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학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2)
- 재만조선시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李琇馨)ㆍ이학성(李鶴城)ㆍ이호남(李豪男)ㆍ손소희(孫素熙)ㆍ송철리(宋鐵利)ㆍ유치환(柳致環)ㆍ조학래(趙鶴來)ㆍ천청송(千靑松)ㆍ함형수(咸亨洙) 등과 같이 ‘가나다’순에 따라 13명의 재만시인(在滿詩人)의 시작품 51편을 수록하고 있다. 만주국 건국10주년을 경축하고...
- 함안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때 모두 타버렸다. 1955년 전교(典校) 황우석(黃禹錫)과 1957년 전교 조학래(趙學來)의 노력으로 명륜당과 동재‧서재를 복구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4칸의 대성전, 5칸의 명륜당, 내삼문, 각 3칸의 동재와 서재, 풍화루, 외삼문, 홍살문〔紅箭門〕 등이...연계항목함안향교(咸安鄕校)
고서·고문서(2)
- 5 第五統統首김泰演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拾壹辛巳等戊子戶口相准 第五戶業武鰥夫趙鶴來年伍拾壬寅本咸安父朔不祖敬相二祖不 知女年拾肆戊寅等戊子戶口相准연도_면이름1891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十七上南里
- 2 第二統統首尹仁淑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拾庚戌等丙午戶口 相准 第二戶 黃山道驛吏鰥夫李日孫年陸拾肆丙午本慶州父致叔祖元금曾祖鶴來外 祖崔恭必本慶州女年拾陸甲午等丙午戶口相准 第三戶 寡裵召史年肆拾陸甲子本김海父元石祖興卜曾祖夢七外祖김海元本慶 州女年拾陸甲午等丙午戶口相准 第四戶 幼學鰥夫宋致德年柒拾庚子本恩津父學生樞興祖學生厚泰...연도_면이름1849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二十八檢丹里
신문·잡지(8)
- 문학과예술_1996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만주체험의 두 반응-조학래론 오양호 39 운명과 도전한 화백 남희철 45 황혼에도 멜로디에 취해-토배기 작곡가 최동혁의 음악생애를...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6
- 함남로동신문_1949_1125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80 강길모 함흥시삼일리3구56번지 북조선로동당 조학래 영남 하늘을 찌르는 포푸라 숲 훤―히 동터오는 동녘 새빛안고 왕모래도 부드러운 길을 걸어 선거장으로 나아간다 갈아 제낀 논밭 논밭 귀여운 아들 얻은 어머니 마냥 자애로운 전원 부푸른...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125_03 | 책임주필강길모
- 함남로동신문_1949_1003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35(868) 강길모 함흥시 삼일리 3구 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한고갑 허가이, 박영, 한태북, 신득손, 박동필, 강이복, 조학래, 리원균, 리윤진, 김일성 중앙위원회, 직총, 민청 평화옹호 국제투쟁일을 맞이하는 함흥시의 아침은 밝았다...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003_03 | 책임주필강길모
- 함남로동신문_1949_1030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58 강길모 함흥시 삼일리 3구 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박영, 김민산, 조학래, 김경순, 므·느·그리바춉, 느·그·씨꼬베쯔끼, 그리엘, 쁘냐니그라이스라, 사라사데, 그·브·그리고얀, 그린까, 부치니, 느·브·예미란노바, 라프마니노브, 하챠뚜리안...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030_02 | 책임주필강길모
- 함남인민보_1949_0501_06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02 림상준 함남인민보사 조학래 김 장군, 쓰딸린, 김일성 5·1절 승리의 날이여 우리들의 명절이여! 해마다 싹트고 잎이 피는 봄이 오면 봄 같이 푸르러 정열이 그득 찬 힘으로 너를 맞이한다 쓰딸린을 부르며 만세- 김 장군을 부르며 만세- 만세...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501_06 | 책임주필림상준
기타자료(5)
- 조학래;趙鶴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조학래;趙鶴來 경상남도 함양 소화13년 3월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학래;趙鶴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4218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校友會誌 제7호 1932―12―13 17면 조학래;趙鶴來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 지보리 525 舊令 제5회 192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학래;趙鶴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4938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21면 조학래;趙鶴來 舊令제5회 192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학래;趙學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3394 남한 경성 선린상업학교 1-31 靑坡제12호 1933―01 176면 1. 1933년도 B조 졸업생(39명) 조학래;趙學來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선린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학래;趙學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3586 남한 경성 선린상업학교 1-31 靑坡13호 1934―01 176면 1. 1933년도 B조 졸업생(39명) 조학래;趙學來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선린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
-
조학래 / 趙學來 [종교·철학/유학]
1899년(고종 36)∼1964년. 조선 말기의 문인이다. 고조부는 조성헌, 증조부는 조방규, 조부는 조용진, 부는 조창제이다. 7, 8세에 부형에게 학문을 배우기 시작, 근면하고 나태하지 않아 문의를 쉽게 깨우쳤다. 이후 집안의 여러 어른들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육
-
함안향교 / 咸安鄕校 [교육/교육]
1957년 전교 조학래(趙學來)의 노력으로 명륜당과 동재·서재를 복구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4칸의 대성전, 5칸의 명륜당, 내삼문, 각 3칸의 동재와 서재, 풍화루, 외삼문, 홍살문〔紅箭門〕 등이 있다.
-
만주시인집 / 滿洲詩人集 [문학/고전시가]
(哈爾濱道裡公園)」), 윤해영(「해란강(海蘭江)」·「오랑캐 고개」·「사계(四季)」·「발해고지(渤海故址)」), 신상보(「흑과 갓치 살갯소」·「사막(沙漠)」·「여인숙(旅人宿)」·「걸인(乞人)」), 송철리(「노변음(爐邊吟)」·「도라지」·「북쪽하늘엔」·「추억(追憶)」), 조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