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현례” 에 대한 검색결과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20)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왕비 또는 왕세자빈이 혼례를 마친 후 처음으로 부왕(父王), 모비(母妃) 등 왕실의 어른을 뵙는 의식. 국혼은 납채(納采), 납징(納徵), 고기(告期), 책비(冊妃), 친영(親迎), 동뢰연(同牢宴)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마지막 절차인 동뢰연를 마친 후 를 거행하였...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왜주홍칠평안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가례 시 음식을 올려놓았던 붉은 칠을 한 상. 왕실 혼례 시 ()에서 과일 등을 올려놓았던 상이다. 천판(天板)은 둥글고 다리가 짧은 앉은뱅이 상으로 붉은색 명주로 만든 상보를 씌워 사용한다. 일본산 붉은 칠인 왜주홍(倭朱紅)으로 전면을 칠하였다. 倭朱...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고기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고기(告期)하는 예. 왕실 혼례 때 대궐에서 길일을 택해 가례일로 정하여 이를 별궁(別宮)에 알려주는 의식이다. 妃受冊親迎初度二度內習儀十月初一日早朝兼行於別宮三度內習儀同月初三日行於別宮告期禮後仍行同牢宴初度二度內習儀十月初二日兼行於大內, (가례1802/138ㄱ01~...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사보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기로 만든 보아. 대부분의 의궤 자료에 甫兒의 형태만 나타난다. 보아[甫兒] 앞에 다양한 접두어가 와서 종류를 구분하는데, 沙甫兒는 沙-가 선행해서 후행하는 기물의 재료적 속성을 한정하였다. 同牢宴初二三度習儀兼行於大內爲有置床卓床巾凾袱木圭木假劍假羅照沙盞沙甫兒...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육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는 의식이다. 납채에서 책비까지가 혼례를 위한 준비 과정이라면 친영과 동뢰는 가례의 중심을 이루는 것이다. 일반인의 혼례와 달리 책례(冊禮)가 포함된 것이 국혼의 특징이다. 동뢰연 이후 시부모에 해당하는 대왕비나 왕대비를 알현하는 ()와 종묘의 조상에게 예를...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단행본(1)

  • (조선왕실의 행사 2) 왕실의 혼례식 풍경 [왕실의 행사 | 단국대학교]
    저자 : 신병주(건국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 박례경(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송지...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3.01.14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6) 책비의식과 참여자들의 복식 (7) 친영의식과 참여자들의 복식 (8) 동뢰연의식과 참여자들의 복식 (9) 와 참여자들의 복식

고서·고문서(12)

  • 1882년 가례시 각차비관 발기(嘉禮時 各差備官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1882년 가례시 각차비관 발기(嘉禮時 各差備官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1866]왕비가례등록(王妃嘉禮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옹원에서 고종 3년인 1866년 1월에서 1867년 3월 사이에 있었던 고종과 明成王后 민씨의 가례 과정을 기록한 등록이다. 사옹원은 조선시대 왕의 식사나 궁중의 음식공급을 관장했던 관청이다. 사옹원에서 편찬한 등록이니만큼 同牢宴, 에 쓰이는 상차림에 필요한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왕대비전에는 巽時, 대비전에는 丁時로 推擇한 내용을 『日省錄』(37)에서 채록하였다. 이왕무 2015. 01. 12 實錄編修用紙 사용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1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비전에 올리는 의 내용을 『日省錄』(37)에서 채록하였다. 이왕무 2015. 01. 12 實錄編修用紙 사용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1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3)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

    왕비 또는 왕세자빈이 혼례를 마친후 처음으로 부왕, 모비 등 왕실의 어른을 뵙는 의식. 국혼은 납채, 납징, 고기, 책비, 친영, 동뢰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마지막 절차인 동뢰연를 마친 후 를 거행하였다. 헌종 계비인 효정왕후 홍씨의 가례를 보면 동뢰연을 마친

  • 빈조현 / 嬪朝見 [정치·법제]

    인사하는 의식인 가 있다. 왕비의 경우 왕대비나 대왕대비를 알현하며 왕세자빈이면 국왕ㆍ왕비를 포함한 왕실의 어른을 알현한다. 후궁으로 빈에 책봉된 경우에도 빈조현의를 거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