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청전선조약” 에 대한 검색결과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라의 총판전선공정사무(總辦電線工程事務) 김창우(金昌宇)‧진윤이(陳允頤) 등이 한성에서 조선 측 외무독판(外務督辦) 김윤식(金允植), 협판(協辦) 서상우(徐相雨) 등과 협상하여 전문 8조로 된 「」을 체결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① 인천을 기점으로 한...
  • 한성전보총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5년(고종 22) 서로전선(西路電線)을 운영하기 위하여 서울에 설치된 전보국. [내용] 1885년 6월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이 체결되었는바, 그 내용은 조선과 청나라가 합작하여, 인천을 기점으로 서울을 경...
  • 해저전선(海底電線)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저전선 해저전선 海底電線 전신(電信) 조일해저전선부설조약(朝日海底電線敷設條約), 부산구설해저전선약관(釜山口設海底電線約款), 조일해저전선부설조관속약(朝日海底電線敷設條款續約), (), 청국전선총국(淸國電線總局),
    상위어전신(電信) | 관련어조일해저전선부설조약(朝日海底電線敷設條約), 부산구설해저전선약관(釜山口設海底電線約款), 조일해저전선부설조관속약(朝日海底電線敷設條款續約), 조청전선조약(朝淸電線條約), 청국전선총국(淸國電線總局), 대북부전신주식회사(大北部電信株式會社)
  • 조선북로전선조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0년부터 계획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는데, 이 때에는 우선 서울서 원산까지만 개설을 시도하였다. 그런데 1885년 7월 조선과 청나라간에 체결된 에 의하여 조선내에서 전선을 가설할 때에는 청나라전신국의 사전승인을 얻도록 되어 있었다. 그래서...
  • 조일해저전선부설조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一郎) 사이에 체결되었다. 한편, 청나라도 일본에 대항해 청나라와의 근대적 통신시설의 가설을 조선 정부에 요구하였다. 1885년 7월 ()을 체결하고, 청국전선총국(淸國電線總局)이 공사비 10만냥을 차관해 인천-서울-의주간의 전선을 설치함으...
    이칭별칭부산구설해저전선약관

주제어사전(3)

  • / [역사/근대사]

    북양대신 이홍장에게 요청, 청나라가 실무 사절을 조선에 파견하게 되었다. 청나라의 총판전선공정사무 김창우, 진윤이 등이 한성에서 조선 측 외무독판 김윤식, 협판 서상우 등과 협상하여 전문 8조로 된 ''을 체결하였다.

  • 한성전보총국 / 漢城電報總局 [역사/근대사]

    1885년 서로전선을 운영하기 위하여 서울에 설치된 전보국. 1885년 6월 조선과 청 사이 이 체결되어, 8월 인천부터 서울간 전선가설공사가 완료되었다. 이에 따라서 전선의 전보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한성전보총국이 설치되었고, 인천, 평양, 의주에 분국을

  • 조선북로전선조약 / 朝鮮北路電線條約 [역사/근대사]

    때에는 우선 서울서 원산까지만 개설을 시도하였다. 그런데 1885년 7월 조선과 청나라간에 체결된 에 의하여 조선내에서 전선을 가설할 때에는 청나라전신국의 사전승인을 얻도록 되어 있었다. 그래서 1890년 3월 조선은 북로전선 가설계획을 청나라에 통보하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