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종학관” 에 대한 검색결과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4)

  • 전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종친의 교육을 담당하였던 종학(宗學)의 정5품 관직. [내용] 1430년(세종 12)에 종학이 설치되자 여기에 필요한 교관을 이라 하였는데, 독립된 녹관(錄官)이 종학설치와 함께 신설되지 못하고 성균관에 따로
  • 도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종학(宗學)의 정4품 관직. [내용] 종친의 교육에 관한 임무를 담당하였다. 1430년(세종 12) 종학이 설치되자 관부 신설에 따른 교관이 필요하였는데 이들을 이라 하였다. 그러나 이들 은 독립된 전임관이 되...
  • 사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종학(宗學)의 종6품 관직. [내용] 종친(宗親)의 교육에 관한 임무를 담당하였던 교관이다. 1430년(세종 12) 종학이 설치되자 관부 신설에 따른 교관이 필요하였는데, 이들을 이라 하였다. 그러나 이들
  • 종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짓고, 다음해에 학칙을 제정, 실질적인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창설 당시 교관은 종3품‧종4품‧종5품‧종6품 각 1인으로 정하였다. 그러나 입학하는 종친의 수가 늘어나게 되자 점차 증원하여 1443년에는 10인에 이르렀다. 직제는 송나라 제도에 따라 을...

고서·고문서(2)

  • 文學者,小學之敎也。然則後世之所謂興學者,其猶爲小學乎?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律令。減省少府用度,買刀布蜀物,齎計吏以遺博士。數歲蜀生,皆成就還歸,文翁以爲右職。又修起學官於成都市中,招下縣子弟,以爲學官弟子。每出行縣,益諸生,明經飭行者與俱,使傳敎令,出入閨閤,縣邑吏ㆍ民,見而榮之,爭欲爲學官子弟,富人至出錢以求之。繇是大化,至今巴蜀好文雅,文翁之化也。○《北史》,辛...
    권차명牧民心書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추안급국안 : 대역부도(大逆不道) 죄인 안기영(安驥泳) 등 심문기록(2)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民同會于矣身家矣○問誰薦鄭觀民 而其誰薦之說汝果的聞之乎○供鄭觀民李載先但爲寒喧 未聞其薦擧之說而率來者則柳道奭也○問誰果薦之乎 ○供薦于都中而以當場論之則柳道奭之所薦而以謀事言之 則此輩之所爲也○丁建燮向斗榮曰汝何必以吾誣陷乎斗榮 曰觀民都是柳道奭所親而同爲率來則似是道奭之薦而稱 以壯士使...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30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법제·행정]

    종학의 교관. 1430년(세종 11)에 종3품 1원, 종4품 1원, 종5품 1원, 종6품 1원의 종학박사를 두어 성균관 사성(司成) 이하 4원이 겸임하였다. 그후 종학생이 늘자 2원의 을 늘려 동·서반 3품 이하 6품 이상관이 겸차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146

  • 도선 / 導善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학의 정4품 관직. 종친의 교육에 관한 임무를 담당하였다. 1430년(세종 12) 종학이 설치되자 관부 신설에 따른 교관이 필요하였는데 이들을 이라 하였다.그러나 이들 은 독립된 전임관이 되지 못하고 성균관에 따로 사성·직강·주부를 1인씩 더

  • 사회 / 司誨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학의 종6품 관직. 종친교육을 담당한 교관. 1430년(세종 12) 종학이 설치되자 교관이 필요하였는데, 이들을 이라 하였다. 그 뒤 1466년(세조 12) 관제개혁 때 전훈(정5품) 1인, 도선(導善) 1인과 함께 2인으로 하여 구체적인 직명이 정

  • 종학 / 宗學 [교육/교육]

    조선시대 왕족의 교육을 담당했던 관서. 세종은 선왕의 치적을 바탕으로 모든 문물 제도를 정비했는데 그 확장 정책의 일환으로 1427년(세종 9) 예조의 건의에 따라 왕실 교육을 위한 기관인 종학을 설치하였다. ≪경국대전≫에 은 정4품인 도선 1인, 정5품인 전

  • 전훈 / 典訓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친의 교육을 담당하였던 종학의 정5품 관직. 1466년(세조 12)에 관제를 개혁할 때 도선 1인, 사회 2인과 함께 전훈을 1인 등 직명이 정해졌다. 1469년(예종 1)에는 사간원의 계에 의하여 성균관의 사성(정3품) 이하 전적(정6품)이 을 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