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희룡” 에 대한 검색결과 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7)

사전(5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돋았다. 그의 묵매화는 사임당 신씨(師任堂申氏) 이래의 조선 중기 묵매도의 구도에서 탈피하여 후기 묵매화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다. 김정희는 의 난초 그림이 서법에 의한 문인화답지 않게 아직도 화법만을 중시하는 태도를 면하지 못하였다고 낮게 평가하였다....
    이칭별칭 치운(致雲)| 우봉(又峰), 석감(石?), 철적(鐵笛), 호산(壺山), 단로(丹老), 매수(梅?)
  • 호산외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이 엮은 인물전기집. [개설] 1책(41장). 필사본. 1844년(헌종 10)에 탈고되었다. [내용] 『호산외사』의 권두에 의 자서가 붙어 있다. 수록된 인물은 중인‧화가‧승려‧몰락양반 가운...
    이칭별칭호산기|호산외기
  • 직하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53년(철종 4) 최경흠(崔景欽)과 유재건(劉在建) 등이 중심이 된 위항문인(委巷文人)들의 모임. [기능과 역할] 최경흠(崔景欽)‧유재건(劉在建)‧()‧이경민(李慶民)‧박응모(朴膺模) 등이 함께 활동하였다.
  • 최경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발한 활동이다. 원래 시문에 능하였던 그는 왕희지(王羲之)의 난정계(蘭亭稧)를 모방했다. 종래의 여항시사(閭巷詩社)의 전통을 이어 1853년(헌종 1) 유재건‧()‧이경민 등 당시의 저명한 여항시인들과 함께 직하시사(稷下詩社)를 결성해 여항문학의 말기...
    이칭별칭 치명(穉明)| 감재(?齋)
  • 조수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 인물로 활동했으며 정이조(丁彛祚)‧이단전(李亶佃)‧강진(姜溍)‧()‧김낙서(金洛瑞)‧장혼(張混)‧박윤묵(朴允默) 등 여항시인과 사귀었다. 그리고 김정희(金正喜)‧김명희(金命喜)‧조인영(趙寅永)‧조만영(趙萬永)‧한치원(韓致元)‧남상교(南尙敎)‧이만용...
    이칭별칭 지원(芝園), 자익(子翼)| 추재(秋齋), 경원(經?)

고서·고문서(10)

  • 21196 B021196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哲宗 4年 3月 6日_012 ○刑曹啓曰, 全羅道靈光郡荏子島絶島定配罪人, 康津縣古今島絶島定配罪人吳圭一等竝放事, 命下矣。 謹依下敎, 竝卽放送事, 分付該道道臣之意, 敢啓。 傳曰, 知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所聞者久矣。 竝嚴刑一次, 絶島定配, 至於熙龍之子, 不必擧論可也事, 命下矣。 罪人吳圭一·, 各嚴刑一次後, 圭一全羅道康津縣古今島, 熙龍靈光郡荏子島絶島定配所, 竝卽押送之意, 敢啓。 傳曰, 知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21411 B121411 신도 薪島 도서 평안북도 承政院日記 純祖 24年 6月 22日_013 載在大典通編, 議處, 何如? 判付啓, 依允。 又啓目粘連, 向前洪龜燮·黃燾··禹錫文·朴義柱等亦, 朔試射時, 無緣不參, 俱涉可駭, 竝只以此照律, 何如? 判付啓, 依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 第五統統首鄭德憲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85년_상부면(上府面) 1885년 상부면(上府面) 第十一下西里 5 第五統統首鄭德憲 第一戶業武鄭德憲年參拾伍辛亥本東萊父大謹曾祖泰 年外祖김喆應本김海妻朴姓年參拾參癸丑本慶州父致根祖世 天曾祖萬春外祖김重本慶州等壬午戶口相准 第二戶宣略將軍行訓鍊院主簿鰥夫徐...
    연도_면이름1885년_상부면(上府面) | 면이름상부면(上府面) | 마을이름第十一下西里
  • 4 第四統統首李順卜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寡女禮堂年陸拾貳癸巳本慶州父金戒立祖今同曾祖不知外祖連孫本慶州母良 女梅春辛卯戶口相准 第四戶 府案付束伍軍金世好年參拾捌丁巳本金海父世命曾祖希男外祖私 奴松卜本東萊母私婢禮代主羅州居徐日大妻私婢城梅年伍拾玖丙申本慶州 父驛奴金戒還祖莫男曾祖億卜外祖成元平慶州居林堯世率子兵營藥干順鶴今 世男...
    연도_면이름1714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二山下里

기초학문(2)

  • 의 藝術精神과 文藝性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영규, 게재일 : 2001
    14748 한영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01 의 藝術精神과 文藝性向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붓 끝에 쏟아낸 울분-여항문인화가 의 삶과 예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69871 한국연구재단 한국인물사연구회 2013 붓 끝에 쏟아낸 울분-여항문인화가 의 삶과 예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1)

  • 경제·산업 사건 근대 () 서울 瑞麟町 163 기타 - 폐품(屑物) - 31.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曺喜龍(曺喜龍) | 지역서울 | 품목기타 | 영업종목폐품(屑物)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화가(1789∼1866). 서화에 뛰어났던 여항문인화가로서 글씨는 추사체를, 그림은 남종문인화를 따랐으나 김정희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였다. 그가 저술한 《호산외사》는 중인들에 대한 생생한 기록으로 사료적 가치가 높다.

  • 직하시사 / 稷下詩社 [문학/한문학]

    1853년(철종 4) 최경흠(崔景欽)과 유재건(劉在建) 등이 중심이 된 위항문인(委巷文人)들의 모임. 최경흠(崔景欽)·유재건(劉在建)·()·이경민(李慶民)·박응모(朴膺模) 등이 함께 활동하였다. 당시는 이미 위항인들이 본격적으로 시사활동을 전개한 지 약 2

  • 최경흠 / 崔景欽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풍요삼선』, 『소대풍요』 등을 저술한 시인. 종래의 여항시사(閭巷詩社)의 전통을 이어 1853년(헌종 1) 유재건·()·이경민 등 당시의 저명한 여항시인들과 함께 직하시사(稷下詩社)를 결성해 여항문학의 말기를 장식하였다. 여항시인으로서의 그의 업

  • 호산외사 / 壺山外史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화가 이 중인·화가·승려 등 42인의 행적을 모아 1844년에 편찬한 전기. 1책(41장). 필사본. 1844년(헌종 10)에 탈고되었다. 『호산외사』의 권두에 의 자서가 붙어 있다. 수록된 인물은 중인·화가·승려·몰락양반 가운데 특이한 행적을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