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태억” 에 대한 검색결과 79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80)

사전(71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藜室記述 辛壬提要 東國朋黨源流 黨議通略 淸選考 (1675-1728) 1675(숙종 1)∼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초서‧예서를 잘 썼으며, 영모를...
    이칭별칭 대년(大年)| 겸재(謙齋), 태록당(胎祿堂)| 문충(文忠)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8059 인물 () 1675 1728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대년(大年), 호는 겸재(謙齋) ∙ 평천(平泉) ∙ 태록당(胎祿堂). 최석정(崔錫鼎)의 문인이다. 16...
    유형분류인물
  • 상(像)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8060 작품 상(像) 像 가노 쓰네노부(狩野常信)가 그린 1711년 통신사 정사 ()의 초상화. 앉아있는 의 기품있는 풍모를 그려냈다. 의 『동사록(東槎錄)』에 〈고천법인화사가 와 보...
    유형분류작품
  • 부상일기(扶桑日記)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 쓰시마 조주인(長壽院)에 도착하기까지 매일 기술하였으며 사행과정이 비교적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다. 시문은 저자가 일본에서 창화하면서 지은 시 6편을 수록한 것이며 문견록은 없다. 1711년 사행의 정사인 ()이 일본에 갈 적에 이 책을 가지고 다니면서 보...
    유형분류문헌
  • 민제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31) 무과에 급제하여 감찰을 거쳐, 1711년 통신사 ()‧임수간(任守諫) 등을 따라 일본에 가다가 대마도(對馬島)에서 풍랑을 만나 위태롭게 되었을 때 혼자 일행을 구출하여 무사히 다녀온 뒤, 회령부사가 되었다. 1724년 전라병사를 거...
    이칭별칭 회백(晦伯)| 삼금당(三錦堂)

단행본(1)

  •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임선빈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240530
    조선후기 통신삼사에 대해 통신사 파견의 추이, 통신삼사의 인물별 개황, 통신사 인물 사례 연구로 나누어 살폈다. 조선후기 통신사 파견의 추이는 본 연구의 배경에 해당한다. 조선후기 통신사행은 선조 40년(1607)에 처음 다녀왔으며, 순조 11년(1811)에 끝났다...

고서·고문서(62)

  • 73094 B073094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43年 9月 16日_003 ○下直, 驪州牧使, 東萊府使趙榮福, 康翎縣監李時輝。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2838 B072838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43年 9月 16日_003 ○下直, 驪州牧使, 東萊府使趙榮福, 康翎縣監李時輝。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9662 B049662 덕진 德津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景宗 3年 10月 2日_002 ○下直, 廣州府尹李明誼, 馬梁僉使李世進, 德津萬戶, 長峯萬戶趙震傑, 龍津萬戶邊鎭邦。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稱號, 則明宗時事, 旣無可攷, 有難斷定, 在此一款矣。 戶曹判書曰, 杜氏通典, 實是歷代之所遵奉者, 可據者無過此, 而其中有以哀嗣稱之者, 此未爲不可矣。 李光佐曰, 昨聞班行中, 江都留守李眞望, 考出杜氏通典, 晉時稱以哀嗣一款, 取見則果有之。 諸議言此, 似稍勝於他字云, 而東...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答曰, 省疏具悉。 疏辭, 令該曹稟處, 爾其勿辭, 救護母病。 二十七日辰時, 上御煕政堂。 左議政, 引見入侍時, 左副承旨鄭壽期, 假注書權基彥, 記事官李宗白·李周鎭, 同爲入侍, 東萊府使權孚, 江界府使李載恒, 追爲引見入侍。 進伏曰, 春日尙寒, 上候何如? 上曰, 連爲無...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3)

  • / [종교·철학/유학]

    1675(숙종 1)∼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존성 증손, 할아버지는 계원이다. 아버지는 가석, 어머니는 윤이명의 딸이다. 태구·태채의 종제이다. 최석정의 문인이다. 1702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검열·지평·정언 등을 지냈다. 1707년 문과중시에

  • 명곡집 / 明谷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최석정의 시문집. 34권 17책. 목판본. 1721년(경종 1) 최석정의 문인 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이 있다. 권1∼6은 시, 권7은 부와 서인, 권8은 서, 권9는 기와 변려, 권10은 제문, 권11은 잠·명·찬·잡

  • 좌간필어 / 坐間筆語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신 이 음악에 대해 나눈 필담을 기록한 문답서. 1책. 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좌간필어』에는 아라이가 12곡에 대하여 내용을 설명하고, 우리나라 사신들이 그것에 대한 느낌이나 의문점을 말하고 있다. 이 가운데에 「장보악」에 대하여 아라이는

  • 김상석 / 金相奭 [종교·철학/유학]

    1690년(숙종 16)∼1765년(영조41). 조선 후기의 문신. 연흥부원군 김제남의 현손으로, 할아버지는 지평 김홍석이고, 아버지는 김호이며, 어머니는 윤세익의 딸이다. 1724년 영조가 즉위하면서 노론이 집권하자 간관이 되어 소론의 이광좌··이삼·심단 등을

  • 민응수 / 閔應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4∼1750) 광훈 증손, 할아버지는 시중, 아버지는 진주, 어머니는 정상징의 딸이다. 1728년 이인좌의 난 때 호서안무사의 종사관으로서 엄정하게 군기를 잡는 공을 세워 동래부사가 되었으며, 후에 우의정에 이르렀다. 후에 이광좌·의 관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