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준” 에 대한 검색결과 1,50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87)

사전(47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관. [개설] 본관은 횡천(橫川). 개부의동삼사 수태사 문하시랑평장사 판이부사(開府儀同三司守太師門下侍郎平章事判吏部事) 영인(永仁)의 아들로, 추밀부사 한림학사 승지 충(沖)의 형이며, 최충수(崔忠粹)의 사위이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와 왕씨 부흥을 꾀하였다. 그가 이성계(李成桂)와 인연을 맺은 것은 이 무렵이다. 이성계는 1388년 위화도에서 회군한 뒤 중망(重望)이 있는 을 불러 일을 논의하고는 지밀직사사 겸 대사헌(知密直司事兼大司憲)에 발탁, 크고 작은 일을 일일이 자문하였다. 이에...
    이칭별칭 명중(明仲)| 우재(?齋), 송당(松堂)| 문충(文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27(영조 3) ∼ ?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경서(景瑞). 중운(仲耘)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도보(道輔)이고, 아버지는 상기(尙紀)이다. 어머니는 임취(任㝡)의 딸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은 재산을 모두 잃고 방황하는 신세가 되는데, 우연히 설군관의 주점 앞에서 설낭[향란의 환생]을 보고 서로 첫눈에 반하여 그날 밤 백년가약을 맺는다. 행복한 시절도 잠시, 외삼촌 소하가 한나라 유방의 승상으로 있다가 을 추천하여중군 교위가 되어 이별하게 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조철의 아들이다. 호색한인 까닭에 주색에 빠져 세월을 보내던 중 친구여주에게서 장소저의 뛰어난 미색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뛸 듯이 기뻐한다. 여주에게 거금을 주며 중매를 청하며 반드시 혼인을 성사시키기를 당부한다. 장씨 가문에 정식 매파를 보내나 ‘이미 하공자와 혼인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856)

  • 經史門7_成朱子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朱子 朱子諱熹, 父諱松. 從木從火, 卽五行相生之序. 其後曰塾, 曰鑑, 曰浚, 皆然也. 當時秦檜之家, 已有此例, 歷熺、塤以下, 皆不廢也. 大明 朱氏, 世傳朱子之後, 故自成祖名棣, 一一效爲之, 外此寥寥無聞. 意者, 明人令甲嚴酷, 不敢僭與國同耶? 我邦中世以前, 無此俗...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詩文門1_飛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繩 《管子》曰: “‘飛繩’, 謂鳥之飛也, 必還山集谷, 不必正直. 然起于北, 意南而至于南; 起于南, 意北而至于北. 苟大意得遂, 不以小迂爲傷.” 其意則善, 而其言非也. 如曰“千里之路, 不可扶以繩; 萬家之都, 不可平以準”者, 其勢固然, 而不害其爲平直, 雖欲繩準,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768년 원(瑗) 위장(慰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위장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위장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정유년 ▣(▣) 수표(手票)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수표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수표 | 현소장처영광 입석 영월신씨
  • 명(明), 이곤변(李鯤變) 반변(反辨)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문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구술자료(11)

  • 하륜(河崙) ()과 하조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하조대 전설을 들려 달라고 하자 이 이야기를 들려 주었다.*
    조사일시1981-06-21 | 조사장소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 제보자한해성
  • 정광수 대담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언이 녹음된 자료이다. 2) 음질 상 조상선 송만갑 이동백 김창환 형 김소희 김봉이 강남봉 신방초 신영초 신마산표 신갑두 유성준 권금주 박현욱 임방울 김연수 김세종 장자백 박초월 박초보 김정문 영산허두 영산 영산회상 단가 동일창극단 사창화류 엇중모리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광수
  • 비행기가 나를 해가지고, 이래 비행기가 이렇게 오는데 저리 도 망가면 그건 백발백중 죽어. 비행기가 이렇게 가면서 총을 쏘기 때문에 비행기 오는 쪽으로 뛰어 버려야 이 되는 것이 지나가버리기 때문에 그런 식으로 해야 돼. 그 인민군들은 무슨 큰 제방 뚝 같은 거
    조사지역경기 평택 | 조사일2014년 6월 24일
  • 해갖고 저 올라오면 해쏸다 그런 사 람이 있거든. [조사자 : 다 거짓말이죠.] 전부 거짓말이야. 거짓말이고. 호에 들어앉아믄 호는 말이 지 고만 머리는 비슷허니 박고, 총을 이래가지고 손으로 쏴지. 누가 몸둥이 내놔가지고 해서 쏴는 사람이 어데있습니까?
    조사지역경북 상주 | 조사일2012년 6월 9일
  • 다 싸놨어. 투구 쓰고 쭈그리고 죽었다고 하더라고. 그니까 인제 탄에 맞은 게 아니고 아마 유탄에 막 그냥 쏴대니까 유탄에 맞은 모양이야. 그러니까 기분 나쁘다고 거길 메 꿔버린거야. [조사자 : 여기는 그런 일이 중공군 경험담이 많네요] 그렇죠. 제 생각에는 인
    조사지역강원 춘천 | 조사일2013년 2월 18일

