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종정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6)
사전(31)
- 종정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장(長) 1인(주임), 주사 2인을 두어 종실사무와 『선원보첩(璿源譜牒)』의 수정 등을 담당하게 하였다. 그 해 11월 10일에는 종정사(宗正司)를 장례원에서 분리하여 종정원으로 개칭하고 경(卿) 1인(칙임), 주사 4인을 두었다. 1905년 종부사(宗簿司)로...
- 종정원(宗正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종정원 종정원 宗正院 갑오개혁(甲午改革), 궁내부(宮內府), 종부사(宗簿司), 종실(宗室), 종친부(宗親府) 왕실왕실구성원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후기~대한제국기 조선후기~대한제국기 이욱 ...관련어갑오개혁(甲午改革), 궁내부(宮內府), 종부사(宗簿司), 종실(宗室), 종친부(宗親府)
- 종정원등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5년(고종 32)부터 1906년까지 종정원에 소속된 둔토(屯土)와 상납도세(上納賭稅)에 대한 기록. [내용] 2책. 종정원은 조선시대 돈녕부(敦寧府)와 의빈부(儀賓府)를 1894년에 통합 개편하여 종정사(宗正司)를 개칭한 기관으로,...
- 종정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 종정원(宗正院) 소속된 책임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대원군 때 신설되었던 종정경 제도는 1895년(고종 32) 4월 궁내부관제가 공포되면서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궁내부관제에서는 궁내부 소속으로 장례원(掌禮院)이 설...
- 종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개정할 때 종정부를 폐지하고 장례원(掌禮院) 소속으로 종정사(宗正司)를 설치하였다. 그 해 11월 종정사를 장례원에서 분리하여 종정원(宗正院)으로 하였다가, 1905년에 종부사로 개칭하였다. 1907년 폐지되었다. 高宗實錄
고서·고문서(23)
- 무안군 소재 종정원 사패둔토의 도지 수납에 대한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宗正院 보고는, “무안군 소재 宗正院 賜牌屯土의 賭地 수납 차 陳昌成을 파견한바, ‘1894년 條 元上納 932兩 6戔은 1895년 4월 15일에 탁지부에 상납하였고, 1895년 條 235兩은 宗正院 屯監 金鳳濟와 書吏 劉周鄕에게 出給하고 나머지 697兩 6戔은 陳昌...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江原道庄土文績_제8책 : 江原道江陵郡所在庄土崔燉相提出圖書文績類(*합철) 1. ② 宗正院 光武四年十月日江陵郡堤堰作畓處尺量成冊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4602 奎 19304 江原道庄土文績 제8책 : 江原道江陵郡所在庄土崔燉相提出圖書文績類(*합철) 08-001-1 1. ② 宗正院 光武四年十月日江陵郡堤堰作畓處尺量成冊 양안류 8 29.5x43.5 한지, 관인(강릉군 인) 8장,자료명江原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江原道庄土文績_제8책 : 江原道江陵郡所在庄土崔燉相提出圖書文績類(*합철) 2. 完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4608 奎 19304 江原道庄土文績 제8책 : 江原道江陵郡所在庄土崔燉相提出圖書文績類(*합철) 08-002 2. 完文 완문 1 60.8x65.5 한지, 관인(宗正院 인) 1장, 60.8x65.5cm(가로x세로), 한지, 관...자료명江原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가덕도(加德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禦, 從政院之言也。출처전거中宗實錄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선원속보수정의궤(璿源續譜修正儀軌, 1902))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지만 이 때 간행된 『갑자보(甲子譜)』는 무리해서 간행하는 바람에 오류와 누락된 부분이 많았다. 본서는 1899년(광무 3) 6월부터 1902년(광무 6) 4월까지 종정원(宗正院)에서 기존의 『선원속보』를 수정하여 간행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로, 작업의 진행과 관련된...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문·잡지(2)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兼任警務使 教育部叅謀長白性基 任憲兵司令官 警務使 叅將梁性煥以上十一月廿二日 正二品金思轍奉常司提調吳正根 命特進官 命奉常司提調 特進官閔亨植 命宗正院分主事 侍讀辛泳學 任議官 憲兵司令官元禹常以上十一月廿五日게재일1904년 11월 29일 | 기사분류관보
