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일수호조규속약”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2년 8월 30일 조선 전권대신 이유원(李裕元)과 일본 관리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 사이에 체결된 전 2조로 된 조약. [내용] 같은 해 6월에 임오군란이 일어나 청일 양국의 군대가 서울에 진주하자, 일본은 개항 이후 미해결로 남아 ...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8038 제도 () 임오군란의 사후 처리를 빌미로 일본 측의 요구사항을 관철시키기 위해 1882년 8월 30일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조약. 1882년 6월 구식 군...
    유형분류제도
  • 제물포(濟物浦)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규(朝日修好條規, 강화도조약)가 체결되었다. 1882년 전권대신 이유원(李裕元)과 전권부관 김홍집(金弘集)이 대일본 판리공사(大日本辦理公使)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와 더불어 인천부 제물포에 회동하여 제물포조약(濟物浦條約)과 ()을 체결...
    유형분류지명
  • 조일수호조규부록(朝日修好條規附錄)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측량선의 긴급피난처리, 제10조 외국선원 조난 때의 일본을 통한 본국송환규정 등이다. 이 협상 때 일본이 성사시키지 못한 제안은 계속 추진되어, 1882년 ()으로 이어진다. 정해식 편, 『구한말조약휘찬(舊韓末條約彙纂)』, 국회도서관...
    유형분류제도
  • 수호조규(修好條規)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수호조규의 세목을 정한 조일수호조규부록과 1882년(고종 19) 8월 임오군란 직후 일본인 자유 활동 지역의 확대를 규정한 에 등장하는 용어이다. 따라서 수호조규는 19세기 일본이 청과 조선 등 동아시아 각국과 체결했던 전근대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과도기...
    관련어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청일수호조규(淸日修好條規), 강화도조약(江華島條約), 운양호(雲壤號), 개항(開港), 통상(通商)

주제어사전(1)

  • / [역사/근대사]

    1882년 8월 30일 조선 전권대신 이유원과 일본 관리공사 하나부사 사이에 체결된 전 2조로 된 조약. 수호조규속약은 조일수호조규부록을 협상할 때 우리측의 강력한 반대로 후퇴할 수 밖에 없었던 간행이정(間行里程)을 확대하는 것과, 일본인 외교관과 그 수행원 및 가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