기초학문(32)

  • 誠菴 夏의 삶과 詩 考察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4
    37678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4 誠菴 夏의 삶과 詩 考察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신속한 운동의 수행시 주시점의 방향이 시각적 정보처리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상범, 게재일 : 2005
    34169 박상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5 신속한 운동의 수행시 주시점의 방향이 시각적 정보처리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언어변천과 유형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준구, 게재일 : 2003
    02798 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어독문학회 2003 언어변천과 유형화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3f11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추상적 포괄범주와 개별범주의 구체화: 부문장과 부정사구의 형성(언어변천과 유형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준구, 게재일 : 2005
    03965 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어독문학회 2005 추상적 포괄범주와 개별범주의 구체화: 부문장과 부정사구의 형성(언어변천과 유형화)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救濟方式請求類型과 原告勝訴率간의 自己選擇 問題:不法妨害訴訟을 이용한 理論 및 計量分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준모, 게재일 : 2001
    09874 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제경상학회 2001 救濟方式請求類型과 原告勝訴率간의 自己選擇 問題:不法妨害訴訟을 이용한 理論 및 計量分析 https://www.krm.or.kr/krmts/link.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82)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桓(桓) 서울 桓 淸進町 1100 금융 - 금융 - 22.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趙俊桓(趙俊桓) | 지역서울 | 품목금융 | 영업종목금융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鎬(鎬) 서울 鎬 光化門通 155 금융 - 금융 - 9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趙俊鎬(趙俊鎬) | 지역서울 | 품목금융 | 영업종목금융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輝(シノザキ食料品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崎輝(シノザキ食料品店) 서울 崎輝 シノザキ食料品店 三坂通 254 식료품 - 식료잡화 소매 41.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
    대표표제어崎篠尊輝(シノザキ食料品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식료잡화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한효 평양시 민본리 15 투사신문사 뻔뻔스럽게도 남의 주머니에 손을 넣고 금전을 따기하려다 그만 그 자리에서 발견되어 체포되고 만 사나이가 있다. 바루 시내 교구리 19번지에 거주하는 섭(32)이라는 자인데 시장으로 네거리로 발 가는 곳으로...
    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009_02 | 책임주필한효
  • . 히틀러배는 2층석조로대에 모래마대로 방비한 보루 속에서 우리를 향하여 사격하고 있었다. 다시 무기를 돌리는 것은 화력또치까의 화력 하에 함입됨을 의미함이다. 나는 처음으로 우선화력또치까와 결전하겟다고 결심하였다. 대포수인 군조미헤 □□가 머리를 상하였다. 나는...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6_1124_02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기타자료(35)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4666 남한 전남 광주제일고등학교 2-08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대장(1925-1941) n.r. 45면 12. 제12회 졸업생(50음순) 1936년 3월 3일 ; 제12회
    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광주제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7205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8면 ; 함북 富寧邑 古茂山朝鐵會社 1924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4958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7면 ; 1924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980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49면 석;錫 평북 平州;경성부 어성정 41 재학생 제2학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형;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3389 남한 경성 휘문중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36면 형;衡 충남 천안군 동면 용두리 327 제2회 1940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7)

  • / [종교·철학/유학]

    1346(충목왕 2)∼1405(태종 5). 여말선초 때 문신. 인규의 증손, 아버지는 덕유이다. 아들 대림이 태종의 둘째딸 경정공주와 혼인, 태종과는 사돈이 된다. 판문하부사, 좌정승, 영의정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정도전의 ≪조선경국전≫ 및 ≪경제문감≫ 편찬에 영향을

  • 도 / [종교·철학/유학]

    1576(선조 9)∼1665(현종 6).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지, 어머니는 권회의 딸이다. 재종숙인 개에게 입양되었으며, 김언기의 문인이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에는 고을사람들과 함께 창의하고 사재를 털어 군수물자를 조달하였고, 1629년 행의로

  • 마전 / 馬田 [정치·법제/법제·행정]

    역마를 기르기 위해 그 재원으로서 설치된 토지. 고려시대에 마전이라는 토지 종목이 존재했다는 것은 1388년(우왕 14)에 ()의 상소문 내용에 “마위구분전(馬位口分田)은 전례대로 절급하라.”는 대목이 있는 사실로 미루어 확인할 수가 있지만, 그 구체적 내용

  • 만호부 / 萬戶府 [정치·법제/국방]

    년(우왕 14)에 () 등의 건의에 따라 왜구 방어를 위한 수군만호부가 설치되었다.

  • 정몽주 / 鄭夢周 [종교·철학/유학]

    1337-1392. 고려 말의 유학자. 삼은의 한 사람이다. 1360년에 과거급제하 여러관직을 두로 역임하였다. 이성계의 세력이 커지자 그 일파를 제거하려다 실패하여 선죽교에서 피살당했다. , 정도전 등의 급진적인 개혁에 반대하여 온건개량파의 입장에서 유교를 진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