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종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01)
사전(1,809)
- 종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에 있는 조선 시대 역대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왕과 왕비의 신주(神主)를 봉안한 사당. [내용] 사적 제125호. 종묘는 원래 정전(正殿)을 말하며, 태묘(太廟)라고도 한다. 태묘는 태조의 묘(廟)가...
- 종묘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제왕과 조상의 위패를 모시던 사당.정의제왕과 조상의 위패를 모시던 사당.[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Jongmyo | MR표기Chongmy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宗廟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6_I_0010 宗廟 왕조례 神主, 五廟, 世室, 重屋, 祏, 木主, 始祖廟, 五廟之制, 金姓, 始祖, 平麗濟有功, 父祖, 東明王廟, 東明王廟, 優台廟, 國母廟 唐虞, 夏后氏, 殷, 周 武王, 南解王 三年, 惠恭王, 大武神王, 溫祚王 元年, 十七...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8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宗廟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6_S_0018 宗廟 왕조례 會同, 祖廟, 聘享 夫子, 子路, 公西赤, 夫子, 赤, 衛靈, 仲叔圉, 祝鮀, 王孫賈, 聖人 S_26_01_06 성호사설 26권 1장 6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6권 1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종묘(宗廟)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종묘 종묘 宗廟 궁묘(宮廟), 대묘(大廟), 종조(宗祧), 침묘(寢廟), 태묘(太廟), 태실(太室) 경령전(景靈殿), 고유(告由), 공신당(功臣堂), 동당이실(同堂異室), 묘정배향(廟庭配享), 사묘제(祠廟祭), 세실(世室), 영녕전(...동의어궁묘(宮廟), 대묘(大廟), 종조(宗祧), 침묘(寢廟), 태묘(太廟), 태실(太室) | 관련어경령전(景靈殿), 고유(告由), 공신당(功臣堂), 동당이실(同堂異室), 묘정배향(廟庭配享), 사묘제(祠廟祭), 세실(世室), 영녕전(永寧殿), 원묘(原廟), 재방(齋坊), 정전(正殿), 조묘(祧廟), 조천(祧遷), 종묘서(宗廟署), 종묘의궤(宗廟儀軌), 종묘제례(宗廟祭禮), 좌묘우사(左廟右社), 책보록(冊寶錄), 칠사당(七祀堂), 침원서(寢園署), 태묘조성도감(太廟造成都監)
단행본(2)
- 종묘와 궁묘: 조선 왕실의 조상제사 [왕실문화 대중총서 발간 | 고려대학교]저자 : 한형주...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6.11.30유형단행본
- 조선왕실의 궁릉의물 [조선왕조 궁, 릉 의물의 한국적 공예미 탐색 | 한서대학교]저자 : 장경희(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교수)...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3.9.30.분야예술‧체육 | 유형단행본종별과 현존 유물 3. 제삿날, 종묘의 길례용 의물 (1) 길례란 무엇인가? (2) 종묘의 제향공간 (3) 종묘 신실 내부의 의물 (4) 종묘제기의 제작
논문(1)
- 신라 宗廟制의 정비와 운영-중국 종묘제의 변천 및 운영 원리와 관련하여-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저자 : 박남수 | 게재정보 : 신라사학보
고서·고문서(1,702)
- 종묘연혁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종묘의 연혁에 대해 정리한 것으로 총 7면으로 구성되어 있다.분류국제 및 왕실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宗廟樂章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樂譜 世宗莊憲大王實錄 卷第一百四十七 樂章 宗廟樂章 정인지(鄭麟趾) 11 樂譜 / 樂章 / 宗廟樂章 / 祼鬯 夾鐘宮 ◎ 祼鬯 夾鐘宮 王假有廟享祀不忒厥作祼將威儀抑抑來止熏熏神嗜飮食申錫無疆如期如式 樂譜 / 樂章 / 宗廟樂章 / 奠幣 夾鐘宮 ◎ 奠幣 夾鐘宮 於穆...서명世宗實錄樂譜 | 저자정인지(鄭麟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跋宗廟考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bs_00051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六 祭禮_【附】王朝禮 跋宗廟考 跋宗廟考 이익(李瀷, 1681~1763) DRAC_6:1:5:2 昭穆之次, 《左氏內、外傳》爲家禮 家禮: 《星湖全集》에는 ‘禮家’로 되어 있다. 之祖. 然一以承代爲重, 終有不...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종묘의궤(宗廟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706년(숙종32) 종묘(宗廟)의 연혁과 제도, 각종 의식의 절차, 관련 행사 등에 대한 방대한 정보를 정리하여 기록한 의궤이다. 종묘는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神位)를 봉안하고 제사지내는 왕실의 사당이다. 종묘는 사직(社稷)과 함께 왕조의 정통성과 왕실의...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종묘의궤(宗廟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순조 20년 숙종대 편찬된 『종묘의궤』와 영조대 편찬된 『종묘의궤속록(宗廟儀軌續錄)』을 편찬한 뒤 그 이후 종묘에서 거행된 의절들을 수록한 책이다. 『종묘의궤』는 1706년(숙종32) 처음 편찬된 뒤 이후에 편찬된 『종묘의궤(속록)』은 이들이 편찬될 때마다 편찬된 시...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구술자료(2)
