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종정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0)
사전(27)
- 종정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시(宗正寺)로 개칭되었으며, 1310년(충선왕 2)에는 종부시(宗簿寺)에서 친속의 보첩만을 관장하게 하였다. 그 뒤 배원정책과 고려의 부흥을 꾀하면서 1356년(공민왕 5)과 1369년에 실시한 관제개혁에 의해 고려의 전통적인 구제도가 회복되었다. 그러나 전중...
- 전중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기관(記官, 4인)ㆍ산사(算士, 1인) 등을 두어 실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전중성의 명칭은 그 뒤 전중시로 바뀌기도 했고, 1298년(충렬왕 24)에는 다시 종정시(宗正寺)로 개칭되었다. 이는 고려 후기 원나라의 내정간섭으로 실시된 관제개혁에 의해 고려의 전통적...
- 전중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중시는 종정시(宗正寺)로 바뀌고, 판사는 폐지되고 윤은 경(卿)으로, 소윤은 소경(少卿)으로 하고, 새로이 주부(注簿, 종7품)를 두었다. 이 때 전중시가 종정시로 개칭된 것은, 당시 원나라의 간섭에 의하여 실시된 관제개혁이 주로 고려의 전통적인 관부명칭을...
- 종부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후기에 왕실ㆍ왕족의 보첩(譜牒)을 관장하던 관서. [내용] 고려 전기의 전중성(殿中省)이 전중시(殿中寺)ㆍ종정시(宗正寺)ㆍ전중감(殿中監)을 거쳐 1310년(충선왕 2)에 개칭된 것이다. 관원으로는 판사(判事, 정3품)ㆍ영...
- 내급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전중성(殿中省)의 종6품 벼슬. [내용] 정원은 1인이었다. 전중성은 종정시(宗正寺)와 함께 종부시(宗簿寺)의 전신으로 종친의 보첩을 맡고 있던 관아였다. 문종 이후에 전중시(殿中寺)로 고쳤다가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이 선...
고서·고문서(23)
- 명태조실록_明太祖實錄57 洪武三年 十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0054 중국 정사 명태조실록 026 공민왕(恭愍王) 19 1370 10 6 明太祖實錄57 洪武三年 十月 辛酉 高麗遣其判宗正寺尹控來 貢方物 賀天壽聖節 至則已不及 命所司禮其使而遣之 외교일반, 명, 외국정세, 洪武三年은 1...국가중국 | 서명명태조실록 | 왕대공민왕(恭愍王) 19
- 명태조실록_明太祖實錄57 洪武三年 十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2678 중국 정사 명태조실록 026 공민왕(恭愍王) 19 1370 10 6 明太祖實錄57 洪武三年 十月 辛酉 高麗遣其判宗正寺尹控來 貢方物 賀天壽聖節 至則已不及 命所司禮其使而遣之 외교일반, 명, 외국정세, 洪武三年은 1...국가중국 | 서명명태조실록 | 왕대공민왕(恭愍王) 19
- 子曰:“苟正其身矣,於從政乎何有?不能正其身,如正人何?”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例正同】 饒曰:“從政與爲政不同,爲政是人君事,從政是大夫事。夫子言此,蓋爲大夫而發。” ○駁曰 非也。從政者,通士大夫而言。【已見前】 77쪽권차명論語古今注 卷六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고한(高漢)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夷半百已遇肯顧籍白顯覓酒擲生涯○朴宗正詩北客停車幔南樓把酒觴海門天共碧沙磧雪堆黃刁斗稀淸世笙歌鬧夕陽腰間三尺劍到此吐龍光○申禹相詩關河落日獨登臺尙想元戎洗劍廻鐵馬長驅窮雁塞捷書飛報度龍堆銅高漢界南夷慴石老燕山北貢來風柝不鳴刁斗臥將軍無事細傾盃○金(金+厚)詩三韓之盡此高臺元帥何年洗劍廻巨海披襟天共碧...출처전거咸境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經史門6_宋世報應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宋世報應 宋祖忘柴氏之大恩, 欺其孤寡, 攘臂而奪之; 太宗亦棄兄之大恩, 不獨不思報, 戕其二子, 至於死滅, 錢王之束手歸身而終, 不得尺土容足. 後高宗一隅偏, 安樂和親而遺父兄, 此皆人心之鬱怫不平者也. 說者謂: “斡離不陷汴京, 虜二帝, 索宗正寺玉牒, 按籍而殺, 太宗子孫幾盡. 有...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三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주제어사전(2)
-
종정시 / 宗正寺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왕실의 보첩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1298년 충선왕이 7개월간 왕위에 있으면서 종정시로 개칭, 1310년(충선왕 2)에는 종부시(宗簿寺), 1356년(공민왕 5)과 1369년에 실시한 관제개혁에 의해 구제도 회복 그러나 전중성만은 복고되지 못하
-
내급사 / 內給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중성의 종6품 벼슬. 정원은 1인이었다. 전중성은 종정시(宗正寺)와 함께 종부시(宗簿寺)의 전신으로 종친의 보첩을 맡고 있던 관아였다. 문종 이후에 전중시(殿中寺)로 고쳤다가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이 선위를 받아 관제를 개혁할 때 종정시로 고쳤다.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