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정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4)
사전(65)
- 조정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의학자(醫學者). [내용] 본관은 횡성(橫城). 자는 중경(重卿). 1728년(영조 4) 동궁의 병을 입진(入診)하였고, 1749년 우리나라 소아과 전문의서의 효시인 『급유방(及幼方)』을 저술하였다. ...이칭별칭 중경(重卿)
- 청상립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대오리로 결어 만들어 푸른색으로 칠을 한 사각형의 갓.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后嘉禮都監儀軌 도청의궤(都廳儀軌)에 보면 청상립(靑箱笠)은 상궁이나 나인들이 착용하였다. 雕刻匠金宗靑箱笠匠高末先等二名風牧丹匠孫尙益以上三等, (책례1721/057ㄱ08~10)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수파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여자들이 머리를 동이는 데 사용되는 헝겊으로 만든 수건.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后嘉禮都監儀軌에 보면 수파(首把: 머리 장식 헝겊)감으로 모단 각 길이 1자 3치 너비 1치 5푼이 필요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擧頭尾首把所入毛段二尺, (책례1651/026ㄴ12...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피립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가례 시 의장군이 쓰는 입자(笠子). 영조정순후가례(英祖貞純后嘉禮) 시 의장군 57명은 홍의(紅衣)와 청의(靑衣)를 입고 피립(皮笠)을 쓰거나 청두건(靑頭巾)과 홍목대(紅木帶)를 하였다.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后嘉禮都監儀軌를 보면 의장군 중 피립을 쓰지 않고...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감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왕의 가례 때 귀유치[歸遊赤]와 내관(內官)이 쓰던 모자.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后嘉禮都監儀軌에서부터 고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高宗明星后嘉禮都監儀軌에 이르기까지 왕의 가례 시 귀유치와 내관 등이 홍주의(紅紬衣)나 자적주의(紫的紬衣), 녹주의(綠紬衣)를 입고 감...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43)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759년(영조35) 영조(英祖, 1694~1776)와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 金氏, 1745~1805)의 가례(嘉禮)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영조는 조선의 제21대 왕으로서, 이름은 금(昑)이다. 숙종(肅宗)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화경숙빈...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영조정순왕후원릉개수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元陵改修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810년(순조 10) 8월에 영조(1694~1776)와 그의 계비 정순왕후 김씨(1745~1777)의 능인 원릉을 개수한 사실을 기록한 책이다. 영조는 조선의 제21대 왕으로 이름은 금(衿), 자는 광숙(光叔), 호는 양성헌(養性軒)이다. 숙종의 세 아들(景宗‧英祖...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다대포(多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570 B038570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肅宗 45年 1月 27日_002 ○下直, 龍潭縣令趙正純, 安興僉使李鳴夏, 多大浦僉使鄭世潝。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대포(多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607 B038607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肅宗 45年 1月 27日_002 ○下直, 龍潭縣令趙正純, 安興僉使李鳴夏, 多大浦僉使鄭世潝。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三人段, 罪犯初不重大, 當此疏滯之日, 不可不特施霈恩, 竝爲放送, 何如? 時囚罪人, 崔元緖·朴大梓等段, 當此悶旱疏決之日, 不係大罪, 而不必仍囚究竟, 今姑放送。 李元坤·李成坤等段, 判付內, 有究詰嚴問之命, 不可徑放, 竝今姑仍囚。 趙正純·任健元·任埅·任邈等四人中, 趙正純則本...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2)
- 1802년(순조 2) 貞純王后‧孝懿王后 尊崇과《[英祖貞純后正祖孝懿后]尊崇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정희, 게재일 : 200401460 이정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802년(순조 2) 貞純王后‧孝懿王后 尊崇과《[英祖貞純后正祖孝懿后]尊崇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유형논문 | 게재일2004
- 1778년(정조 2) 貞純王后의 上尊號와《[英祖貞純后加崇莊祖獻敬后進號]都監都廳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홍순옥, 게재일 : 200414195 홍순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778년(정조 2) 貞純王后의 上尊號와《[英祖貞純后加崇莊祖獻敬后進號]都監都廳儀軌》 https://www.krm.or.kr/krmts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2)
- 工業都市化에 仁川은 水不足 滿洲井式으로 鑿井準備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工業都市化에 仁川은 水不足 滿洲井式으로 鑿井準備 1933년 2월11일 인천 인천 인천항의 공업지대화는 인천부와 인천상...대표표제어工業都市化에 仁川은 水不足 滿洲井式으로 鑿井準備 | 연월일1933년 2월11일 | 지역인천
- 동북조선인민보_1950_1211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는데 조정준 김득경 등은 백여품 몫을 탔고 이성호 신재권 등은 80여품 몫을 타 1년 량식을 해결하였다. 특히 49년부터 호조조에 참가한 최기천은 논밭산량을 많이 냈을뿐더러 그해 겨울에 목재부업을 잘하여 육백만원의 수입으로 금년 봄에 450만원의 소 한 마리와 백여만원...대표표제어동북조선인민보_1950_1211_01
기타자료(2)
- 조정준;趙貞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0838 북한 평남 숭실학교 3-05 회원명부(1938년 9월調) 牟義理 숭실교우회 1938―10―15 109면 2. 영면회원 조정준;趙貞俊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실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정준;趙貞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3457 북한 평남 숭인상업학교 3-06 崇仁(창간호) 숭인학우회 1926 102면 1. 본교졸업생씨명(숭덕고등과);5) 제5회 1906년 조정준;趙貞俊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인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