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중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
사전(7)
- 조중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목(國朝榜目)』 『청선고(淸選考)』 『매산집(梅山集)』 조중회(1711-1782) 1711(숙종 37)∼1782(정조...이칭별칭 익장(益章)| 충헌(忠憲)
- 임관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뗄감을 마련할 수 있는 땅) 혁파, 북도(北道) 흉황(凶荒)과 관련한 함경감사 조중회(趙重晦) 파직 등의 일을 처리해 주도록 청하였다. 또 관리의 잦은 교체를 비판하고, 각 군문의 개인 주택을 수용, 철거하는 행동을 시정시켜 줄 것을 주장하였다. 1...이칭별칭 숙빈(叔賓)
- 선언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에 편찬된 편자 미상의 야담집. [내용] 확실한 편찬연대 및 편찬자는 알 수 없지만, 제24화 가운데 ‘조중회(趙重晦)’와 ‘정묘(正廟)’의 이야기가 들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19세기 이후의 것임이 분명하다. 책의 내용
- 정청등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영조 16), 1743년의 기록으로 각각 존호(尊號)를 높일 것을 요청하는 내용과, 언로가 막힌 것을 통박한 정언 조중회(趙重晦)의 상소로 인해 왕이 신하의 청대(請對)를 허락하지 않은 건에 대한 것으로 되어 있다. 제6책은 순조의 즉위를 요청하는 내용과 복선...
- 준원전(濬源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었다. 1837년(헌종 3) 준원전에 도둑이 들어 진전 안에 있던 여러 기물을 훔치는 데 그치지 않고 태조 영정을 찢어 훼손하는 일이 발생했다. 조정에서는 바로 태조 어진을 서울로 옮기고, 이한철(李漢喆)과 조중회(趙重晦)에게 새로 그리게 한 후 다시 봉안하였다. 18...상위어진전(眞殿), 태조진전(太祖眞殿) | 관련어경기전(慶基殿), 계명전(啓命殿), 목청전(穆淸殿), 봉선전(奉先殿), 영숭전(永崇殿), 집경전(集慶殿)
고서·고문서(35)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8318 B048318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3年 4月 28日_002 ○下直, 全羅右水使梁世絢, 楊州牧使趙重晦, 大靜縣監宋益彩。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6587 B076587 동래 東萊 정치행정 英祖實錄 二十四年(1748) 十二月 영조실록_12412021_006 ○以李宗白爲大司憲, 魚錫胤爲司諫, 林象老爲掌令, 權抗爲持平, 沈墢、韓德良爲正言, 李奎采爲副校理, 趙重晦爲修撰, 具聖任爲刑曹判書, 鄭羽良爲判義禁, 黃梓爲開城...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5571 B035571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51年 4月 11日_014 ○有政。 吏批, 判書趙重晦牌不進, 參判尹得養進, 參議金致讓式暇, 都承旨申益彬進。 以金履常爲持平, 李宅鎭爲左尹, 申熤爲左通禮, 李遠培爲尙衣主簿, 洪進漢爲繕工主簿, 鄭忠彦爲奉常主簿...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개운포(開雲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530 B017530 개운포 開雲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30年 8月 28日_002 ○下直, 尙州牧使趙重晦, 寧邊府使李景喆, 中和府使李興遠, 南原府使趙榮進, 錦山郡守宋晉欽, 金川郡守鄭錫耉, 載寧郡守洪益彬, 草溪郡守李永命, 慈仁縣監崔鎭岳, 丹城縣監趙㷜, 長連縣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개운포(開雲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543 B017543 개운포 開雲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30年 8月 28日_002 ○下直, 尙州牧使趙重晦, 寧邊府使李景喆, 中和府使李興遠, 南原府使趙榮進, 錦山郡守宋晉欽, 金川郡守鄭錫耉, 載寧郡守洪益彬, 草溪郡守李永命, 慈仁縣監崔鎭岳, 丹城縣監趙㷜, 長連縣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조중회 / 趙重晦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1∼1782). 정언으로 왕의 사묘 참례와 사행의 폐를 논박해 삭탈되었고, 탕평에 반대한 윤급을 변호하여 파직됐으나, 곧 기용돼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사도세자 죽음의 부당함을 극간하여 무장에 유배되었고, 홍국영 사후 이조판서에 임명되나
-
선언편 / [문학/구비문학]
조선 말기에 편찬된 편자 미상의 야담집. 확실한 편찬연대 및 편찬자는 알 수 없지만, 제24화 가운데 ‘조중회(趙重晦)’와 ‘정묘(正廟)’의 이야기가 들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19세기 이후의 것임이 분명하다. 책의 내용 중 그 일부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자료가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