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좌병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5)
사전(24)
- 좌병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415년에 처음으로 경주에 좌병영을 설치하였다가 1417년에 울주(蔚州)로 옮기었다. 이어 경상 좌‧우도의 분합(分合) 과정에 의하여 1426년(세종 8)에 우병영과 합하여졌고, 1436년에 다시 좌도와 우도의 행정구획체제로 굳어지면서 1437년에 좌병영으로 분리되어...
- 영좌병영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연대ㆍ작자 미상의 병영지도. [내용] 채색그림지도. 제작연대의 기록은 없으나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로 추정된다. 지도의 크기는 세로 106.8㎝, 가로 61.4㎝이다. 당시 경상도 울산에 있었던 좌도병마절도사영(左道兵馬節度使營)의 영...
- 울산(蔚山)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울산군(蔚山郡), 좌병영(左兵營) 사전 한글 박혜민유형분류지명
- 노성득(盧性得)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1924 인물 노성득(盧性得) 노성득 盧性得 ? ? 조선시대 후기의 군졸(軍卒). 좌병영(左兵營) 거주. 1811년 정사 김이교(金履喬)・부사 이면구(李勉求) 등 두 사신이 도쿠가와 이에나리(德川家齊)의 습직(襲職)을...유형분류인물
- 최한구(崔汗九)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8541 인물 최한구(崔汗九) 최한구 崔汗九 ? ? 조선 후기의 군졸(軍卒). 경상좌병영(慶尙左兵營)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176)
- 1785년 경상좌병영(慶尙左兵營)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완문(完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이 완문은 1785년(정조 9) 2월 22일 좌병영의 병마절도사가 승청에 발급한 것이다. 이 완문이 옥산서원에 보관된 경위에 대해서 알 수는 없지만 같은 해 2월 10일 옥산서원 사림이 속사인 정혜사에 대한 영청 사안에서의 삭제와 향후 영원히 침해하지 말도록 완문을내용분류경제-세금-완문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완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1785년 경상좌병영(慶尙左兵營)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완문(完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이 완문은 1785년(정조 9) 2월 22일 좌병영의 병마절도사가 정혜사에 발급한 것이다. 이 완문이 옥산서원에 보관된 경위에 대해서 알 수는 없지만 같은 해 2월 10일 옥산서원 사림이 속사인 정혜사에 대한 영청 사안에서의 삭제와 향후 영원히 침해하지 말도록 완문을...내용분류경제-세금-완문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완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16 第十六統統首慶山案付左兵營步兵金彔生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84년_내상면(內廂面) 1684년 내상면(內廂面) 穴巖里 16 第十六統統首慶山案付左兵營步兵金彔生 第一戶慶山案付左兵營步兵金彔生年伍拾壹甲戌{本}--父正兵龍己祖正兵云良曾祖正兵戒文外祖正兵林今同本慶州妻良女 金分年伍拾乙亥本金海父定虜衛金----定虜衛於屯曾祖正...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穴巖里
- 5 {第五統統首}--左兵營生物軍金白連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84년_내상면(內廂面) 1684년 내상면(內廂面) {第十七}於勿洞浦 5 {第五統統首}--左兵營生物軍金白連 {統第一戶} ---------------年肆拾玖丙子本蔚山父寺奴獻山祖獻同曾祖不知外祖李莫同本蔚山母寺 {婢}--------------本慶州父私奴金...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十七}於勿洞浦
- 2 {第二統統首私}奴海尺左兵營生物軍李所乙男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84년_내상면(內廂面) 1684년 내상면(內廂面) {第十六} ---- 2 {第二統統首私}奴海尺左兵營生物軍李所乙男 {統第一戶} ----兵營生物軍李所乙男年參拾參壬辰本蔚山父寺奴連卜祖莫同曾祖不知外祖私奴金古石本蔚山母私婢十月上典忠州 ---金甫成妻私婢今月年參...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十六} ----
멀티미디어(1)
- 울산병영성 ll5-0195_#1 유구 울산병영성_도면2.유구 지형도 2015-01-27_0.9587671_울산병영성_도면2.유구 지형도.jpg ll5-0195_#2 유구 울산병영성_도면7.좌병영지도(여지도서) 2015-01-27_제목울산병영성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4)
- 김병곤;金炳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1434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71면 김병곤;金炳昆 울산군 左兵營금융조합 제22회 1935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경영;李慶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1891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103면 이경영;李慶榮 울산군 左兵營금융조합 제27회 1940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울산 병영성 진해루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여지도서]의 좌병영지도에서도 병영초등학교가 위치하는 성의 북서반면구릉에 객사와 동헌을 비롯한 성내의 핵심시설이 위치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번 조사지점은 [여지도서]와 일제강점기 때 육지측량부에 의해 제작된 지도로 볼 때 객사의 주건물인 선위각으로 진입하는 남쪽...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재)울산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 울산 반구동유적 -중구 반구동 303번지 아파트신축부지 발굴조사 보고서- [본문],[도판]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로 알려져 왔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군사적 요충지로서 경상좌병영성이 인근에 자리 잡게 되었고, 임진왜란 시에는 왜군과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지역은 이미 오래 전부터 도심지에 편입되어 주택들이 들어섰고, 지형의 변화도 심한 곳이었다. 따라서...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아이엘디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주제어사전(2)
-
좌병영 / 左兵營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경상좌도 울산에 있었던 병마절도사의 주둔 병영. 1415년에 처음으로 경주에 좌병영을 설치 1417년에 울주로 옮겼다. 이어 1426년(세종 8)에 우병영과 합하여졌고, 1436년에 다시 좌도와 우도의 행정구획체제로 굳어지면서 1437년에 좌병영으로 분리되
-
지구관 / 知彀官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의 훈련도감 등에 소속된 군관직. 서울의 훈련도감, 수원의 총리영 및 각 도의 순영과 병영에 두었다. 그 정원은 훈련도감과 총리영에 각 10인, 충청도 순영에 4인, 병영에 6인, 전라도 순영에 2인, 병영에 17인, 경상도 순영에 4인, 좌병영에 8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