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종팔품” 에 대한 검색결과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

사전(2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18품계 중 제16등급의 품계. [개설] 무산계(武散階)는 995년(성종 14)에 어모교위(禦侮校尉)와 어모부위(禦侮副尉)로 제정되었고, 문산계(文散階)는 1076년(문종 30) 승봉랑(承奉郎)과 승무랑(承務郎)으로 정비되었다.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6등급의 품계. [내용]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는 승사랑(承仕郎), 무산계는 수의부위(修義副尉)로 정해져 『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종8품 문무관 처...
  • 화각(和角)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廣熙樂遞兒職 請加設正五品協宮一人 從五品副協宮一人 正六品諧商一人 從六品副諧商三人 正七品和角一人 從七品副和角一人 正八品均徵一人 副均徵三人 正九品齊羽八人 從九品副齊羽十四人 仍啓 本院兼官 祿職除授何如 傳曰 依所啓[『연산군일기』 11년 3월 11일] 『신증동국...
    동의어전음(典音) | 관련어악관(樂官)
  • 건신대위(建信隊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용례] 西班 正五品建忠隊尉 柔遠尉 一領司直一 從五品勵忠隊尉 一領司直一 二領司直三 正六品建信隊尉 一領副司直一 從六品勵信隊尉 一領副司直二 二領副司直三 正七品敦義徒尉 一領司正一 從七品守義徒尉 一領司正三 二領司正五 正八品奮勇徒尉 一領副司正一 効勇徒尉 一領副司正四 二...
    상위어정육품(正六品) | 관련어무산계(武散階), 토관직(土官職), 평안도(平安道), 함길도(咸吉道)
  • 부전율(副典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雅樂署典樂署官品 司成郞典樂一人從五品 調成郞副典樂一人從六品 司協郞典律二人從七品 調協郞典律三人[『태종실록』 9년 윤4월 7일] 『경국대전(經國大典)』 송방송, 「장악원과 궁중악인 연구-17세기를 중심으로」, 『예술논문집』 17, 1978.
    관련어아악서(雅樂署), 악공(樂工), 악생(樂生), 장악서(掌樂署), 전악(展樂), 전음(典音)

고서·고문서(15)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6등급의 품계.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는 승사랑(承仕郎), 무산계는 수의부위(修義副尉)로 정해져 ≪경국대전≫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종8품 문무관 처의 직명은 단인이라고 하였다. 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