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종부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81)
사전(512)
- 판종부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및 조선 태조 연간 종부시의 정3품 관직. [내용] 정3품 당상관 종부시정(宗簿寺正)의 전명칭이다. 고려 목종 때에 종부시의 전신인 전중성(殿中省)이 처음 설치된 이래 기관명의 개칭에 따라 장의 명칭도 감(監)‧판사(判事)‧윤(...
- 종부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令, 종3품)ㆍ부령(副令, 종4품)ㆍ승(丞, 종5품)ㆍ주부(注簿, 종7품) 등이 설치되었다. 이후 1356년(공민왕 5)에 종정시로 개편되었다가 1362년에 다시 종부시로 환원되었으며, 1369년에 다시 한 번 종정시로 되었다가 1372년에 종부시로 고쳐져 여말에 이...
- 종부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의 종부시는 1392년(태조 1) 태조의 관제신정 때 전중시(殿中寺)로 출발하여, 1401년(태종 1)에 종부시로 개칭되었다. 그 뒤 한때는 재내제군부(在內諸君府)에 속하였다가, 1430년(세종 12)에 재내제군부가 종친부(宗親府)로 개칭되면서 다시 독...
- 종부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왕실의 계보인 선원보첩(璿源譜牒)의 편찬과 종실의 잘못을 규탄하는 임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관서.정의조선시대 왕실의 계보인 선원보첩(璿源譜牒)의 편찬과 종실의 잘못을 규탄하는 임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ongbusi | MR표기Chongbus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종부시(宗簿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종부시 종부시 宗簿寺 이조(吏曹), 속아문(屬衙門), 제조(提調), 재내제군소(在內諸君所) 정(正), 전첨사(典籤司) 전중시(殿中寺) 왕친록(王親錄), 선원보첩(璿源譜牒), 종실(宗室), 선원록(璿源錄), 종학(宗學), 종친부(宗親府),...상위어이조(吏曹), 속아문(屬衙門), 제조(提調), 재내제군소(在內諸君所) | 하위어정(正), 전첨사(典籤司) | 동의어전중시(殿中寺) | 관련어왕친록(王親錄), 선원보첩(璿源譜牒), 종실(宗室), 선원록(璿源錄), 종학(宗學), 종친부(宗親府), 종정부(宗正府), 종정사(宗正司), 종정원(宗正院), 종부사(宗簿司), 음관(蔭官)
고서·고문서(266)
- 宗簿寺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20_0150 宗簿寺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宗簿寺正(盧公)行狀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十八 行狀 21 宗簿寺正(盧公)行狀 18_125_106.jpg 宗簿寺正(盧公)行狀 狀: 중규1에는 뒤에 “戊辰夏”가 더 있음. 公姓盧, 諱慶麟, 字仁甫, 系出谷山。 曾祖諱某, 某官, 祖諱某, 某官, 考諱某, 某官。 妣某郡某氏, 某官某之女。 公...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선원보략수정시종부시의궤(璿源譜略修正時宗簿寺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다. 이 때 올린 존호는, 인원왕후 ‘수창(壽昌)’, 영조 ‘장의홍륜광인돈희(章義弘倫光仁敦禧)’, 정성왕후 ‘장신(莊愼)’이다. 또 다른 왕실족보류의 일종인 『국조어첩(國朝御牒)』도 이번에 함께 수정이 이루어졌다. 사업은 종부시(宗簿寺)에서 주관하였다. 수정 작업의...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過族父主簿公【述祖】 宗簿寺直廬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0140 過族父主簿公【述祖】 宗簿寺直廬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宗簿寺正(盧公)墓碣銘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十七 墓碣銘 16 宗簿寺正(盧公)墓碣銘 17_071_053.jpg 宗簿寺正(盧公)墓碣銘 公姓盧, 諱慶麟, 字仁甫, 系出谷山。 曾祖諱重禮, 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 祖諱種石, 通訓大夫、行軍威縣監; 考諱績, 以軍職至司果。 妣豐川任氏, 內禁衛諱重之女...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신문·잡지(3)
- 함남로동신문_1949_0525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우선 농민은행에서 자금을 대부받아 종비우(種牝牛) 4두를 구입하였으며 당시 이미 예타하고 있었던 13두의 소도 구입하였다. 이리하여 소 1두당 매년 송아지 한 마리씩 낳도록 하기 위하여 시기를 놓치지 않고 종부시켰다. 또한 송아지...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525_03 | 책임주필강길모
- 황해일보_1951_1003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지도일꾼들은 가축사육의 기술적 방법과 가축증식의 중요성을 수시로 열리는 집회와 학습회를 통하여 선전해설하여왔다. 지난 2월 13일 박용수 동무는 리대의원 회의에서 가축사육에 대한 문제를 토의하였다. 여기서 때를 놓치지 않고 종부시킬 것과 건초를 충분히 마련하여 동기...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1_1003_03 | 책임주필원용준
- 함남인민보_1949_0512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이고 있다. 이렇게 하여 송아지를 낳은 후 3개월 내지 4개월 이내에는 반드시 암소에게 종부시켜 적어도 1년에는 암소 한 마리가 송아지 한 마리씩은 생산하도록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더우기 이 부락 농민들은 이미 얻은 축산 지식에 의하여 사료는 성육상태를 깊이 참작하면...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512_03 | 책임주필림상준
연구과제(1)
-
조선 후기 선원각의 제도와 운영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계영 | 서울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42)
-
종부시 / 宗簿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실계보인 선원보첩의 편찬과 종실의 잘못을 규탄하는 임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된 관서. 종부시는 1392년(태조 1) 태조의 관제신정 때 전중시로 출발하여, 1401년(태종 1)에 종부시로 개칭되었다. 1430년(세종 12)에 재내제군부가 종친부로 개칭되
-
도제조 / 都提調 [정치·법제/법제·행정]
議政)이 겸하도록 하였으나 종부시(宗簿寺) 등 종친과 관계되는 기관은 왕의 존속친(尊屬親)이 이를 겸하였다.
-
선원계보기략 / 璿源系譜記略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전기류(傳記類) 종부시(宗簿寺) 편, 목판본, 1907년(융희 1), 26권 8책. 1907년에 중교보간된《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이다. 어제서미에 '규장지보(奎章之寶)' 주색 투인, 책의로 남대단(藍大段)을 사용하였다.
-
내급사 / 內給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중성의 종6품 벼슬. 정원은 1인이었다. 전중성은 종정시(宗正寺)와 함께 종부시(宗簿寺)의 전신으로 종친의 보첩을 맡고 있던 관아였다. 문종 이후에 전중시(殿中寺)로 고쳤다가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이 선위를 받아 관제를 개혁할 때 종정시로 고쳤다.그
-
송문흠 / 宋文欽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0∼1752).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뜻을 잃고 학문에 열중하였다. 동몽교관으로 발탁되었으나 사직하였고 이후 종부시주부·형조좌랑·문의현령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한정당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