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종정부” 에 대한 검색결과 8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6)

사전(5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에 설치되었던 관청. [내용] 1894년(고종 31)에 1차 내정개혁의 일환으로 궁내부‧‧종백부(宗伯府) 관제안이 상정되어 돈녕부와 의빈부를 통합하여 로 설치하였다. 그러나 1895년 2차 내정개혁 과정에서 ...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왕실의 계보(系譜)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정의조선 후기 왕실의 계보(系譜)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두산백과] | 문광부표기Jongjeongbu | MR표기Chongjŏng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지돈녕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르기도 하고 지돈녕으로 약칭하기도 하였다. 돈녕부는 왕의 외척이나 과거에 합격하지 못한 먼 친척들을 대우하여 직함을 주기 위한 관부에 불과하였으므로, 지돈녕부사 역시 직무가 없는 한직에 불과하였다. 1894년에 돈녕부가 ()에 통...
  • 종백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나이다. 군국기무처는 정치제도의 개혁을 위하여 의정부관제와 궁내부관제를 새로 제정하여 개혁을 실시하였는데, 궁내부는 일본식 궁내부제도를 도입하여 궁중의 잡다한 기구를 궁내부 산하의 부(‧宗伯府)‧원 (院)‧사(司)‧서(署)‧전(殿)‧궁(宮) 등으로 개편하...
  • 종정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왕실의 계보(系譜)에 관한 업무를 맡아 보던 관청. [내용] 1894년(고종 31) 7월 22일 궁내부관제를 제정할 때 종친부(宗親府)를 ()로 개칭하고, 종친을 대우하기 위하여 옛날과 같이 대군(大君)...

고서·고문서(22)

  • 1894년 제조(提調) 영사(領使) 이(李) 상의원제용색(尙衣院濟用色)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68357 B068357 동도 東道 정치행정 大東地誌 권6 전라도 金溝 坊面 東道 西道俱終五東面初五終十五上南 下南俱初五終十一北 二北俱終五終二十下西初十五終二十五櫟陽北初七終二十○古邑北距今治七里從政本曲南初十終十七草處南初十終二十水流南初十終二十五○大栗部曲東六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193 중국 정사 원사 열전 069 기타 元史142 列傳29 慶童 慶童 字明德 康里氏 祖明里帖木兒 父斡羅思 皆封益國公 慶童早以勳臣子孫受知仁廟 給事內廷 遂長宿衞 授大掌判 三遷為上都留守 又累遷為江西河南二行省平章政事 入為太府卿 復為上都留守...
    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기타  
  • 李熹公實錄資料 4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912)가 上輔國崇祿大夫領事가 되었다는 내용으로 『李熹公從宦錄』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2. 02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4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上輔國崇祿大夫領事宮內府大臣兼宗伯府大宗伯가 되었다는 내용으로 『李熹公辭令書』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2. 02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2)

주제어사전(10)

  • / [역사/근대사]

    구한말 왕실의 계보에 대한 직무를 맡아 보았던 관청. 1894년 1차 내정개혁의 일환으로 궁내부, , 종백부 관제안이 상정되어 돈녕부와 의빈부를 통합하여 로 설치하였다. 그러나 1895년 2차 내정개혁 과정에서 , 종백부는 폐지하고 소관업무를 궁내부의

  • 종정원 / 宗正院 [역사/근대사]

    구한말 왕실의 계보에 관한 업무를 맡아 보던 관청. 1894년 7월 22일 궁내부관제를 제정할 때 종친부를 로 개칭하고, 종친을 대우하기 위하여 옛날과 같이 대군, 군, 영사, 판사, 지사, 경, 도정, 정, 주부, 직장, 참봉 등의 직을 두었다

  • 지돈녕부사 / 知敦寧府事 [정치·법제/법제·행정]

    부가 ()에 통합되고 다음해에 귀족원으로 개칭되면서 폐지되었다.

  • 동지돈녕부사 / 同知敦寧府事 [정치·법제/법제·행정]

    1) 돈녕부가 ()에 합쳐졌다가 이듬해 귀족사(貴族司)로 개편되면서 이 직명도 폐지되었다.

  • 거창 고견사 동종 / 居昌古見寺銅鍾 [예술·체육/공예]

    식이 있는 포탄형 종신이 연결된 형태이다. 종신의 외형선은 둥근 ()부터 견부까지는 둥글게 내려오다가 구연부를 향해 수직으로 떨어지는 선형을 보인다. 종신은 중앙에 배치된 띠장식대(太條線帶)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복련문 상대와 교대로 배치된 4개의 사다리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