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종묘제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9)
사전(200)
- 종묘제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종묘의 제향 의식. [개설] 1975년 5월 3일 중요무형문화재 제56호로 지정되었다. 2001년 5월 18일 종묘제례악과 함께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으로 선정되어 세계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연원 및 변천]연계항목종묘제례(宗廟祭禮)
- 종묘제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요무형문화재 제56호. 조선시대 역대의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는 종묘의 제향예절.정의중요무형문화재 제56호. 조선시대 역대의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는 종묘의 제향예절.[두산백과] | 문광부표기Jongmyo Jerye | MR표기Chongmyo Cher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종묘제례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였다는 것이다. 그 중 <정대업>과 <보태평>은 1447년에 회례악무(會禮樂舞)로 창제되었고 아직 종묘제례악으로 쓰이지는 않았다. <정대업>은 15성(聲, 曲)이고 <보태평>은 11성인데, 이 두 곡은 세종이 친히 지팡이로 땅을 두드리며 절(節)을 만들고 하루...연계항목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 종묘제례악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조선시대 종묘에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와 무용의 총칭.정의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조선시대 종묘에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와 무용의 총칭.[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ongmyo Jeryeak | MR표기Chongmyo Cherye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독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종묘제례악 중 아헌(亞獻:두번째로 잔을 올리는)과 종헌(終獻:세번째로 잔을 올리는 것)의 헌례(獻禮)에 연주되는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의 두번째 곡으로 제1변(第一變). [내용] 일무(佾舞)는 무무(武舞)가 추어지고, 헌가(軒架)에서 음...
고서·고문서(1)
- 今聞三月廢祭之說,人多非之者。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喪母未葬,而令行此禮,決非聖人之仁。今宗廟祭禮,視古省略,十不存一,而試取笏記,熟讀數回,則未葬而行此禮,無是理矣。將謂攝祭異於親祭乎?攝祭之文,散見諸經,而因喪攝祭,絶無可據。誠以喪三年不祭爲大經大法,至如今日之事,又以服緦之制,許停一時之祭,故喪而攝無文也。大祭者,吉禮之大者也。有歌有舞,八音...권차명禮疑問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초학문(9)
- 종묘제례악 귀인류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0950256 문숙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09 종묘제례악 귀인류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종묘제례악 기명과 독경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0848442 문숙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음악사학회 2008 종묘제례악 기명과 독경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종묘제례악 탁정, 선위, 신정, 정세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1046791 문숙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10 종묘제례악 탁정, 선위, 신정, 정세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종묘제례악 희문, 현미, 대유, 소무, 순응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0949256 문숙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음악사학회 2009 종묘제례악 희문, 현미, 대유, 소무, 순응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보태평과 정대업의 종합적인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숙희, 게재일 : 2010ResearchPaper&m201_id=10015242&local_id=10025467 정대업과 보태평의 음악적 연구-종묘제례악의 원형을 찾아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10
멀티미디어(109)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40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41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42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43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44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주제어사전(7)
-
종묘제례 / 宗廟祭禮 [종교·철학/유학]
종묘의 제향의식. 조선시대의 종묘대제에는 정시제와 임시제가 있었다. 정시제는 사계절의 첫 달과 납일에 지냈다. 그후 납일제향은 폐지되고 1, 4, 7, 10월의 상순에 지내는 춘하추동 제향만 시행되었다. 임시제는 나라에 흉사나 길사가 있을때 올린 고유제과 햇과일과 햇곡
-
종묘제례악 / 宗廟祭禮樂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에 종묘제례를 봉행할 때 사용한 음악과 무용의 총칭.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제향에 음악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고려시대부터이고, 1116년에는 송에서 전래된 대성아악을 연주하였다. 세종때 연주한 정대업과 보태평은 다소의 개정을 거쳐 종묘제례악
-
시용무보 / 時用舞譜 [예술·체육/무용]
조선시대 종묘제례 일무의 순서와 동작을 그림과 문자로 기록한 예술서.무보. 조선의 종묘제례 일무인 시용보태평지무(時用保太平之舞)와 시용정대업지무(時用定大業之舞)의 순서와 동작 술어를 그림과 문자로 기록한 무보이다. 표기방식은 1행 6박(拍)을 모두 4행으로 크게 구획
-
국조상례보편 / 國朝喪禮補編 [종교·철학/유학]
에게 시책문을 올리는 의식, 권2는 계빈으로부터 담제 전까지와 사시 및 납향에 관한 의식, 권3은 명절 때의 종묘제례, 권4는 초상 때부터 시책까지의 예식 절차와 상계, 권5는 계빈 때 받는 수교한 내용과 이 책의 편집 시말, 권6은 의소세손의 상 때 수교한 내용을 기
-
악기도감 / 樂器都監 [예술·체육/국악]
파 등이었다. 그 뒤로는 임진왜란 이후 1624년(인조 2)과 병자호란 이후 1646년에 종묘제례악의 복설을 1년 앞두고, 이 때 정윤박(丁潤璞)이 감조전악(監造典樂)으로 큰 공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