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지빈” 에 대한 검색결과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91(숙종 17)∼1730(영조 6).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인지(麟之). 계원(啓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가석(嘉錫)이고, 아버지는 태억(泰億)이며, 어머니는 심구서(沈龜瑞)의 딸이다. [...
    이칭별칭 인지(麟之)
  • 이사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압송되어 영조가 인정문(仁政門)에 나아가 친국함에 사실대로 자복하였다. 이듬해 3월 참형되었고 그의 처자도 또한 연좌되어 처형되었다. 그가 실시한 군제인 삼부초장도 이 해 5월 양서안무사(兩西安撫使) ()의 주청에 따라 폐기되었다. ...
  • 홍우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게 다시 탄핵을 받았고, 1724년에는 정주(定州)로 귀양을 갔다. 1725년 지사 민진원(閔鎭遠)이 서용(敍用 : 죄를 지어 벼슬을 면한 사람에게 다시 관직을 주어 씀.)을 주청한 결과, 복직해 판결사가 되었다. 그리고 대사간‧...
    이칭별칭 집중(執中)| 구만(龜灣)
  • 이광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르려는 것을 제어해 조태억으로부터 미움을 받던 중, 홍문관 관원의 천거 시비를 계기로 다시 조태억‧지빈과 심하게 다투다가 대사간 과 함께 파직되었다. 1728년 1월 호남의 감진어사(監賑御史)로 파견되었다가, 그 해 3월 이인좌(李麟佐)의 난...
    이칭별칭 성뢰(聖賴)| 관양(冠陽)
  • 윤헌주(尹憲柱)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기복(起伏)하여 북도안무사(北道按撫使)로 삼고, 병조 참의 ()을 양서 안무사(兩西按撫使)로 삼아, 함경도와 평안도의 민심을 안정시키도록 하였다.[『영조실록』 4년 3월 20일] 그리하여 함경도 경성(鏡城)으로 달려간 윤헌주는 북병사(北兵使)의 군대...

고서·고문서(25)

  • 熙政堂夜對,退而有作【四月也。時廳進箋,大蒙恩獎,賞賜《國朝寶鑑》】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1600 熙政堂夜對,退而有作【四月也。時廳進箋,大蒙恩獎,賞賜《國朝寶鑑》】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
    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42975 B042975 대정 大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景宗 3年 7月 2日_023 ○正言啓曰, 請金姓宮人行藥者, 卽速摘發, 出付攸司, 快正王法。 請還收大靜圍籬安置罪人申銋出陸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2976 B042976 대정 大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景宗 3年 7月 3日_016 ○正言啓曰, 請金姓宮人行藥者, 卽速摘發, 出付攸司, 快正王法。 請還收大靜圍籬安置罪人申銋出陸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2982 B042982 대정 大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景宗 3年 7月 7日_033 ○正言啓曰, 請金姓宮人行藥者, 卽速摘發, 出付攸司, 快正王法事。 措辭見前 請還收大靜圍籬安置罪人申銋出陸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3072 B043072 대정 大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景宗 3年 7月 7日_033 ○正言啓曰, 請金姓宮人行藥者, 卽速摘發, 出付攸司, 快正王法事。 措辭見前 請還收大靜圍籬安置罪人申銋出陸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691년(숙종 17)∼1730년(영조 6).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조계원, 조부는 조가석이다. 부친 조태억과 모친 심구서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처부는 이조이다. 1718년(숙종 44)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관직 초기에 홍문록 15인 중 한 사람으로 뽑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