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종사랑” 에 대한 검색결과 4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1)

사전(3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문관의 위계제도. [내용] 1308년(충렬왕 34)에 충선왕이 복위하여 처음 설치한 뒤 수직랑(修職郎)과 번갈아가면서 말기까지 계속되었다. → 문산계 『고려사(高麗史)』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문신 정9품의 품계명. [내용] 조선이 건국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정9품으로 정하여졌다. 정9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전경(典經)‧정자(正字)‧기사관‧검열(檢閱)‧학록(學錄)‧규장각대교(奎章閣待敎...
  • 수직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7품 문관의 품계. [내용] 1356년(공민왕 5)에 7품계로 처음 설치된 이후 ()과 번갈아가면서 말기까지 사용되었다. 『고려사(高麗史)』
  • 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곽세구(郭世構)의 문집.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서발(序跋)이 없어 편자 및 필사 시기를 알 수 없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서(序) 3편, 서(敍) 1편, 기(記) 7편, 명(銘) 1편, 소(疏) ...
  • 유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9품 작호(爵號). [내용] 문무관 정9품 ()‧효력부위(效力副尉)와 종9품 장사랑(將仕郎)‧전력부위(展力副尉)의 적처(嫡妻)에게 봉작된 작호이다. 중국 하(夏)‧은(殷)‧주(周...

고서·고문서(410)

  • 1609년 () 황일호(黃一浩)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
  • 權以信을 으로 임명하는 교첩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609 1429_01 權以信을 으로 임명하는 교첩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권환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LK086.JPG 權以信을 으로 임명하는 교첩 敎牒 吏曹 權以信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權益時를 으로 임명하는 교첩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614 1434_01 權益時를 으로 임명하는 교첩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권환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LK091.JPG 權益時를 으로 임명하는 교첩 敎牒 吏曹 權益時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進士 朴樅茂을 에 임명하는 敎牒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803 1562_01 進士 朴樅茂을 에 임명하는 敎牒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승임 종가, 일상생활,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SP017.JPG 進士 朴樅茂을 에 임명하는 敎牒 敎牒 吏曹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進士 朴樅茂을 에 임명하는 敎牒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804 1562_02 進士 朴樅茂을 에 임명하는 敎牒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승임 종가, 일상생활,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첩 한자 고문서 SP017.hwp 吏曹 萬曆 四十一年 十二月初六日奉 敎進士朴樅茂爲 者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신문·잡지(1)

  • (朝鮮紡織株式會社鎭南浦繰綿工場)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阿(朝鮮紡織株式會社鎭南浦繰綿工場) 진남포 阿 朝鮮紡織株式會社鎭南浦繰綿工場 碑石里 218 - 주식회사 방직가공 - - - 伸び申く鎭南浦: 會社一覽表,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대표표제어阿宗四郞(朝鮮紡織株式會社鎭南浦繰綿工場) | 지역진남포 | 품목- | 영업종목방직가공 | 자료출처伸び申く鎭南浦: 會社一覽表, 1940년

주제어사전(7)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신 정9품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정9품으로 정하여졌다. 정9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전경·정자·기사관·검열·학록·규장각대교·부봉사·세마·훈도·사용·수문장 등이 있다.

  • 유인 / 孺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9품 작호. 문무관 정9품 ()·효력부위(效力副尉)와 종9품 장사랑(將仕郎)·전력부위(展力副尉)의 적처에게 봉작된 작호이다. ≪경국대전≫에 정9품과 종9품의 적처에게 봉하여진 봉호로 격하되었다. 이 칭호는 일반백성

  • 정구품 / 正九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18품계 중 제17등급의 품계. 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무산계를 제정할 때 정9품 문산계만 ()으로 정하고, 무산계는 정해지지 않았다. 무산계는 1436년(세종 18) 처음으로 진무부위(振武副尉)를 설치했다가 ≪경국대

  • 김덕기임명문서 / 金德起任命文書 [정치·법제]

    1907년(광무 11) 6월 20일. 9품 김덕기(金德起)를 소녕원 수봉관 판임관 5등에 서임하는 임명장. 소녕원은 숙종의 후궁이며 영조의 생모인 숙빈최씨의 묘소이다. 이문 서를 통해 대한제국기의 수봉관은 판임관 5등에 서임했음을 알 수 있다.

  • 남구명 / 南九明 [종교·철학/유학]

    1661(현종 2)∼1719(숙종 45).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길, 아버지는 상주이다. 1693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그러나 벼슬에 뜻이 없어 고향에서 10여년간 은거하다가 형 노명의 강력한 권유로 전적을 지내고, 1711년에 제주판관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