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종사품” 에 대한 검색결과 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6)

사전(3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18품계 중 제8등급의 품계. [개설] 995년(성종 14)에 제정된 문산계(文散階)ㆍ무산계(武散階)에서 문산계는 태중대부(太中大夫)ㆍ중대부(中大夫), 무산계는 선위장군(宣威將軍)ㆍ 명위장군(明威將軍)이 각각 상하의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8등급의 품계. [내용]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종4품 상계는 조산대부(朝散大夫), 하계는 조봉대부 (朝奉大夫)로, 무산계의 상계는 선절장군(宣節將軍), 하...
  • 봉선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종4품 문관의 품계. [내용] 1308년(충렬왕 34)에 충선왕(忠宣王)이 복위하여 종4품계(階)로 처음 설정한 이래로 조산대부(朝散大夫)와 번갈아가면서 말기까지 계속되었다. → 문산계
  • 보공장군(保功將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正四品 威勇將軍威毅將軍 宣節將軍宣略將軍[『태조실록』 1년 7월 28일] 『경국대전(經國大典)』
    관련어보의장군(保義將軍), 서반(西班)
  • 광성대부(光成大夫)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大夫)로 바뀌었다. [용례] 今宗室爵秩參酌古制及禮經 當據五服爲定 王子內中宮之子封大君 側室之子封君 (중략) 奉成大夫 光成大夫 正五品通直郞秉直郞[『세조실록』 3년 1월 20일]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이성무,...
    상위어사품(四品), 종친계(宗親階) | 관련어조봉대부(朝奉大夫), 종친(宗親)

고서·고문서(36)

  • 17731 B017731 개운포 開雲浦 군사교통 輿地圖書 慶尙道 東萊 鎭堡 鎭堡釜山鎭僉使(武正三品軍官三十六人鎭吏三十人知印十七人使令二十二名軍年十五名) 多大鎭僉使(武正三品軍官十四人鎭吏二十三人知印十三人使令十名軍牢八名) 豆毛浦萬戶(武軍官八人鎭吏十一人知印十人使令五名) 開...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943 B001943 가배량진 加背梁鎭 군사교통 輿地圖書 慶尙道 巨濟 鎭堡 鎭堡加背梁鎭萬戶(武軍官八人鎭吏八名知印二名使今六名) 栗浦堡權管(武從九品軍官十八人鎭吏八名知印五名使令六名) 知世浦鎭萬戶(武軍官十人鎭吏七名知印七名使令十名) 玉浦鎭 ...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兵船二隻伺候船四隻) ○豆毛浦(水軍萬戶武軍官八人鎭吏十一人知印十人使令五名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開雲浦(水軍萬戶武軍官八人鎭吏十一人知印十人使令五名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包伊浦(水軍萬戶武軍官十八人鎭吏十人知印九人使令二名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西平浦...
    출처전거慶尙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29년 송우성(宋遇聖)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729년에 송우성을 조산대부 행성균관직강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송우성의 품계는 조산대부로 인데 직(職)은 성균관 직강으로 정오품에 해당하기 때문에 관직명 앞에 행(行)을 붙였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전주 전동 송종열가
  • 兵船二隻伺候船四隻) ○豆毛浦(水軍萬戶武軍官八人鎭吏十一人知印十人使令五名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開雲浦(水軍萬戶武軍官八人鎭吏十一人知印十人使令五名戰船一隻兵船一隻伺候船二隻) ○包伊浦 ...
    출처전거慶尙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8등급의 품계.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와 무산계를 제정할 때 문산계의 종4품 상계는 조산대부, 하계는 조봉대부로, 무산계의 상계는 선절장군, 하계는 선략장군으로 정하였다. 그런데 무산계의 상계인 선절장군은 뒤에 정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