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종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0)
사전(42)
- 조종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종도(1537-1597) 1537(중종 32)∼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문신. ≪근묵≫에서.이칭별칭 백유(伯由)| 대소헌(大笑軒)| 충의(忠毅)
- 조종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정유재란 때 황석산성에서 비참하게 죽은 사람이다. 비참하게 죽은 일은 슬프지만, 나라를 위해 목숨을 버린 일에 대해서는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조종도(趙宗道)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8046 인물 조종도(趙宗道) 조종도 趙宗道 1537 159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백유(伯由), 호는 대소헌(大笑軒).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영남으로 돌아와 초유사(招諭使) 김성...유형분류인물
- 황석산성(黃石山城)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곽준(郭䞭)과 함양군수(咸陽郡守) 조종도(趙宗道) 등이 이끄는 군대가 필사적으로 방어하였으나 결국 함락되었다. 사적 제 322호이다. 『宣祖實錄』; 申叔舟, 『國朝寶鑑』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유형분류유적
- 곽준(郭䞭)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관찰사(觀察使) 김성일(金誠一)의 천거로 자여도찰방(自如道察訪)으로 임명되어, 이듬해 기근 때 굶주린 백성들을 구휼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안음현감(安陰縣監)으로서 함양군수 조종도(趙宗道) 등과 함께 황석산성(黃石山城)을 방어하면서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 휘하...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8)
- 관음사(觀音寺)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儒業承襲家庭之學以忠信孝悌自勵矣當壬辰亂以子弟軍官調兵贊劃之功弘多嘗赴李統使舜臣熊川之陣協力控制與趙宗道郭再佑合陣以拒墻峙鼎津之賊又與金別將應南大破山陰賊而還行察訪亂後與李進士鵾變臥龍李顯遊觀音寺有和詩)崔鳴虎(堈之子當壬辰亂爲子弟軍官討賊成功官至主簿)黃瑾(瑄之弟當壬辰亂與兄瑄倡義討賊多立戰功錄原...출처전거慶尙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 第一統統首김聲悅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震曾祖得萬外祖忠義林 枝仁本平澤母林姓年柒拾陸庚子等壬午戶口相准 第五戶 主鎭軍辛莫乃年伍拾伍辛卯本寧越父貴山祖載滿曾祖夏發外祖夫之妻鄭姓年 伍拾肆壬辰本東萊父日善祖宗道曾祖不知外祖李處貴本慶州子營銀匠於落只年拾 陸庚午等壬午戶口相准 第六戶 主鎭軍鰥夫徐大福年捌拾肆壬戌本大邱父德芝祖漢周曾...연도_면이름1825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五周念里
- 危忠凜節,激勵士卒,以樹尺寸之功,上也,勢窮力盡,繼之以死,以扶三ㆍ五之常,亦分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其後申維翰作詩曰:“天地報君三壯士,江山留客一高樓。” 安陰縣監郭䞭,當萬曆丁酉,倭寇大至,入黃石山城。時義兵將郭再祐,入昌寧火王山城,期死守。賊到山下,仰見形勢斗絶,而城內人靜帖不動,不攻而去,攻黃石山城。城陷,䞭與子履祥ㆍ履厚皆死,䞭女嫁柳文虎,夫妻皆死。○咸陽前郡守趙宗道嘗曰:“吾嘗從大...권차명牧民心書 卷九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검간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의병장들과 약속을 정하다. 그믐에 의병대장 金沔을 牛旨嶺에서 만나 왜적의 토벌할 일을 강구하다. ◦1593년(39세, 선조 26) 1월 1일에 山陰에 가서 巡察使를 뵙고 軍陣의 일을 논하다. 辛酉에 山陰에 머물며 朴惺‧趙宗道와 함께 의병에 관한 일을 의논하다. 2 월...분야문학 | 유형문헌
- 경암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세웠던 것으로 여겨진다. 佐中軍趙公常享文 7 同知左中軍을 지낸 趙純性을 덕암서원에 常享하는 祝文이다. 迂拙子朴公常享文 7 迂拙齋 朴漢柱(1459~1504)를 덕암서원에 常享하는 祝文이다. 大笑軒趙公常享文 7 大笑軒 趙宗道를 덕암서원에 常享하는 祝文이다. 行狀 六代祖考肅...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7)
-
조종도 / 趙宗道 [종교·철학/유학]
1537(중종 32)∼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언, 어머니는 강로의 딸이다. 정두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58년(명종 13) 생원시에 합격한 뒤 천거로 안기도찰방이 되었다. 이 때 이황의 문하생들인 유성룡·김성일 등과 교유하였다. 양지현감
-
경림서원 / 慶林書院 [교육/교육]
) 조종도(趙宗道)가 추향(追享)되었다.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하여 훼철된 후 복설되지 못하였다.
-
황암서원 / 黃岩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당본리에 있었던 서원. 1717년(숙종 43)에 조종도(趙宗道, 1537∼1597)와 곽준(郭䞭, 1551∼1597)을 향사하기 위해 안음현(安陰縣)에 건립된 서원이다. 1718년(숙종 44)에 황암서원(黃岩書院)으로 사액을 받았다. 1868년
-
곽준 / 郭䞭 [역사/조선시대사]
1551(명종 6)∼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문신. 승화 종손, 할아버지는 미, 아버지는 지완, 어머니는 초계정씨로 옥견의 딸이다. 배신의 문인, 박성과 교유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안음현감으로 함양군수 조종도와 함께 호남의 길목인 황석산성을 지키던
-
김면 / 金沔 [종교·철학/유학]
1541년(중종 36)∼1593년(선조 26). 조선 중기의 학자·의병장. 아버지는 경원부사 김세문, 어머니는 김해 김중손의 딸이다. 조식과 이황의 문인이다. 1592년(선조 25)임진왜란이 일어나자 5월에 조종도·곽준·문위 등과 함께 거창과 고령에서 의병을 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