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조” 에 대한 검색결과 5,08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059)

사전(808)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독실하게. 且因人聞近來大有所成就 喜幸不可量 ..着功尤所望也, 이상진(李尙眞), 3-127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상례에서 죽은 자의 시신을 사당에 옮겨 조상을 알현하고 하직 인사를 올리도록 하는 의식. 는 발인에 앞서 사당에 모셔진 조상에게 하직 인사를 올리는 의식이다. 주자가례朱子家禮의 상례 절차에 의하면 발인 하루 전에 빈소에 있던 영구(靈柩)를 사당으로 옮겨 조상을...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서초패왕을 따라 문무 신하를 거느리고 금산사창업연에 참여해 서쪽 누각에 머무른다. 여러 황제가 쾌사를 이야기하자, 득세하던 때 술잔을 기울이며 시를 읊던 상황을 말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옥황상제의 조회석상에서 명나라 황제로 환생하도록 예정된 촉한소열제의 바람에 따라 소환된다. 문선왕[공자]에게 과거에 대대로 한나라의 녹을 먹은집안에서 태어났음에도 간사한 무리들과 떼를 지어 임금을 핍박한 끝에 나라까지 망케 한책임을 추궁받지만, 좀처럼 죄를 인정치 않아...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삼국 시대의 간웅이다. 별주부가 토끼의 간을 구하기 위해육지로 떠날 때에 마주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3,685)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240 附 雜纂集 二 ITKC_MP_0597A_0240_040_008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
    권차명附 雜纂集 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ES_00029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續編終 答安順菴問目_喪禮 이익(李瀷, 1681~1763) DRAC_7:1:3:12Q 之禮, 古禮, 升降皆由西階, 《家禮》只云“祠堂前”, 無東西之別者, 何也? 《語類》“時, 祖亦合有奠”, 此...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소가둔구(苏家屯区) 팔일공사 래승대대 7 1 , 위무제, 자명, 맹...
    대표표제어조조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소가둔구(苏家屯区) 팔일공사 래승대대 8 8 , 침략, 대항, 차년...
    대표표제어조조 | 성씨
  • 庚寅元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補遺 3 熱河避暑錄 庚寅元 庚寅元 「庚寅元」詩, “朝鮮內屬來王久, 肯怪衣冠太俗生. 紗帽版袍春入貢, 海隅日出最昇平.” 此李紱作, 字巨來, 臨川人, 有『穆堂集』.
    대표표제어庚寅元朝早朝 | 목차熱河避暑錄

구술자료(29)

  • 와 화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권영복씨가, 역사에는 그렇지 않겠지만 야담에는 화태 편작이가 조조의 손에 죽었다고 하면서 의술에 관한 이야기를 받아 이었다.*
    조사일시1983-07-21 | 조사장소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 제보자권영복
  • 삼촌을 골려 준 의 지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저녁 식사를 마치고 조사자들이 나가서 할아버지 세 분을 모셔왔다. 조사 장소인 임흥기씨 댁에서 지난 보름날 대동회에서 새로 뽑은 동장과 전임 동장의 이 취임 형식의 모임이 있어서 젊은 남정네들도 한 방 그득히 모여 앉았다. 이 조사를 시작한 때는 오후 8시 경이었...
    조사일시1984-02-24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개포면 | 제보자임원기
  • 적벽가 (관운장이 살려주는 대목)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노인회관에 잡다한 이야기를 하던 중에 조사자가 다시 제보가께 이야기나 노래를 하여 달라고 하자 해 준 것이다. 제보가께서 장구를 치면서 불러 준 것을 여러 할아버지들과 함께 들었다. 한 20년전 50대에 북하면 약수리 박금식이란 광대분에게서 배웠다고 한다. *
    조사일시1982-01-13 | 조사장소전라남도 장성군 북일면 신흥리 | 제보자변은섭
  • 정권진 적벽가 음반녹음 ③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16) 3) 적벽가 중 골래종이, 전동다리, 구먹쇠(12:30) 4) 적벽가 중 신세한탄22:10) 5) 적벽가 중 , 장비 피해 도망(24:22)B면 1) 적벽가 중 목숨 애걸(00:00) 2) 적벽가 중 관운장 호령(02:40) 중중모리 “~황건적 패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 정권진 적벽가 음반녹음 ③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16) 3) 적벽가 중 골래종이, 전동다리, 구먹쇠(12:30) 4) 적벽가 중 신세한탄22:10) 5) 적벽가 중 , 장비 피해 도망(24:22)B면 1) 적벽가 중 목숨 애걸(00:00) 2) 적벽가 중 관운장 호령(02:40) 중중모리 “~황건적 패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권진

