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헌” 에 대한 검색결과 1,2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19)

사전(435)

  • 김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68(선조 1)∼1643(인조 21). 조선 중기의 학자. [개설] 본관은 개성(開城). 자는 평숙(平叔), 호는 오자옹(五者翁). 옥천출신. ()의 문인이다. [내용] 1592년(선조 25) 탄핵을 받아 안읍(...
    이칭별칭 평숙(平叔)| 오자옹(五者翁)
  • 구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士) 중의 한 사람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과 친교를 맺었으며,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같이 의병을 모아 왜적에 대항하였다. 청주싸움에서는 병기와 군량을 조달하여 승전하게 한 공으로 왕의 특명에 의해 절충장군(折衝將軍) 위계에...
    이칭별칭 상중(常中)| 모정(茅亭)| 충장(忠壯)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動態(金鎭鳳, 史學硏究 34, 1982) 초상 1544(중종 39)∼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의병장. (1544-1592...
    이칭별칭 여식(汝式)| 중봉(重峯), 도원(陶原), 후율(後栗)| 문열(文烈)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태상경이 최벽도에게 보낸 매파이다. 태상경의 명으로 최호의 집을 찾아가 효의 딸 벽도를 태상경의 네 번째 아내로 들이기를 청한다. 그러나 효의 아내와 벽도의쌍둥이 오빠 최보운에게 거절당하였을 뿐아니라 맹렬한 비난만 듣고 물러나와 태상경에게 이 사실을 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승군과 합세하여 충청도를 수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논문(1)

고서·고문서(487)

  • 신해년 구(九)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문열공 가 치제문(文烈公家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금석문 | 형식분류고문서-기타-서화류
  • 皇太后大喪儀記録写真帖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1018632016101863_005 皇太后大喪儀記録写真帖 皇太后大喪儀記録写真帖_殯宮葬場殿間鹵簿 皇太后 大喪儀 기록 사진첩_ 빈궁과 장장전(葬場殿) 사이의 노부 국립공문서관 ヨ288-0221 0335 1 사진 ...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13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せうけん)皇太后御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7815 창가 初等音樂 第五學年 22137 1944 朝鮮總督府 朝鮮書籍印刷株式會社 朝鮮總督府  朝鮮書籍印刷株式會社 (せうけん)皇太后御歌 〈mn〉오선보, 가사가 반복해서 기록됨〈/mn〉 〈#7〉 金剛石(こんがうせき) 金剛石もみが...
    구분창가 | 편저자朝鮮總督府
  • 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七 附錄 五 44 挽辭(十五)[()] 37_075_071.jpg 挽辭(十五)[()] 胡爲夫子便長休? 斯道斯民不幸秋。弊瘼從今誰與議? 危微自此罔攸求。溪堂永夜憂時歎, 海閣高歌經世謀。萬事悠悠嗟已矣, 愚蒙增慟喪交修。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구술자료(3)

  • 빨치산 토벌대에서 활약하며 여러 번 죽을 고비를 넘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쒼屛貂?그 전에 또 그러자 내가 인자 보병으로 있었어. 한 일 년 육 개월. 그래농게 헌병대에 가서, 나 아직까지는 도망간 지 뭣인지 모르제. 헌병대에 가서 출 장증 도라고 해가꼬 서울 출장 써가꼬 서울 옹게 암씨렁도 않대. 또 서울서 광주 출장 써가꼬 집 에 왔어
    조사지역전남 함평 | 조사일2012년 2월 19일
  •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을 모두 치른 못된 세대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죠.] [조사자2 : 네.] [조사자1 : 그때 한 번 또 되고.] 그래가지구 그때 또 점령당했잖아, 세 번. 춘 천 지역은. 그래 그 일사후퇴두 원주꺼정 제천꺼정 갔었잖아. 그래서 세 번을 당한 데래서 춘천은 참 고생 무척 했고. 그러니까 육이오 전에 걔들한테 동
    조사지역강원 춘천 | 조사일2013년 2월 16일
  • 을 수도 있는 상황인데] 실상 그른 양반들이 정치를 해야 돼. 요새 정치인들 애옥질 이 나올라 해서 솔직히 그라믄 안되지 사람이. 정치한 사람들 지 것이 생명인디. [조사자 : 우 리 조선역사를 갖고 얘기를 하면 남명 조식선생이 지조를 가지고 한 것처럼 우리 본강선
    조사지역전남 보성 | 조사일2014년 7월 12일(2차)

기초학문(6)

