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종묘제례악” 에 대한 검색결과 1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2)

사전(15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였다는 것이다. 그 중 <정대업>과 <보태평>은 1447년에 회례악무(會禮樂舞)로 창제되었고 아직 으로 쓰이지는 않았다. <정대업>은 15성(聲, 曲)이고 <보태평>은 11성인데, 이 두 곡은 세종이 친히 지팡이로 땅을 두드리며 절(節)을 만들고 하루...
    연계항목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조선시대 종묘에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와 무용의 총칭.
    정의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조선시대 종묘에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와 무용의 총칭.[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ongmyo Jeryeak | MR표기Chongmyo Cherye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독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중 아헌(亞獻:두번째로 잔을 올리는)과 종헌(終獻:세번째로 잔을 올리는 것)의 헌례(獻禮)에 연주되는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의 두번째 곡으로 제1변(第一變). [내용] 일무(佾舞)는 무무(武舞)가 추어지고, 헌가(軒架)에서 음...
  • 선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현행「」중 아헌(亞獻:제사 때 두 번째로 잔을 올리는 일)과 종헌(終獻)의 헌례(獻禮)에 연주되는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의 네번째 곡으로 제3변(第三變). [내용] 일무(佾舞:사람을 가로세로가 같게 여러 줄로 벌여 세워 추게 하...
  • 용광정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현행 중 초헌(初獻)의 헌례(獻禮)에 연주되는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의 여덟번째 곡인 제7변(第七變). [내용] 일무(佾舞:사람을 여러 줄로 벌여 세워 추게 하는 춤)는 문무(文舞)가 추어지고 등가(登歌)에서 음악을 연주한다....

기초학문(9)

  • 귀인류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09
    50256 문숙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09 귀인류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기명과 독경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08
    48442 문숙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음악사학회 2008 기명과 독경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탁정, 선위, 신정, 정세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10
    46791 문숙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10 탁정, 선위, 신정, 정세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희문, 현미, 대유, 소무, 순응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09
    49256 문숙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음악사학회 2009 희문, 현미, 대유, 소무, 순응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보태평과 정대업의 종합적인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10
    ResearchPaper&m201_id=10015242&local_id=10025467 정대업과 보태평의 음악적 연구-의 원형을 찾아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10

멀티미디어(2)

  • 무형문화재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말총으로 갓을 만드는 명장들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는 소식과 , 양주별산대놀이 등이 정부의 지원을 받아 그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는 소식을 전하는 영상.
    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5년 1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 포,무신도(민화동양화) 4주차. 샤마니즘과무속2:무가개괄,무속사상/풍류도와선(도교와구분(옥추경)) 5주차. 민간신앙가정신앙(애니미즘) 6주차. 민간신앙마을신앙(마나이즘) 7주차. 불교연등회,원효와의상,탈춤과중(사당패-안성바우덕이) 8주차. 성리학,과국행의례(민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에 종묘제례를 봉행할 때 사용한 음악과 무용의 총칭.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제향에 음악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고려시대부터이고, 1116년에는 송에서 전래된 대성아악을 연주하였다. 세종때 연주한 정대업과 보태평은 다소의 개정을 거쳐

  • 악기도감 / 樂器都監 [예술·체육/국악]

    파 등이었다. 그 뒤로는 임진왜란 이후 1624년(인조 2)과 병자호란 이후 1646년에 의 복설을 1년 앞두고, 이 때 정윤박(丁潤璞)이 감조전악(監造典樂)으로 큰 공을 세웠다.

  • 김천흥 / 金千興 [예술·체육/무용]

    1951년 국립국악원 예술사가 된 후 2007년까지 연주원, 자문위원, 원로사범, 명예종신단원으로 활동했다. 1958년 한국가면극보존회 상임위원, 1961년부터 1980년까지 문화재위원 겸 예총이사를 맡았다. 1968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해금과 일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