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흘강” 에 대한 검색결과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1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 있었다. 여기서 발급한 합격증은 다음 본 시험 응시를 위한 녹명(錄名)의 절차를 밟을 때 반드시 제시해야 하는 일종의 신분확인증 구실을 하였다. 때문에 ‘’이라는 명칭이 생긴 것으로 추측된다. 조흘의 ‘조’는 확인 또는 대조를 뜻하며, ‘흘’은 그러한...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과거(科擧) 녹명(錄名), 전례강(典禮講), 조흘첩(照訖帖), 학례강(學禮講), 학례첩(學禮帖)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선 김경용 [정의] 조선시대 과거...
    상위어과거(科擧) | 관련어녹명(錄名), 전례강(典禮講), 조흘첩(照訖帖), 학례강(學禮講), 학례첩(學禮帖)
  • 조흘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과거에 응시하기 전에 성균관에서 행하는 ()에 합격한 사람에게 주던 증서. [내용] 이란 과거에 응시하는 유생에게 시험 전에 먼저 성균관에서 호적의 대조를 마치고 『소학』을 배강(背講)하는 것을 말한다. 조선시대는...
  • 학례강(學禮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학례강 학례강 學禮講 과거(科擧) 가례(家禮, 전례강(典禮講), (), 조흘첩(照訖帖), 소학(小學), 학례첩(學禮帖)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선 김경용 [정의]
    상위어과거(科擧) | 관련어가례(家禮, 전례강(典禮講), 조흘강(照訖講), 조흘첩(照訖帖), 소학(小學), 학례첩(學禮帖)
  • 조흘첩(照訖帖)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흘첩 조흘첩 照訖帖 과거(科擧) 녹명(錄名), 전례강(典禮講), (), 학례강(學禮講), 학례첩(學禮帖)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선 김경용 [정의] 조선시대 과거...
    상위어과거(科擧) | 관련어녹명(錄名), 전례강(典禮講), 조흘강(照訖講), 학례강(學禮講), 학례첩(學禮帖)

고서·고문서(10)

  • 成均館直講時論疏【甲寅】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90 文集 卷九 ITKC_MP_0597A_0090_030_0070 成均館直講時論疏【甲寅】 정약용(丁若鏞) 公車類|疏箚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
    권차명文集 卷九 | 문체公車類|疏箚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國子監,同金道以【達淳】ㆍ鄭文瞻【東觀】ㆍ李周玉【相璜】ㆍ洪穉成【秀晚】諸學士,考講苦熱,戲爲此篇【七月也。時因監試考官】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20 詩集 卷二 ITKC_MP_0597A_0020_010_0340 國子監,同金道以【達淳】ㆍ鄭文瞻【東觀】ㆍ李周玉【相璜】ㆍ洪穉成【秀晚】諸學士,考講苦熱,戲爲此篇【七月也。時因監試考官】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
    권차명詩集 卷二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遠, 所入物力, 亦依例, 從便給代乎? 上曰, 當初下敎, 蓋欲劃給物力, 令本館從便貿用也。 陞試之時, 尙用本館物力, 況體段, 反不如陞試之爲重者乎? 時秀曰, 學禮講則以本曹及成均館, 分一二所爲之矣。 上曰, 此後亦依照訖例, 合設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職姓名。 上曰, 試可之意, 玆以差擬, 下往各別善爲之也。 時淵進奏職姓名。 命擧顔, 敎曰, 年幾何? 時淵曰, 年今五十九矣。 上曰, 潭陽之治, 想恢恢矣。 下往着念爲之也。 命宣諭先退。 敎近淳曰, 今日, 往所耶? 近淳曰,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有之, 首望則入侍承旨也。 副則李重祜也。 末則洪名漢也。 天輔·景夏·明履退出。 上曰, 儒臣上下番各讀二嗚呼? 承史亦讀一嗚呼, 兼史李景行, 讀末章字數甚小。 上笑曰, 無異於興於詩三字也。 儒臣進文義時, 上曰, 周穆王車轍馬迹, 遍於天下, 而末年事業, 亦不少, 以呂刑見之, 後世...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과거제 운영에 있어서 일종의 예비 시험. 소과, 즉 생원·진사시의 경우 초시와 복시, 그리고 문과의 경우 복시 실시 전에 응시자에게 각각 과했던 예비 시험이다. 조흘의 ‘조’는 확인 또는 대조를 뜻하며, ‘흘’은 그러한 절차를 ‘마쳤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