- 이선재(개풍)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종약원, 전주이씨 종친회 부녀부, 전주이씨 종친회 청년부, 진명여고, 공민왕 사당제, 마포나루굿, 사직대제, 아소정제, 종묘대제, 인천상륙작전, 6.25(한국전쟁), 1.4 후퇴 한글 연세대학교 문화원 원장, 보호선도 연합회구술자이선재(개풍) | 직업문화원 원장, 보호선도 연합회 및 학력인정사회교육시설학교 연합회 회장 | 지역경기도
- 어린 눈으로 전쟁을 보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돼야 되는데, 점점 더 시대가 나아졌다고 하는데도 자꾸 경색국면으로 이야기를 끌어가는 노인정의 어르신들도 저희가 종묘공원이나 서울 탑골공원에 노인 분들이 많이 나오시는데, 한동안은 저희가 거기 출입 을 못할 정도로 젊은 사람들] 아-, 거기가 굳어있죠, 이념. 그런 노조사지역강원 춘천 | 조사일2013년 2월 17일
기초학문(22)
- 朝鮮後期 宗廟制度 變遷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지두환, 게재일 : 200410835 지두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4 朝鮮後期 宗廟制度 變遷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유형논문 | 게재일2004
- 朝鮮前期 宗廟制度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지두환, 게재일 : 200008647 지두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문화학회 2000 朝鮮前期 宗廟制度 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유형논문 | 게재일2000
- 宗廟 制度의 탄생 -宗廟의 공간과 배치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신성곤, 게재일 : 201465086 신성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宗廟 制度의 탄생 -宗廟의 공간과 배치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유형논문 | 게재일2014
- 1726년(英祖 2) 宗廟 改修와 《宗廟改修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진영, 게재일 : 200402253 김진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726년(英祖 2) 宗廟 改修와 《宗廟改修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유교사상을 통해 본 전통 공간 종묘(宗廟)의 유‧무형적 미의식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서민경, 게재일 : 201516860 서민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5 유교사상을 통해 본 전통 공간 종묘(宗廟)의 유‧무형적 미의식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155)
- 種苗購入의旅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농상공부소관원예모범장에서명년도소용으로각죵묘[나무싹)를 구야모리데 그 슈운무를 감독기위야 기일명을 일본국디에 츌장케로 그려비 삼십오환을 지츌라 얏다더라게재일1906년 12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李王家宗廟 (이왕가 종묘)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작품명_원문李王家宗廟 | 게재일19220426 | 게재판무 | 게재면05 | 게재단9-10
- 宗廟와永禧殿奉審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궁부 대신 리윤용씨 작일 오젼 십일시에 칙교를 봉승고 죵묘와 영희뎐을 일톄로 봉심얏다더라게재일1907년 9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農産種苗定價表無料進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農産,林産,觀賞,植物,種子及苗木類數千種中에細密木版畵百餘張을삽入야此에說明과代價添付얏所用이잇 僉君子에게 代錢을不受하 고進呈하오 東京內藝新宿停車塲近地 內外農産種苗 都賣商 耕 牧 園 同業諸君에게都賣代價表進呈게재일1906년 8월 1일 | 기사분류광고
- 農産種苗定價表無料進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農産,林産,觀賞,植物,種子及苗木類 數千種中에細密本版畵百餘張을삽入야此에說明과代價添付얏所用이잇 僉君子에게代錢을不受하고進呈하오 東京內藤新宿停車場近址 內外農産種苗 都賣商 耕 牧 園 同業諸君에게都賣代價表進呈게재일1906년 7월 31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171)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28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29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30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31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 과 의례(경복궁 편) 3주차. 궁궐과 의례 (창덕궁 편) 4주차. 종묘와 종묘제례 5주차. 종묘제례의 악, 가, 무 6주차.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감상하기 7주차. 문묘제례악의 역사 8주차. 문묘제례악 구성 및 전승 9주차. 유교의 예절과 의복 32주차. 유교 의례와강좌제목문자와 의례의 종교, 유교 II | 강의자안희재 교수, 임란경 교수, 장희선 교수, 순남숙 교수
