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종묘제례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9)
사전(151)
- 종묘제례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였다는 것이다. 그 중 <정대업>과 <보태평>은 1447년에 회례악무(會禮樂舞)로 창제되었고 아직 종묘제례악으로 쓰이지는 않았다. <정대업>은 15성(聲, 曲)이고 <보태평>은 11성인데, 이 두 곡은 세종이 친히 지팡이로 땅을 두드리며 절(節)을 만들고 하루...연계항목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 종묘제례악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조선시대 종묘에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와 무용의 총칭.정의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조선시대 종묘에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와 무용의 총칭.[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ongmyo Jeryeak | MR표기Chongmyo Cherye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독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종묘제례악 중 아헌(亞獻:두번째로 잔을 올리는)과 종헌(終獻:세번째로 잔을 올리는 것)의 헌례(獻禮)에 연주되는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의 두번째 곡으로 제1변(第一變). [내용] 일무(佾舞)는 무무(武舞)가 추어지고, 헌가(軒架)에서 음...
- 선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현행「종묘제례악」중 아헌(亞獻:제사 때 두 번째로 잔을 올리는 일)과 종헌(終獻)의 헌례(獻禮)에 연주되는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의 네번째 곡으로 제3변(第三變). [내용] 일무(佾舞:사람을 가로세로가 같게 여러 줄로 벌여 세워 추게 하...
- 용광정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현행 종묘제례악 중 초헌(初獻)의 헌례(獻禮)에 연주되는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의 여덟번째 곡인 제7변(第七變). [내용] 일무(佾舞:사람을 여러 줄로 벌여 세워 추게 하는 춤)는 문무(文舞)가 추어지고 등가(登歌)에서 음악을 연주한다....
기초학문(9)
- 종묘제례악 귀인류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0950256 문숙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09 종묘제례악 귀인류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종묘제례악 기명과 독경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0848442 문숙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음악사학회 2008 종묘제례악 기명과 독경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종묘제례악 탁정, 선위, 신정, 정세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1046791 문숙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10 종묘제례악 탁정, 선위, 신정, 정세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종묘제례악 희문, 현미, 대유, 소무, 순응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0949256 문숙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음악사학회 2009 종묘제례악 희문, 현미, 대유, 소무, 순응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보태평과 정대업의 종합적인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10ResearchPaper&m201_id=10015242&local_id=10025467 정대업과 보태평의 음악적 연구-종묘제례악의 원형을 찾아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10
멀티미디어(109)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40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41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42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43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44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주제어사전(3)
-
종묘제례악 / 宗廟祭禮樂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에 종묘제례를 봉행할 때 사용한 음악과 무용의 총칭.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제향에 음악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고려시대부터이고, 1116년에는 송에서 전래된 대성아악을 연주하였다. 세종때 연주한 정대업과 보태평은 다소의 개정을 거쳐 종묘제례악
-
악기도감 / 樂器都監 [예술·체육/국악]
파 등이었다. 그 뒤로는 임진왜란 이후 1624년(인조 2)과 병자호란 이후 1646년에 종묘제례악의 복설을 1년 앞두고, 이 때 정윤박(丁潤璞)이 감조전악(監造典樂)으로 큰 공을 세웠다.
-
김천흥 / 金千興 [예술·체육/무용]
1951년 국립국악원 예술사가 된 후 2007년까지 연주원, 자문위원, 원로사범, 명예종신단원으로 활동했다. 1958년 한국가면극보존회 상임위원, 1961년부터 1980년까지 문화재위원 겸 예총이사를 맡았다. 1968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해금과 일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