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전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5)
- 조전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80(선조 13)∼1635(인조 13).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만취(萬聚). 집현전부제학 상치(尙治)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한영(漢永)이며, 한상(漢相)에게 입양되었다. 1600년(선조 33) 진사시에...이칭별칭 만취(萬聚)
- 홍만형(洪萬衡)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永安尉) 정명공주(貞明公主): 선조(宣祖)의 딸, 인목왕후(仁穆王后)의 딸 (형)홍만용(洪萬容) (동생)홍만희(洪萬熙), 홍만회(洪萬恢) (누이)조전주(曺殿周)의 처 여흥민씨(驪興閔氏): 민광훈(閔光勳)의 딸, 민정중(閔鼎重)의 누이, 인현...
- 수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상좌도의 환자[還上] 일반론, 의성의 환폐(還弊), 대구의 환곡 취모율(取耗率), 좌병영(左兵營) 운영, 밀양의 조전작곡(漕錢作穀)의 폐단, 동래 무미표미(貿米標米)의 폐단, 공노비 감공(減貢)에 따른 급대(給代)의 조달, 차정(鹺政: 소금의 생산과 소비)에 따르는...
- 홍주원(洪柱元)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1자)홍만용(洪萬容) (2자)홍만형(洪萬衡) (3자)홍만희(洪萬熙) (4자)홍만회(洪萬恢) (1녀)조전주(曺殿周)의 처 (손자)홍중기(洪重箕), 홍중모(洪重模), 홍중해(洪重楷) (증손)홍현보(洪鉉輔), 홍양보(洪良譜), 홍석보(洪錫輔) (현손)홍봉한(洪鳳漢...
- 정명공주(貞明公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태임(洪台姙): 조전주(曹殿周)의 처 (후손)홍봉한(洪鳳漢),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 홍석보(洪錫輔) (외증손)이인검(李仁儉) [총론] [1603년(선조 36)~1685년(숙종 11) = 83세]. 조선 제14대 왕인 선조(宣祖...
고서·고문서(12)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65_354_255 1565년9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5년 9월 20일 계축. ○당(堂)에 머물렀다. ○주장(鑄匠)이 주전자[煎酒子]를 만들어 와서 주기에, 쌀 4말을 주었다. 廾日癸丑。 廾日癸丑。 ○留。○鑄匠造煎酒子來遺。給米四斗。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8249 B028249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4年 12月 18日_009 ○左副承旨李基敬, 依下敎摘奸後來待矣。 傳曰, 有頉書入, 臣李基敬承命馳往孝昭殿·徽寧殿摘奸, 則徽寧殿執事及進排官俱無頉, 而孝昭殿祝史金應淳不進, 此意敢啓。 以承傳色口傳下敎曰, 事極...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8269 B028269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4年 12月 18日_009 ○左副承旨李基敬, 依下敎摘奸後來待矣。 傳曰, 有頉書入, 臣李基敬承命馳往孝昭殿·徽寧殿摘奸, 則徽寧殿執事及進排官俱無頉, 而孝昭殿祝史金應淳不進, 此意敢啓。 以承傳色口傳下敎曰, 事極...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橫罹伸理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死。牧使執耘田者鞫之,取服。云敬自外至曰:“愚民不忍訊杖,而恐怖失辭耳。” 牧使令云敬更鞫之。卽召田主問曰:“僧過去時,傍有何人?” 田主曰:“有一人,言僧所持布,可充酒價。” 於是拘其人置外,先鞫其妻 【其人之妻】 曰:“某月某日,而夫 【而,汝也】 遺汝布若干。有之否?” 妻曰:“然,夫以布歸曰...권차명欽欽新書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改量者,田政之大擧也。査陳覈隱,以圖苟安。如不獲已,黽勉改量,其無大害者,悉因其舊,釐其太甚,以充原額。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之?有一言以決者,稅若至冤,㽝胡不陳,旣已不陳,其冤未甚矣。牧將汎繩,從者密告于前曰:“此㽝之稅,不過三負,宜增二負,以平民賦。” 嗟呼!金神按節,世無公言,其輕其平,有誰知之?召田主而問之,甘受其增,無是理也。議減而得減者有賂,議增而不增者有賂,此物豈可微搖之乎?故曰:“其無大害者,悉因其舊。”...권차명牧民心書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1)
-
조전주 / 曺殿周 [종교·철학/유학]
1580(선조 13)∼1635(인조 13). 조선 중기의 문신. 집현전부제학 상치 후손으로, 아버지는 한영, 한상에게 입양되었다. 1600년(선조 33) 진사시에 합격한 뒤 1612년 음보로 출사하여 담양부사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