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종백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
사전(30)
- 종백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나이다. 군국기무처는 정치제도의 개혁을 위하여 의정부관제와 궁내부관제를 새로 제정하여 개혁을 실시하였는데, 궁내부는 일본식 궁내부제도를 도입하여 궁중의 잡다한 기구를 궁내부 산하의 부(宗正府‧宗伯府)‧원 (院)‧사(司)‧서(署)‧전(殿)‧궁(宮) 등으로 개편하...
- 종백부(宗伯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종백부 종백부 宗伯府 갑오개혁(甲午改革), 겸직(兼職), 장례원(掌禮院) 대종백(大宗伯), 종백(宗伯), 참의(參議), 사향관(祀享官), 봉상시(奉常寺), 전생서(典牲署), 전설사(典設司) 궁내부(宮內府), 종정부(宗正府), 종친부(宗...상위어갑오개혁(甲午改革), 겸직(兼職), 장례원(掌禮院) | 하위어대종백(大宗伯), 종백(宗伯), 참의(參議), 사향관(祀享官), 봉상시(奉常寺), 전생서(典牲署), 전설사(典設司) | 관련어궁내부(宮內府), 종정부(宗正府), 종친부(宗親府), 장례원(掌禮院), 예조(禮曹), 종묘서(宗廟署), 사직서(社稷署),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 역대(歷代) 시조(始祖), 선농(先農), 선잠(先蠶), 관왕묘(關王廟), 영희전(永禧殿), 경모궁(景慕宮), 선원전(璿源殿), 전설사(典設司), 능(陵), 원(園), 묘(墓), 장생전(長生殿), 문희묘(文禧廟), 영소묘(永昭廟), 저경궁(儲慶宮), 희빈궁(禧嬪宮), 육상궁(毓祥宮), 연우궁(延祐宮), 경우궁(景祐宮),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사당(祠堂),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사당(祠堂), 향실(香室), 시호(諡號)
- 종정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에 설치되었던 관청. [내용] 1894년(고종 31)에 1차 내정개혁의 일환으로 궁내부‧종정부‧종백부(宗伯府) 관제안이 상정되어 돈녕부와 의빈부를 통합하여 종정부로 설치하였다. 그러나 1895년 2차 내정개혁 과정에서 종...
- 종정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 왕실의 계보(系譜)에 관한 업무를 맡아 보던 관청. [내용] 1894년(고종 31) 7월 22일 궁내부관제를 제정할 때 종친부(宗親府)를 종정부(宗正府)로 개칭하고, 종친을 대우하기 위하여 옛날과 같이 대군(大君)‧...
- 우승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인으로 의제(衣提)를 겸임하도록 하였으며, 종백부(宗伯府)ㆍ성균관ㆍ학무아문(學務衙門)ㆍ외무아문(外務衙門)을 방망(房望)하도록 하였다. 『고종실록(高宗實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고서·고문서(13)
- 종백부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종백부 조 요녕성(辽宁省) 영구시(营口市) 3 1 종백부, 종숙부, 편지, 부친, 온가정, 고향, 소식, 사회, 교육국, 노력,...대표표제어종백부 | 성씨조
- 금일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재종백부모, 삼종백부모, 맏아바이, 맏아매, 외친, 칭호, 숙모, 형수, 여인, 아주머니, 혼란, 분간, 어렵, 상례, 대하여, 사망, 조혼, 수의, 여러가지, 방법, 전혀, 모르고대표표제어금일 | 성씨최
- 李熹公實錄資料 4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12)가 上輔國崇祿大夫領宗正卿事宮內府大臣兼宗伯府大宗伯이 되었다는 내용으로 『王公履歷書』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2.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4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가 上輔國崇祿大夫領宗正府事宮內府大臣兼宗伯府大宗伯가 되었다는 내용으로 『李熹公辭令書』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2.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4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가 上輔國崇祿大夫領宗正府事宮內府大臣兼宗伯府大宗伯이 되었다는 내용으로 『李熹公辭令書』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2. 02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4)
-
종백부 / 宗伯府 [역사/근대사]
구한말 봉상시, 종묘서, 사직서, 전생서 등의 소관사무와 각 전, 묘, 능, 원, 궁의 일을 관장하였던 관서. 궁내부, 종친부, 종백부 산하 각 사에서 종전에 응입하였던 전곡도 탁지아문으로 하여금 담당하도록 하여 전국의 재정이 일원화되었다. 그러나 전국 재정이 일원화
-
종정부 / 宗正府 [역사/근대사]
구한말 왕실의 계보에 대한 직무를 맡아 보았던 관청. 1894년 1차 내정개혁의 일환으로 궁내부, 종정부, 종백부 관제안이 상정되어 돈녕부와 의빈부를 통합하여 종정부로 설치하였다. 그러나 1895년 2차 내정개혁 과정에서 종정부, 종백부는 폐지하고 소관업무를 궁내부의
-
좌장례 / 左掌禮 [역사/근대사]
대한제국 때 장례원에 둔 관직. 관등은 주임관이며, 정원은 1인이다. 우장례 1인과 함께 궁중의 제반의식, 제사, 능묘, 종실, 귀족들에 관한 사무를 맡았다. 조선시대 통례원은 1894년 갑오개혁 때 종백부(宗伯府)로 개편하였으나 1895년 장례원으로 개칭하고 경 1
-
참의 / 參議 [역사/근대사]
으로 충용되어 대신의 명령을 받아 사무를 관장하였다. 1895년 의정부가 내각으로, 산하 아문이 부로 명칭이 바뀌면서 참의직은 폐지되고 국장으로 변경되었다. 궁내부와 종백부의 관제개편으로 그 권한이 축소, 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