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종팔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
사전(22)
- 종팔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18품계 중 제16등급의 품계. [개설] 무산계(武散階)는 995년(성종 14)에 어모교위(禦侮校尉)와 어모부위(禦侮副尉)로 제정되었고, 문산계(文散階)는 1076년(문종 30) 승봉랑(承奉郎)과 승무랑(承務郎)으로 정비되었다. ...
- 종팔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6등급의 품계. [내용]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는 승사랑(承仕郎), 무산계는 수의부위(修義副尉)로 정해져 『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종8품 문무관 처...
- 화각(和角)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廣熙樂遞兒職 請加設正五品協宮一人 從五品副協宮一人 正六品諧商一人 從六品副諧商三人 正七品和角一人 從七品副和角一人 正八品均徵一人 從八品副均徵三人 正九品齊羽八人 從九品副齊羽十四人 仍啓 本院兼官 祿職除授何如 傳曰 依所啓[『연산군일기』 11년 3월 11일] 『신증동국...동의어전음(典音) | 관련어악관(樂官)
- 건신대위(建信隊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용례] 西班 正五品建忠隊尉 柔遠尉 一領司直一 從五品勵忠隊尉 一領司直一 二領司直三 正六品建信隊尉 一領副司直一 從六品勵信隊尉 一領副司直二 二領副司直三 正七品敦義徒尉 一領司正一 從七品守義徒尉 一領司正三 二領司正五 正八品奮勇徒尉 一領副司正一 從八品効勇徒尉 一領副司正四 二...상위어정육품(正六品) | 관련어무산계(武散階), 토관직(土官職), 평안도(平安道), 함길도(咸吉道)
- 부전율(副典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雅樂署典樂署官品 司成郞典樂一人從五品 調成郞副典樂一人從六品 司協郞典律二人從七品 調協郞典律三人從八品[『태종실록』 9년 윤4월 7일] 『경국대전(經國大典)』 송방송, 「장악원과 궁중악인 연구-17세기를 중심으로」, 『예술논문집』 17, 1978.관련어아악서(雅樂署), 악공(樂工), 악생(樂生), 장악서(掌樂署), 전악(展樂), 전음(典音)
고서·고문서(15)
- 원사_元史83 志33 選舉3 銓法下 凡補用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2048 중국 정사 원사 지 082 충렬왕(忠烈王) 26 1300 元史83 志33 選舉3 銓法下 凡補用吏員 (大德四年) 部擬 各處行省令史 除雲南甘肅征東外 其餘合依至元二十一年定例 於六部見役上名令史或正從八品流官參補 不敷 聽於各道宣慰司元係...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충렬왕(忠烈王) 26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石代, 田米二石, 從八品以上, 則大米一石代, 田米一石, 各軍門將官及各衙門員役散料, 則大米·田米參半, 訓鍊都監軍兵常時十二斗·九斗受食之類, 交給田米二斗, 自八斗至五斗受食之類, 交給田米一斗矣。 雖不可與各衙門員役, 一體參半磨鍊, 常時所給田米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금사_金史55 志36 百官1 尙書省 架閣庫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1044 중국 정사 금사 지 015 명종(明宗) 14 1184 金史55 志36 百官1 尙書省 架閣庫 管勾 [舊二員 正大省一員] 正八品 同管勾 [舊二員 正大省一員] 從八品 掌總察左右司大程 官追付文牘 并提控小都監給受紙筆 餘管勾同 [女...국가중국 | 서명금사 | 왕대명종(明宗) 14
- 원사_元史83 志33 選舉3 銓法下 凡補用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2047 중국 정사 원사 지 081 충렬왕(忠烈王) 25 1299 元史83 志33 選舉3 銓法下 凡補用吏員 大德三年 省准 遼陽省令史 宜從本省選正從八品文資職官補用 復令各部見役令史內 不限歲月 或願充或籍貫附近或選到職官 逐旋選解 國子監令譯史...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충렬왕(忠烈王) 25
- 慶源都護府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正八品】典食署典客署直長各一典禁署司醫局丞各一【從八品】支應署錄事一【正九品】工作局典食署典客署典醞署錄事各一典禁署副丞一【從九品】西班柔遠衛一領司直二【正從五品各一】副司直三【正六品一從六品二】司正四【正七品一從七品三】副司正五【正八品一從八品四】司勇八【正從九品各四】隊長五【從九品】隊副七【從九...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1)
-
종팔품 / 從八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6등급의 품계.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는 승사랑(承仕郎), 무산계는 수의부위(修義副尉)로 정해져 ≪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종8품 문무관 처의 직명은 단인이라고 하였다. 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