기초학문(54)

  • 기업 구정의 영역과 성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1784 한국연구재단 한국인사관리학회 2003 기업 구정의 영역과 성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1980년대 한국 해운산업구정정책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상철, 게재일 : 2015
    56386 이상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영사학회 2015 1980년대 한국 해운산업구정정책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신자유주의 구정과 노동자 사회의식의 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5055 한국연구재단 한국산업사회학회 2003 신자유주의 구정과 노동자 사회의식의 변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정 촉진제도에 대한 회계론적 평가2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광윤, 게재일 : 2000
    01978 김광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회계학회 2000 구정 촉진제도에 대한 회계론적 평가2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정 촉진제도에 대한 회계론적 평가1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광윤, 게재일 : 2000
    01981 김광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세무학회 2000 구정 촉진제도에 대한 회계론적 평가1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2000

신문·잡지(256)

  • 視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쳥산군 공부를 거즉 일본농샹무기 즁촌언 이하인은 거월이십구일에 영동군으로죠 본군에 도엿다가 보은군으로가고 일본광산감독셔 부 셔미규랑 이하인은 본월팔일에 보은군으로 죠 본군에도얏다가 황간군으로 젼왕엿다더라
    게재일1905년 10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議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로피임 의졍대신 윤용션씨가 작일부터 츌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6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沈議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로 피임 의졍대신 심슌씨가 작일에 슈 칙고 공다더라
    게재일1902년 5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宮田(ダルマ) 청진 宮田 ダルマ 敷島町 - - 음식점 - - - 淸津商工人名錄,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宮田助造(ダルマ) | 지역청진 | 품목- | 영업종목음식점 | 자료출처淸津商工人名錄, 1932년
  • 崔承宇(大東釀合)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崔承宇(大東釀合) 인천 崔承宇 大東釀合 松林里 204 - 조합 금융업 대부 12 겸업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崔承宇(大東釀造組合)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금융업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멀티미디어(54)

  • 불황과 구정_11주차_1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현대 울산조선소 건설 10주차. 1970년대 수출전문산업으로의 전환2-옥포조선소 건설 11주차. 불황과 구정 12주차. 비약적 성장-세계46위 조선 대국의 명암 배석만 교수 1. 학력 부산대학교 사학과 졸업(학사) 부산대학교 사학과 졸업(석사) 부산대학교
    강좌제목한국 조선산업 발전사 | 강의자배석만 교수
  • 불황과 구정_11주차_2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현대 울산조선소 건설 10주차. 1970년대 수출전문산업으로의 전환2-옥포조선소 건설 11주차. 불황과 구정 12주차. 비약적 성장-세계47위 조선 대국의 명암 배석만 교수 1. 학력 부산대학교 사학과 졸업(학사) 부산대학교 사학과 졸업(석사) 부산대학교
    강좌제목한국 조선산업 발전사 | 강의자배석만 교수
  • 불황과 구정_11주차_3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현대 울산조선소 건설 10주차. 1970년대 수출전문산업으로의 전환2-옥포조선소 건설 11주차. 불황과 구정 12주차. 비약적 성장-세계48위 조선 대국의 명암 배석만 교수 1. 학력 부산대학교 사학과 졸업(학사) 부산대학교 사학과 졸업(석사) 부산대학교
    강좌제목한국 조선산업 발전사 | 강의자배석만 교수
  • 불황과 구정_11주차_4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현대 울산조선소 건설 10주차. 1970년대 수출전문산업으로의 전환2-옥포조선소 건설 11주차. 불황과 구정 12주차. 비약적 성장-세계49위 조선 대국의 명암 배석만 교수 1. 학력 부산대학교 사학과 졸업(학사) 부산대학교 사학과 졸업(석사) 부산대학교
    강좌제목한국 조선산업 발전사 | 강의자배석만 교수
  • 불황과 구정_11주차_5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현대 울산조선소 건설 10주차. 1970년대 수출전문산업으로의 전환2-옥포조선소 건설 11주차. 불황과 구정 12주차. 비약적 성장-세계50위 조선 대국의 명암 배석만 교수 1. 학력 부산대학교 사학과 졸업(학사) 부산대학교 사학과 졸업(석사) 부산대학교
    강좌제목한국 조선산업 발전사 | 강의자배석만 교수