기타자료(37)
- (서울 문화 탐방) 종묘를 찾아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서울 문화 탐방) 종묘를 찾아서 (서울 문화 탐방) 종묘를 찾아서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강복 | 사료철명서울교육
- 김성진;金成眞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0517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교우회지 제9호 1929―01―10 117면 김성진;金成眞 충북 종묘장 견습생 제13회 1926년 3월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당이 백제의 부여융을 웅진도독에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이에 반력(頒曆)과 종묘휘(宗廟諱)를 청하였는데, 어떠 이가 그 까닭을 물었다. 답하여 말하였다. “마땅히 요해(遼海)를 평정하여 본조의 정삭(正朔)을 반시(頒示)할 것이다.” 마침내 모두 말과 같아졌다. (新唐書 108 列傳 33 劉仁軌) 【원문】 又表用扶...대표표제어당이 백제의 부여융을 웅진도독에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3년(癸亥/신라 문무왕 3/고구려 보장왕 22/唐 龍朔 3/倭 天智 2)
- 당이 백제의 부여융을 웅진도독에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늙은이에게 부귀를 주는구나.” 이에 반력(頒曆)과 종묘휘(宗廟諱)를 청하였는데, 어떤 이가 그 까닭을 물었다. 답하여 말하였다. “마땅히 요해(遼海)를 평정하여 본조의 정삭(正朔)을 반시(頒示)할 것이다.” 마침내 모두 말과 같아졌다. (『新唐書』 108 列傳 33 劉...대표표제어당이 백제의 부여융을 웅진도독에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64년(甲子/신라 문무왕 4/고구려 보장왕 23/唐 高宗 麟德 1/倭 天智天皇 3)
- 이타인이 고구려 부흥군을 정벌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듭 베었다. 다시 관대(冠帶)를 올리고 개선해 돌아와 종묘에 고하고 경축하니, 황제가 가상히 여겨 동정원(同正員) 우령군장군(右領軍將軍)으로 승진시켰다. (「李他仁 墓誌銘」: 遠望集 下; 2015 高句麗渤海硏究 52) 【원문】 旣而姜維構禍 復拔成都 穟穴挻...대표표제어이타인이 고구려 부흥군을 정벌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0년(庚午/신라 문무왕 10/唐 總章 3, 咸亨 1/倭 天智 9/庚午)
연구과제(5)
-
일제 강점기 이왕가(李王家)의 종묘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욱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
조선시대 왕실문화의 상징코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해영 | 경상대학교 | 2013 | 국내 | 경남
-
고구려 왕실 전승과 의례 - 정치권력으로 향한 통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우연 | 인하대학교 | 2014 | 국내 | 인천
-
조선 왕실 문화의 제도화 양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오종록 | 성신여자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
단(壇)을 통해본 조선의 정치이념과 현실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장지연 | 대전대학교 | 2019 | 국내 | 대전
주제어사전(112)
-
종묘 / 宗廟 [종교·철학/유학]
조선 왕가의 제사를 지내는 장소. 또는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봉안한 사당. 사적 제125호. 우리나라는 신라 시대는 5묘제, 고려 시대는 7묘제로 하였고, 조선 시대 초기에도 7묘제로 하였다. 종묘의 건축은 중국의 제도를 본떠 궁궐의 좌변에 두었다. 1608년
-
종묘서 / 宗廟署 [정치·법제/법제·행정]
왕실 능원의 정자각과 종묘를 수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처음 설치는 고려 문종 때로서, 처음에는 영 1인, 승 2인을 두었다. 충렬왕 때 침원서로 개칭, 전의시에 속하면서 승 1인이 줄었다. 공민왕 때 대묘서로 개칭되면서 주부 1인을 증원하였고, 다시 능원서
-
종묘악장 / 宗廟樂章 [문학/고전시가]
조선조 역대 왕과 왕비의 위패를 모신 종묘의 제례악에 올려 부른 한시 형태의 노랫말. 1463년(세조 9) 12월에 만든 종묘 악장은 ‘영신(迎神) 희문(熙文)/전폐(奠幣) 희문(熙文)/진찬(進饌) 풍안(豐安)/초헌(初獻)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 희문(熙文)·기명(基
-
종묘의궤 / 宗廟儀軌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의 종묘와 영녕전에 관한 의절을 기록한 책. 원편 4책과 속록 5책으로 되어 있다. <국조오례의>와 <국조속오례의>의 종묘에 관한 의례를 바탕으로 하고 <조선왕조실록>, 제가의 문집 등에서 관련부분을 채록하였다.
-
종묘제례 / 宗廟祭禮 [종교·철학/유학]
종묘의 제향의식. 조선시대의 종묘대제에는 정시제와 임시제가 있었다. 정시제는 사계절의 첫 달과 납일에 지냈다. 그후 납일제향은 폐지되고 1, 4, 7, 10월의 상순에 지내는 춘하추동 제향만 시행되었다. 임시제는 나라에 흉사나 길사가 있을때 올린 고유제과 햇과일과 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