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좌보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좌보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중기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정6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 고려 전기의 좌보궐(左補闕)이 예종 때 좌사간(左司諫)으로 고쳐졌다가 뒤에 다시 개칭된 것이다. 중서문하성의 낭사(郎舍)를 구성하는 간관으로서 간쟁(諫諍)ㆍ봉...
- 좌보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간(左司諫)으로 고쳐 부르고 정6품으로 하였으며, 뒤에 다시 좌보간(左補諫)으로 개칭하였다. 그러다가 1298년(충렬왕 24)에 이르러 다시 좌사간으로 바꾸어 부르고, 1308년에는 좌헌납(左獻納)이라 하고 품계를 정5품으로 정하였다. 그 뒤 여러 차례에 걸쳐...
- 좌사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간(左補諫)으로 개칭되었으나 1298년(충렬왕 24)에 다시 좌사간으로 복구되었으며, 1308년에는 좌헌납(左獻納)으로 고쳐졌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또 다시 좌사간으로 환원되었는데, 이때는 품계가 종5품으로 높아졌다. 이후 1361년 정5품의 좌헌납으로...
주제어사전(1)
-
좌보간 / 左補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중기 중서문하성의 정6품 관직. 정원은 1인. 고려 전기의 좌보궐(左補闕)이 예종 때 좌사간(左司諫)으로 고쳐졌다가 뒤에 다시 개칭된 것이다. 중서문하성의 낭사를 구성하는 간관으로서 간쟁·봉박 등에 참여하였다. 1298년(충렬왕 24) 다시 좌사간으로 개칭되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