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좌리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2)
사전(138)
- 임원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와 의정부좌ㆍ우참찬에 올랐다.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 3등이 되고 서하군(西河君)에 봉해졌다. 문장으로 이름이 났고, 풍수ㆍ의복(醫卜)에도 능통하였다. 그러나 성품이 교활하고 탐사(貪邪 : 탐용스럽고 사악함)하며, 그의 아들...이칭별칭 자심(子深)| 사우당(四友堂)| 호문(胡文)|서하군(西河君)
- 김겸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자로 천거를 받아 승진, 임명되었다. 1467년 예조판서에 승직되었고, 이듬 해 경상도관찰사로 나갔으며, 1469년(예종 1)에 예조판서에 재임되었다. 1471년에는 좌리공신(佐理功臣) 3등으로 광성군(光成君)에 봉해지고, 1475년 정조사(正朝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이칭별칭 위경(?卿)| 공안(恭安)
- 구문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부윤(慶昌府尹)을 지내고, 1463년에 경상우도병마도절제사를 거쳐 1470년(성종 1)에는 도총부의 겸도총관이 되었다. 이듬해에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에 책록되고 능원군(綾原君)에 봉해졌으며, 1482년에는 자헌대부에 가자(加資)되어 겸도총관을 지...이칭별칭 가립(可立)| 양평(襄平)
- 정숭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공조의 참판을 역임하였다. 1471년(성종 2)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으로 하남군(河南君)에 봉해졌다. 1474년 형조참판이 되었고, 1477년 한성부판윤으로 도총관을 겸하였으며, 뒤에 지의금부사를 거쳐 1489년 하남부원군에 진봉되었다. 이듬해...이칭별칭 효숙(孝叔)| 삼성재(三省齋)| 장정(莊靖)|하남군(河南君)|하남부원군(河南府院君)
- 좌리공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인을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으로, 2등은 이정(李婷)‧이침(李琛)‧정인지(鄭麟趾)‧정창손(鄭昌孫) 등 11인을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으로 책봉하였다. 그리고 3등은 성봉조(成奉祖)‧노사신(盧思愼)‧강희맹(姜希孟)‧임원준(任元濬) 등 18인을...
고서·고문서(34)
- 1472년 이숭원(李崇元) 좌리공신교서(佐理功臣敎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72년(성종 3) 6월에 성종의 즉위에 기여한 좌리공신 중 3등 공신인 연원군 이숭원에게 내린 교서이다. 전북 익산시 삼기면 기산리 현동...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교서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교서 | 현소장처미륵사지 유물전시관
- 1472년 김길통(金吉通) 좌리공신교서(佐理功臣敎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72년(성종 3) 6월에 성종의 즉위에 기여한 좌리공신 중 4등 공신인 김길통에게 내린 교서이다. 담황색 비단위에 쓰여져 있으며, 두루마리 형식으로 배접되었다. 오른쪽 상단은 결락되었으며, 그 외에도 몇 군데 떨어져 나간 곳을 배접하여 글자를 보...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교서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교서 | 현소장처충북대학교 박물관
- 1887년 장수윤(張壽潤) 완문(完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87년4월에 충훈부에서 도사(都事)장수윤(張壽潤)에게 일체의 잡역을 면제하는 특권을 부여하면서 발급한 완문이다. 그가 선조대의 좌리공신(佐理功臣) 장만(張晩)의 7대손이었기 때문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완문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완문 | 현소장처정읍 시산 최재필가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8504 B068504 동래 東萊 정치행정 世祖實錄 附錄 _ 纂修官 名單 臣韓明澮○監館事:○輸忠衛社協賛靖亂佐翼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事寧城府院君 臣崔恒○知館事:○推忠定難翊戴純誠明亮佐理功臣崇政大夫判敦寧府事兼知經筵事晋山君 臣姜希孟○純誠明...출처전거世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6263 B076263 동래 東萊 정치행정 睿宗實錄 附錄 _ 纂修官 名單 亮經濟弘化佐理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上黨府院君兼領經筵事兵曹判書 臣韓明澮。○監館事:○輸忠衛社協贊靖難佐翼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事寧城府院君 臣崔恒。○知館事:○推忠定難翊戴純...출처전거睿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좌리공신 / 佐理功臣 [역사/조선시대사]
1471년(성종 2) 성종이 자신을 잘 보필하고 정치를 잘한 공으로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등은 신숙주·한명회·최항·홍윤성 등 9인을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 2등은 이정·이침·정인지·정창손 등 11인을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으로 책봉하였다. 3등은
-
김길통좌리공신교서 / 金吉通佐理功臣敎書 [역사/조선시대사]
1472년 문신 김길통을 좌리공신 4등에 책록한 교서. 공신교서. 1축. 보물 제716호. 녹권은 왕명을 받들어 공신도감(功臣都監)에서 발급하는 것이므로 이 문서와 같이 왕이 직접 내리는 문서는 교서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 문서는 담황색의 생견(生絹: 生絲로 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