국 총서 요사휘편 104 현종(顯宗) 15 1024 10 2 遼史彙編4 補遼史交聘表2 太平四年甲子[天聖二年] 遣檢校李正倫如高麗 以十月丙辰至 사신왕래, 거란, 본문의 太平四年甲子은 요 聖宗 太平 4년(1...
    국가중국 | 서명요사휘편 | 왕대현종(顯宗)  15
  • 3288 중국 총서 요사휘편 155 정종(靖宗) 9 1043 11 14 遼史彙編4 補遼史交聘表3 重熙十二年未[慶曆三年] 東京遣回禮使檢校張昌齡如高麗 以十一月戊寅至 사신왕래, 거란, 본문의 重熙十二年未는 요 興宗 重...
    국가중국 | 서명요사휘편 | 왕대정종(靖宗)  9
  • 14609 B014609 강도 江都 정치행정 高麗墓誌銘集成 墓誌銘 金台鉉 墓誌銘 文正公台鉉墓誌銘並序 公諱台鉉字不器金氏本光山望族自國初入仕代不絶人大王父神虎衛中郞將諱光世贈尙書王父金吾衛大將軍諱鏡亮贈門下平章事父監察御史諱須累贈門下侍中⁄侍中嘗於乙卯歲登科質貌偉麗膽畧過人從▣中外...
    출처전거高麗墓誌銘集成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상서성의 정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995년(성종 14)에 상서성이 설치되면서 처음 두었고 문종 때 품계와 정원이 정하여졌다. 우복야 및 정3품의 6부 상서와 한묶음이 되어 8좌(座)라 통칭되었다. 1275년(충렬왕 1) 상서성의 혁파와 함께 폐지, 1

  • 우자의 / 右諮議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정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392년(태조 1)에 고려의 삼사를 계승하여 영사 이하의 관원을 편제하면서 비롯되었다. 영사·판사··우복야 등의 지휘를 받으면서 상위의 좌우승, 하위의 좌·우장사 및 도사와 함께 백관의 녹봉지급, 국용

  • 좌자의 / 左諮議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정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392년(태조 1) 고려 말의 삼사를 계승하여 영사 이하의 관원을 두면서 비롯되었으며, 영사·판사··우복야의 지휘를 받으면서 상위의 좌승·우승, 하위의 좌우장사 및 도사와 함께 백관의 녹봉지급, 국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