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종삼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9)
사전(31)
- 종삼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18품계 중 제6등급의 품계. [개설] 995년(성종 14)에 제정된 문산계(文散階)ㆍ무산계(武散階)에서 문산계는 은청흥록대부(銀靑興祿大夫), 무산계는 운휘대장군(雲麾大將軍)이었으며, 1076년(문종 30) 문산계가 ...
- 종삼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6등급의 품계. [내용]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종3품 상계는 중직대부(中直大夫), 하계는 중훈대부 (中訓大夫)로, 무산계의 상계는 보의장군(保義將軍),...
- 건공장군(建功將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건공장군 건공장군 建功將軍 종삼품(從三品) 대호군(大護軍), 보공장군(保功將軍), 보의장군(保義將軍), 훈련부정(訓鍊副正)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이선희 [정의] 무산계(武...상위어종삼품(從三品) | 관련어대호군(大護軍), 보공장군(保功將軍), 보의장군(保義將軍), 훈련부정(訓鍊副正)
- 집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조선 시대 사헌부(司憲府)에 딸린 종3품(從三品)의 관직. 정사의 옳고 그름을 밝히고, 관리들의 비행을 따지고, 풍속을 바로 잡고, 지위의 오용과 남용을 막는 등 국정 전반에 걸쳐 힘이 미치지 않는 분야가 없을 정도로 하는 일이 다양하였으므로 주로 승문원(承文院),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보공장군(保功將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7월, 무산계 종3품의 상계는 보의장군(保義將軍), 하계는 보공장군(保功將軍)으로 제정되었다. 오위(五衛)의 대호군(大護軍)은 종3품이었으므로 관계상(官階上) 건공장군·보공장군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용례] 西班 正三品 折衝將軍果毅將軍 從三品 保義將軍保功將軍...관련어보의장군(保義將軍), 서반(西班)
고서·고문서(41)
- 가리포진(加里浦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57 B001557 가리포진 加里浦鎭 군사교통 輿地圖書 全羅道 康津 鎭堡 鎭堡加里浦鎭(在縣南越二津一百二十里石築周圍一千五十尺高十一尺雉堞九百五十曲城六有東南門) 水軍僉使(武從三品) 軍官(三十) 吏(三十) 知印(七) 使令(二十) 古今島鎭(在縣南八十里) 水軍僉使(武從三品)...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065 B025065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輿地圖書 全羅道 康津 鎭堡 鎭堡加里浦鎭(在縣南越二津一百二十里石築周圍一千五十尺高十一尺雉堞九百五十曲城六有東南門) 水軍僉使(武從三品) 軍官(三十) 吏(三十) 知印(七) 使令(二十) 古今島鎭(在縣南八十里) 水軍僉使(武從三...출처전거輿地圖書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검모포진(黔毛浦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9123 B019123 검모포진 黔毛浦鎭 군사교통 全羅道邑誌 扶安縣邑誌 扶安縣 鎭堡 格浦鎭在縣西六十里別將武從九品軍官十六鎭吏十五知印五使令九監營屬黔毛浦鎭在縣南五十里萬戶武從四品軍官十八鎭吏十六知印六使令九軍牢七蝟島鎭在縣西一百五十里僉使武從三品軍官十三鎭吏十五知印八使令十軍牢七右水...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원사_元史208 列傳95 外夷1 高麗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2517 중국 정사 원사 열전 393 충렬왕(忠烈王) 7 1281 8 元史208 列傳95 外夷1 高麗 (至元十八年) 八月 陞其僉議府為從三品 몽원특수관계, 사신왕래, 관제구조ㆍ개편, 조공책봉, 해당 기사의 8월은 원 세조...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충렬왕(忠烈王) 7
- 원사_元史11 本紀11 世祖8 至元十八年閏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1603 중국 정사 원사 본기 202 충렬왕(忠烈王) 7 1281 -8 元史11 本紀11 世祖8 至元十八年閏八月 陞高麗僉議府為從三品 조공책봉, 관제구조ㆍ개편, 至元 18년은 충렬왕 7년(1281)이고, 이해 윤달은 윤8...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충렬왕(忠烈王) 7
신문·잡지(7)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右掌禮趙鎭셜侍讀朴永大 孝陵叅奉洪思喆依願免本官 解分侍御 九品具然泰 任右掌禮侍讀李範偰 任侍讀 從三品柳冕鎬 直閣李義國 任直閣六品徐相薰 任孝陵叅奉 長陵叅奉金경鎭 任長陵叅禧陵奉尹濬求 任禧陵叅奉九品洪思喆 命分侍御具三會以上十二月十四日게재일1904년 12월 17일 | 기사분류관보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陞嘉義從二品崔秉周 陞從三品正三品金璉植仝李明來仝康용九 陞正三品六品李象喆金思國仝吳병善仝姜相驥仝丁致國仝申圭식以上光武八年五月十一日 依願免本官秘書丞申容雨 任秘書丞正三品沈相珏 免本官江原道種痘委員金演泰以上三月卄九日게재일1905년 4월 1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解暑理摠裁事務鐵道院副摠裁崔榮夏十一月廿四日 依願免本官 温陵叅奉金容達 任温陵叅奉 順昌園叅奉李斗魯 任順昌園叅奉南瓚熙 正三品李承徽仝白胤基命分侍御以上十二月四日 正三品李承徽仝白胤基解分侍御 從三品柳鎬觀四品白南昇洪在七白定基李啓舜柳正義命分侍御 度支部主事李鍾濬仝金正鎭仝李會榮免本官以上十...게재일1904년 12월 8일 | 기사분류관보
- 십월이십륙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민은 갈니고 그에 구품 남쟝희 리의로로 임고 규장각 직각 윤덕영은 갈니고 그에 리뎡렬로 임고 궁부 참셔관 안원은 갈니고 그에 구품 리룡규로 임야 대신관방 비셔관을 겸임고 궁부 참셔관 신무 시죵원 시종을 겸임고 종삼품 윤긍쥬로 쟝례원 상례를 임다...게재일1898년 10월 28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前參書官金澤榮前郡守玄采從三品劉漢承前敎官金夏永方漢宗命學部委員三月一日 依願免本官 宗廟令趙命煕 任宗廟令 昌陵令金弼鉉 任昌陵令 靖陵令金海秀 任靖陵令寧陵參奉徐相珪 寧陵參奉慶基殿參奉宋大鎭 任慶基殿參奉鄭洛敎以上四月六日 秘書丞洪承斗 智陵參奉朴用植警務官崔永祚仝盧興彬仝黃榮柱仝裴錫泰甲山...게재일1905년 4월 12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1)
-
종삼품 / 從三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6등급의 품계.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가 제정될 때 문산계의 종3품 상계는 중직대부, 하계는 중훈대부로, 무산계의 상계는 보의장군, 하계는 보공장군으로 정하였다. 그런데 무산계의 상계 보의장군은 뒤에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