  • 1744년(영조 20) 思悼世子의 嘉禮와《[莊敬后]嘉禮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세은, 게재일 : 2005
    02123 김세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1744년(영조 20) 思悼世子의 嘉禮와《[莊敬后]嘉禮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1930-1940년대 영의 한의학 인식과 동서절충적 의학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윤재, 게재일 : 2007
    21314 박윤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근현대사학회 2007 1930-1940년대 영의 한의학 인식과 동서절충적 의학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1778년(정조 2) 貞純王后의 上尊號와《[英祖貞純后加崇莊敬后進號]都監都廳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순옥, 게재일 : 2004
    14195 홍순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778년(정조 2) 貞純王后의 上尊號와《[英祖貞純后加崇莊敬后進號]都監都廳儀軌》 https://www.krm.or.kr/krmts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을 다룬 국내 학술 논문에 대한 문헌 연구 -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헌국, 게재일 : 2014
    67416 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을 다룬 국내 학술 논문에 대한 문헌 연구 -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전류에 대한 중학생의 시각적 표상 능력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헌국, 게재일 : 2017
    20509 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물리학회 2017 전류에 대한 중학생의 시각적 표상 능력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82)

  • 민세안재홍전집 : 安民政長官秘書 處長에植氏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454 1947 2 22 1 1 安民政長官秘書 處長에植氏 신문 서울신문 1면10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民政長官, 秘書處, 植 A19470222서울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건국 1년의 업적(정계편) :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14) 사상 심사, 국민보도연맹 결성 건국 1년의 업적(정계편) : 영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49년 8월 14일 서울신문 자료대한민국사 기사/사설 1 이 글은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 1주년이 지난 1949년 8월...
    대표표제어건국 1년의 업적(정계편) : 조헌영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서울신문 | 출처자료대한민국사 | 키워드대한민국 정부수립, 대한민국 유엔 승인, 여수・순천 사건 법치국가, 인플레이션, 민생 안정
  • 민세안재홍전집 : 安在鴻 等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738 1948 9 24 1 1 安在鴻 等 三百八十餘名 民獨서脫黨 신문 동아일보 1면 5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民主獨立黨, 朴一來, 朴容羲, 植, 權寧禹, 脫黨 A19480924동아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젼군슈 리죠헌과 그죡하 리승린이가다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군슈 리죠헌과 그죡하 리승린이가다경부에 피착엿다더니 작일에 경부에셔 법부로넘겨 평리원으로 보엿다대 그 건인즉 리의집에셔 쥬젼 긔계를 슈탐엿고 리승린의 집에셔 외국망명인과 잠통 편지등속을 슈탐엿다더라
    게재일1900년 9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우리나라 농업과학을 고속도로 발전시킨 기본 경험 정 27 상해시 직공 업여 교육의 새 형세 마비해 37 10년...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60

기타자료(205)

  • 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4819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17면 영;泳 영양군 일월면 주곡동 舊令제2회 1920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2032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5 88면 7. 졸업;18) 同 제6회 졸업자 (1922년 3월 20일) ■;■ (출신)충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1250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3 84면 7. 졸업자;18) 同 제6회 졸업자 (1922년 3월 20일) ■;■ (출신)충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0303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19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15) 제15회 126명(1919년 3월 졸업) 식;植 (주소 및...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6650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19면 1. 회원명부;1) 보통회원(갑종);(15) 제15회 126명(1919년 3월 졸업) 식;植 황해...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9)

  • / [종교·철학/유학]

    1544(중종 39)∼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유학자·의병장. 황 증손, 할아버지는 세우, 아버지는 응지이다. 어머니는 차순달의 딸이다. 이이·성혼의 문인이다. 1567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공조좌랑, 보은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1604년 선

  • 김성원 / 金聲遠 [종교·철학/유학]

    ?∼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학자. 증조부는 형조판서 김정이다. 의 문인이다. 어려서부터 독실한 행실이 있었고, 크고 작은 일에 관계없이 반드시 에게 물어 그의 남다른 사랑을 받았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이 의병을 일으키자 그를 따라 금

  • 김용겸 / 金用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1702∼1789). 김시보에게서 수학하였다. 1748년에 선공감감역에 제수된 이후 여러 벼슬을 거쳐, 우승지·공조판서가 되었다. 정조와 경서·사기·백가로부터 국장에 이르기까지 두루 토론하였다.

  • 건암서원 / 建巖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서천군 문산면 수암리에 있었던 서원. 1662년(현종 3)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이산보(李山甫)·()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고 위패를 모셨고, 1709년조수륜(趙守倫)·조속(趙涑)을 추가 배향하였다. 1713년에 ‘건암’이라는 사액을

  • 검암서원 / 儉巖書院 [교육/교육]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병암2리에 있는 서원. 1661년(현종 2) 지방유림의 공의로 ()·한일휴(韓日休)·신지익(申之益)·송국헌(宋國憲)·연최적(延最績)·지여해(池汝海)·이동형(李東亨)·변상회(卞尙會)·신영식(申永植)·박문고(朴文古)의 학문과 덕행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