- 십월이십륙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거니와 도 관찰로 몸소가셔 젹간야 져져히 파버리고 범 슈효등졀은 한갈치 열셩조 슈교 로 뎡식 로 시되 종정원경으로 난샹공의 야 궁부에 보고야 품쳐라 옵시다게재일1898년 10월 27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10)
- 발해가 사신을 보내 내조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번역】 (당 덕종 정원)7년 정월, 회흘 대수령 사발선·발해·흑의·대식 (…) 아울러 사신을 보내어 내조하였다. (『册府元龜』 972 外臣部 17 朝貢 5) 【원문】 (唐德宗貞元)七年正月 廻鶻大首領史勃羨渤海黑衣大食 (…) 並遣使來朝 (『册府元龜』 972 外臣部...대표표제어발해가 사신을 보내 내조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91년(辛未/신라 원성왕 7/발해 문왕 大興 55/唐 德宗 貞元 7/日本 桓武天皇 延曆 10)
- 발해 사신을 보내 내조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당 덕종 정원)7년 정월, 회흘 대수령 사발선·발해·흑의·대식 (…) 아울러 사신을 보내어 내조하였다. (『册府元龜』 972 外臣部 17 朝貢 5) 【원문】 (唐德宗貞元)七年正月 廻鶻大首領史勃羨·渤海·黑衣·大食 (…) 並遣使來朝 (『册府元龜』 972 外臣部 17...대표표제어발해 사신을 보내 내조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91년(辛未/신라 원성왕 7/발해 문왕 55 大興 55/唐 貞元 7/日本 延曆 10)
- 말갈이 사신을 보내 조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甲戌 牂柯室韋靺鞨 皆遣使朝貢 (『舊唐書』 13 本紀 13 德宗下) 【원문】 (唐德宗貞元)八年十二月 牂牁靺鞨 皆遣使朝貢 (『册府元龜』 972 外臣部 17 朝貢 5)대표표제어말갈이 사신을 보내 조공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92년(壬申/신라 원성왕 8/발해 문왕 56, 大興 56/唐 貞元 8/日本 延曆 11)
- 사신 대상정을 보내 내조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異 3) 【원문】 貞元七年正月 皆遣使來朝 授其使大常靖爲衛尉卿同正 令還蕃 (『舊唐書』 199下 列傳 149下 北狄 渤海靺鞨) 【원문】 (唐德宗貞元)七年五月戊辰 以渤海賀正使太嘗靖 爲衛尉卿同正 令歸國 (『册府元龜』 976 外臣部 21 褒異 3)대표표제어사신 대상정을 보내 내조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91년(辛未/신라 원성왕 7/발해 문왕 大興 55/唐 德宗 貞元 7/日本 桓武天皇 延曆 10)
- 왕자 대정한이 내조하여 숙위를 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外臣部 41 納質) 【원문】 (貞元七年)八月 其王子大貞翰來朝 請備宿衛 (『舊唐書』 199下 列傳 149下 北狄 渤海靺鞨) 【원문】 (唐)德宗貞元七年八月 渤海王遣其子太貞幹 來朝 請備宿衛 (『册府元龜』 996 外臣部 41 納質)대표표제어왕자 대정한이 내조하여 숙위를 청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91년(辛未/신라 원성왕 7/발해 문왕 大興 55/唐 德宗 貞元 7/日本 桓武天皇 延曆 10)
주제어사전(4)
-
종정원 / 宗正院 [역사/근대사]
. 그러나 1895년 4월 2일 궁내부관제를 개정할 때 장례원 소속의 한 사로 하여 장 1인, 주사 2인을 두어 종실사무와 <선원보첩(璿源譜牒)>의 수정 등을 담당하게 하였다. 그 해 11월 10일에는 종정사를 장례원에서 분리하여 종정원으로 개칭하고 1인, 주사 4인을
-
종인학교관제 / 宗人學校官制 [교육/교육]
1899년 왕족(王族)을 가르치기 위해 설치한 학교와 관련된 제도. 종인학교는 1900년에 설치되었다. 관원은 교장(校長:宗正院卿이 겸무) 1명, 도선(導善:勅任官) 1명, 전훈(典訓:勅任官) 2명, 사회(司誨:奏任官 2, 判任官 1) 3명, 전부(典簿:判任官, 宗正
-
관안 / 官案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궁내부 산하 각 관서의 관리 및 직원들의 이름을 기록한 인명록.관찬서. 1책 22장. 필사본. 왕실사무를 담당하는 궁내부 산하의 궁내부·시종원·비서원·규장원·경연원·장례원·종정원·귀족원·회계원·전의사·봉상사·전선사·상의사·내장사·주전사·영선사·태복사·왕태후궁
-
종정부 / 宗正府 [역사/근대사]
각원에 이관시켜 왕실의 기구를 간소화시키며 권한을 축소하였다. 즉, 종정사, 종정원으로 개칭하여 종실의 어보(御譜)사무를 관장하도록 하고 장과 주사를 두었다. 1905년에 다시 종부사로 고쳤다가 1907년에는 폐지되었다. 관원으로는 경 1인, 주사 4인과 군, 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