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지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5)
사전(27)
- 우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조지겸(趙持謙)의 시문집. [내용] 11권 5책. 목활자본. 1692년(숙종 18) 홍제립(洪悌立)‧양진명(梁進明)이 편집, 간행하였다. 책머리에는 세계가 있고, 각 권 앞에 목차가 있다.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 조지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저서로 ≪오재집≫이 있고, 편서로 ≪송곡연보 松谷年譜≫가 있다. 顯宗改修實錄 肅宗實錄 國朝榜目 東國朋黨源流 淸選考 黨議通略 조지겸(1639-168...이칭별칭 광보(光甫)| 오재(汚齋)
- 조지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숙종 때의 문신이다. 나라에서 글을 지어 올리라는 명을 받고 글을 지어 올린다. 임금이 친찬하여 오찬을 주시니 표를 올려 사은하고 영화로이 여긴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권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58(효종 9)∼1731(영조 7).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자는 여유(汝柔). 절충장군(折衝將軍) 임도(任度)의 아들로 작은아버지 임정(任正)에게 입양되었다. 조지겸(趙持謙)에게 학문을 배웠고, 뒤에 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성...이칭별칭 여유(汝柔)
- 염환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전염병. 염병(染病), 염질(染疾). 自京還 始聞兄主家有染患, 조지겸(趙持謙), 46-8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28)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3462 B013462 강도 江都 정치행정 肅宗實錄 八年(1682) 十月 숙종실록_10810006_003 ○命江都殉節人宋時榮贈職敎旨, 勿書康熙年號, 因趙持謙所達也。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3553 B013553 강도 江都 정치행정 肅宗實錄 九年(1683) 四月 숙종실록_10904023_002 ○引見大臣、備局諸臣。 禮曹判書南二星曰: “頃因趙持謙所達, 丙子死節臣洪翼漢妻子、子婦殉節實跡, 令該曹訪問矣。 江都陷沒時, 翼漢後妻許氏, 遇賊不屈, 前妻子晬元身翼蔽許...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검모포(黔毛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萬戶, 朴震昌單付栗浦權管, 以成就程爲忠翊衛將, 以南龍翼·尹堦·朴純·宋昌·尹敏聖·趙持謙單付副護軍, 以金鎭龜單付副司直, 金萬埰單付副司果, 金昌碩單付副司勇。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리포(加里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戶, 朴震昌單付栗浦權管, 以成就程爲忠翊衛將, 以南龍翼·尹堦·朴純·宋昌·尹敏聖·趙持謙單付副護軍, 以金鎭龜單付副司直, 金萬埰單付副司果, 金昌碩單付副司勇。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511 B007511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9年 4月 16日_015 ○引見時, 副提學趙持謙所啓, 南漢祠宇三臣中洪翼漢之子, 當丁丑亂時, 入江都, 以身蔽其繼母, 母子俱死。 其後朝家, 有恤後之命, 故嗣子及孫, 皆蒙錄用之典矣。 況其子, 爲母殺身, 忠孝兩備於一...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조지겸 / 趙持謙 [종교·철학/유학]
1639(인조 17)∼1685(숙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영중 증손, 할아버지는 익, 아버지는 복양. 어머니는 이경용의 딸이다. 1670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대교·설서·이조좌랑·사간·응교·승지·대사성·부제학·형조참의, 고성군수, 경상도관찰사 등을 두
-
권구 / 權絿 [종교·철학/유학]
1658(효종 9)∼1731(영조 7). 조선 후기의 학자. 절충장군 권임도의 아들로 작은아버지 권임정에게 입양되었다. 조지겸에게 학문을 배웠고, 뒤에 윤증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특히 예학에 밝았다. 저서로는『오복편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