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준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5)
- 조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76(선조 9)∼1665(현종 6).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경행(景行), 호는 방호(方壺). 청송 출신. 아버지는 판서에 추증된 지(址)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습독(習讀) 회(恢)의 딸이...이칭별칭 경행(景行)| 방호(方壺)
- 방호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조준도(趙遵道)의 시문집. [내용] 5권 2책. 목판본. 1845년(헌종 11) 유치호(柳致皜)의 교열을 거쳐, 그의 후손인 태호(泰祜)ㆍ용진(龍震)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연보와 정종로(鄭宗魯)ㆍ강필효(...
- 괴암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형도(趙亨道)‧이준성(李俊成)‧조준도(趙遵道)‧권익(權翊)‧신집(申楫) 등과 수창한 것이며, 당시 석학들에 대한 만사(挽詞)들이다.
- 방호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신성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정자. [내용]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51호. 조선 후기의 학자 조준도(趙遵道)가 생모를 생각하는 뜻에서 모친인 안동권씨(安東權氏) 묘소 밑에 건립하고, 자신의 호를 따 이름붙...연계항목방호정(方壺亭)
- 청송군(경상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해군 11) 방호 조준도가 건립한 방호정이 있다. 계곡에서 8㎞ 가량 떨어진 고와리에는 눈으로 뒤덮인 듯한 3천여 평의 암반인 백석탄이 있다. 항리얼음골은 말 그대로 섭씨 30℃가 넘는 무더위가 찾아오면 작은 샘에서 얼음이 얼고 그 사이로 찬바람과 찬물이 나오며...
고서·고문서(3)
- 1 第一統統首白乃興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拾壹壬戌等己酉戶口相准 第二戶 驛吏全善彦年陸拾壹壬子本慶山父通政貴知祖通政順立曾祖日祥外祖金自明本金海妻 朴姓年伍拾玖甲寅本密陽父通政承先祖命立曾祖俊道外祖金石九本金海率子允大年貳拾 捌乙酉婦姜召史年貳拾捌乙酉女召史年拾伍戊戌等己酉戶口相准 第三戶 府軍官洪有白年參拾捌乙亥本南陽父通政世進...연도_면이름1792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七栗峴里
- 6 第六統統首張厚尙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拾貳壬子本慶山父通政貴枝祖通政順立曾祖通政一祥外祖金自命本金海妻 朴姓年伍拾甲寅本密陽父通政承先祖命立曾祖俊道外祖不知率子順大年拾玖乙酉率女召史年拾 陸戊子次女年拾肆庚寅次女年拾甲午等庚子戶口相准 第三戶 驛吏金光周年參拾貳壬申本金海父龍大祖哲石曾祖一天外祖孫國先本密陽妻宋召史 年參拾甲戌本延安父驛...연도_면이름1783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七栗峴里
- 후암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경관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 마치 선조들과 마주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었기에 그 감회를 기록하였다. 五仙洞事는 1615년(光海 7) 5월, 蒼石 李埈(1560∼1635)이 靑松을 방문하여 東溪 趙亨道(1567∼1637), 方壺 趙遵道(1576∼1665), 楓崖 權翊(未...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
- 동북후비군_1996_33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46 공개적인 자료중의 군사정보 조준도 47 47쪽 상단 왼쪽이 조금 잘려 있습니다. 세 일본녀간첩 체포기 50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6
주제어사전(3)
-
조준도 / 趙遵道 [종교·철학/유학]
1576(선조 9)∼1665(현종 6).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지, 어머니는 권회의 딸이다. 재종숙인 개에게 입양되었으며, 김언기의 문인이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에는 고을사람들과 함께 창의하고 사재를 털어 군수물자를 조달하였고, 1629년 행의로
-
조술도 / 趙述道 [종교·철학/유학]
1729년(영조 5)∼1803년(순조 3).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조군, 조부는 조덕린이다. 부친 조희당의 5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형으로 조준도·조운도·조근도·조진도가 있다. 부인은 김주우의 딸이다. 이상정과 김낙행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저서로《운교문답》,
-
조운도 / 趙運道 [종교·철학/유학]
1718년(숙종 44)∼1796년(정조 20).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조군, 조부는 조덕린. 부친 조희당의 5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조준도와 동생 조술도·조진도·조근도가 있다. 부인은 이륜의 딸이다. 과거 공부를 포기하고 자신의 수양을 닦기 위한 공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