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좌별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7)
- 좌별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무신정권기에 설치되었던 사병(私兵). [내용] 사병이라고는 하지만 중앙의 치안‧형옥(刑獄) 및 전투 등 공적인 임무를 자주 수행하였다. 최이(崔怡) 집권기에 도둑 소탕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던 야별초(夜別抄)의 수가 점차 많아지자 후에...
- 삼별초항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270년 6월 삼별초 해산령에 불만을 가진 삼별초 장병들이 개경환도(開京還都)를 거부하고 여원연합군(麗元聯合軍)에 대해 펼쳤던 3년간의 항쟁. [개설] 삼별초는 야별초(夜別抄)의 좌별초(左別抄)‧우별초(右別抄)와 신의군(神義軍)으로 구...이칭별칭삼별초반란|삼별초의 난
- 야별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등을 담당하였다. 그러자 그 인원이 늘어나 좌별초(左別抄)와 우별초(右別抄)로 나누어졌으며, 또한 몽고에 포로로 잡혀갔다가 도망해온 사람들로 편성된 신의군(神義軍)이 합하여 삼별초를 이루어, 몽고가 침략하였을 때에는 대몽항쟁(對蒙抗爭)의 선두가 되었다. →삼별초...
- 별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주별초(慶州別抄)‧신기군(神騎軍) 또는 신기반(神騎班)‧야별초(夜別抄)‧좌별초(左別抄)‧우별초(右別抄)‧신의군(神義軍) 등이 기록에 보인다. 이 가운데 신기군은 별무반의 한 부류인 것이 분명하여, 이것을 보면 별무반은 후세 별초 편성에 근본적인 영향을 준 것...
- 신의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최씨무신정권기에 조직된 삼별초(三別抄)의 하나. [개설] 삼별초는 야별초(夜別抄)의 좌별초(左別抄)‧우별초(右別抄)와 신의군(神義軍)으로 구성된 삼군(三軍) 체제로 편제되어 있었다. 신의군은 1250년대에 몽고와의 전쟁에서 몽고...이칭별칭신의군별초
고서·고문서(1)
- 추안급국안 : 정사년(1617, 광해군 9) 흉악한 상소[凶疏](6)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總魏雲等二十名三旗總金禮卿等二十二名右 哨一旗總李巖等二十八名三旗總金愛成等二十五名後哨一旗 總金得守等二十六名三旗總崔永會等二十七名左別哨一旗總 金得男等二十九名右別哨一旗總金賢等三十名左敎師隊一 旗總丁希龍等二十七名右敎師隊一旗總許成男等三十名別 隊一旗總韓應守等三十五名三旗總方應希等三十五名兒...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01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2)
-
좌별초 / 左別抄 [정치·법제/국방]
고려 무신정권기에 설치되었던 사병. 최이(崔怡) 집권기에 도둑 소탕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던 야별초의 수가 점차 많아지자 후에 좌·우별초로 분리되었다. 여기에 대몽항쟁 과정에서 포로로 잡혀갔다가 도망해 온 자들로 편성된 신의군(神義軍)을 합하여 흔히 삼별초라 불렀는데,
-
삼별초 / 三別抄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경찰 및 전투의 임무를 수행한 부대의 명칭. 최씨 정권의 사병으로 좌별초·우별초·신의군을 말한다. 그것이 경찰·전투 등 공적 임무를 수행했으므로 공적인 군대에 준하는 것이다. 최우(崔瑀) 집권기에 나라 안에 도둑이 들끓자 용사를 모아 매일 밤에 순찰, 단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