기타자료(173)

  • 조쇠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7743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7면 조쇠암;岩 제1회 1934년 3월 23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장쇠조;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0377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77면 장쇠조;張 경북 달성군 달서면 비산동 667 제20회 4265년 3월 5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오상렬;吳相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4681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校友會誌 제7호 1932―12―13 43면 오상렬;吳相烈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면 도동동 876;경북 의성군청내 朝鮮酒酒합 新令 제9회 1...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상호;金相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4808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17면 김상호;金相鎬 義城세무서내 酒합 舊令제2회 1920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윤정원;尹正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3604 남한 경성 경성공립농업학교 1-07 京農(제8호) 校友會會則會員名簿 1932―03―20 246면 ㅁ1. 교우회회원명부;ㅁ1) 통상회원;ㅁ(5) 제3학년 윤정원;尹正源 안성군 대덕...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한국경제 발전의 숨은 주역: 한국형 자영업 구조의 형성, 진화 그리고 역할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종현 | 가천대학교 | 202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28)

  • / [생활/주생활]

    상례에서 죽은 자의 시신을 사당에 옮겨 조상을 알현하고 하직 인사를 올리도록 하는 의식. 는 발인에 앞서 사당에 모셔진 조상에게 하직 인사를 올리는 의식이다. <주자가례>의 상례 절차에 의하면 발인 하루 전에 빈소에 있던 영구를 사당으로 옮겨 조상을 뵙는

  • 잡기놀이 / [생활/민속]

    여러 사람이 각각 괘를 들고 둘러앉아 중국 삼국시대 위(魏)나라의 간웅(奸雄) 를 찾아내어 벌을 주는 아이들놀이. 놀이방법은, 사람수대로 마련한 종이쪽지에 를 비롯하여 유현덕(劉玄德)·제갈량(諸葛亮)·한신(韓信)·장량(張良)·조자룡(趙子龍)·관우(關羽)와 같은

  • 산업구정 / 産業構調 [사회/사회구조]

    1980년대 후반부터 진행된 새로운 국제분업구조 속에서 한국경제의 지위상승을 도모한 정책. 198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1990년대 초반 본격화된 한국 자본주의의 산업구정은 국제경제 질서의 움직임에서 촉발되었다. 미·일간의 국제수지불균형의 심화에서 시작된 통상마찰

  • 고려첩장불심 / 高麗牒狀不審 [역사/고려시대사]

    1271년 일본의 가마쿠라막부에서 삼별초의 진도(珍島) 정부가 보낸 외교문서를 12조목으로 정리한 문서.외교문서. 삼별초 진도 정부가 일본에 보낸 원문서가 남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작성 주체의 의문 대상이 된 부분만을 단편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그래서 전후 문맥을 알

  • 언사 / 諺詞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문신 이운영과 그의 아들 이희현의 국문가사집. 조선 후기 경종(景宗)~정(正)의 문신 이운영(李運永, 1722~1794)의 「착정가(鑿井歌)」·「순창가(淳昌歌)」·「수로조천행선곡(水路朝天行船曲)」·「초혼사(招魂詞)」·「세장가(說場歌)」·「임천별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