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종오품” 에 대한 검색결과 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3)

사전(3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18품계 중 제10등급의 품계. [개설] 무산계(武散階)는 995년(성종 14) 유기장군(遊騎將軍)‧유격장군(遊擊將軍)으로 제정되었고, 문산계(文散階)는 1076년(문종 30) 조청대부(朝請大夫)‧조산대부(朝散大夫)를 상하로 하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0등급의 품계. [내용]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종5품 문산계의 상계는 봉직랑(奉直郎), 하계는 봉훈랑(奉訓郎)으로, 무산계의 상계는 현신교위(顯信校尉), 하계는 ...
  • 봉의랑(奉議郞)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봉의랑 봉의랑 奉議郞 토관(土官) 관계(官階), () 용어해설 직역 대한민국 조선 이선희 [정의] 토관(土官) 문반직의 종5품 관계(官階). [내용] 토관직은 고려말기부터...
    상위어토관(土官) | 관련어관계(官階), 종오품(從五品)
  • TD_E2_D_0604 縣令 관직 守令, 城邑, 二十縣令, 從六品, , 四年不易, 淸約, 投笏, 修葺城堡 顯宗九年 新羅, 高麗, 本朝 崔陟卿, 金鳳麟, 尹承解, 薛緯, 於世麟 D_17_02_30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3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3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판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 시대 종5품() 경관직. 돈령부(敦寧府), 한성부(漢城府), 수원부(水原府), 광주부(廣州府), 상서원(尙瑞院), 봉상시(奉常寺), 사옹원(司饔院), 내의원(內醫院), 상의원(尙衣院), 사복시(司僕寺), 군기시(軍器寺), 군자감(軍資監), 관상감(觀象監),...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36)

기타자료(2)

  • 신라가 보낸 신라사 등에게 일본이 품을 제수하고 옷과 신발을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薩湌 金蘭蓀正五品上 副使級湌金巖正五品下 大判官韓奈麻 薩仲業 少判官奈麻 金貞樂 大通事韓奈麻 金蘇忠三人 各下 自外六品已下各有差 竝賜當色幷履 (󰡔續日本紀󰡕 36 光仁紀)
    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신라사 등에게 일본이 품을 제수하고 옷과 신발을 내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80년(庚申/신라 혜공왕 16, 선덕왕 1/발해 문왕 44, 大興 44/唐 建中 1/日本 寶龜 11)
  • 신라가 보낸 신라사 등에게 일본이 품을 제수하고 옷과 신발을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授新羅使 薩湌 金蘭蓀正五品上 副使級湌金巖正五品下 大判官韓奈麻 薩仲業 少判官奈麻 金貞樂 大通事韓奈麻 金蘇忠三人 各下 自外六品已下各有差 竝賜當色幷履 (『續日本紀』 36 光仁紀)
    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신라사 등에게 일본이 품을 제수하고 옷과 신발을 내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80년(庚申/신라 혜공왕 16, 선덕왕 1/발해 문왕 44, 大興 44/唐 建中 1/日本 寶龜 11)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0등급의 품계.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종5품 문산계의 상계는 봉직랑, 하계는 봉훈랑으로, 무산계의 상계는 현신교위, 하계는 창신교위로 정하였다. 그 뒤 ≪경국대전≫에는 그대로 수록되었다. 종친계는 144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