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인영” 에 대한 검색결과 1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9)

사전(8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哲宗實錄 國朝榜目 雲石遺稿 朝鮮圖書解題(朝鮮總督府, 1932) (1782-1850) 1782(정조 6)∼1850(철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희경(羲卿)| 운석(雲石)| 문충(文忠)
  • 경종태실작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石物)을 흩어놓고는 태봉지기에게 화를 전가시키려고 하였는데, 충청도관찰사 홍희근(洪羲瑾)이 진상을 보고하자 조정에서는 예조판서 ()을 파견하여 진상을 조사하게 한 뒤 주동자 김군첨을 사형에 처하고, 그 밖의 관련자 11인은 먼 섬으로 귀양보냈다. 이듬...
  • 세도정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력을 다시 강화했고 그가 죽은 뒤에는 아들인 김유근(金逌根)이 권력을 계승하여 1834년에 순조가 사망할 때까지 흔들림이 없었다. 순조는 죽기 전에 효명세자의 장인인 풍양 조씨 조만영(趙萬永) 가문에 속한 ()에게 헌종을 돌볼 것을 부탁했다. 그리하여 헌종이...
  • 조수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 인물로 활동했으며 정이조(丁彛祚)‧이단전(李亶佃)‧강진(姜溍)‧조희룡(趙熙龍)‧김낙서(金洛瑞)‧장혼(張混)‧박윤묵(朴允默) 등 여항시인과 사귀었다. 그리고 김정희(金正喜)‧김명희(金命喜)‧()‧조만영(趙萬永)‧한치원(韓致元)‧남상교(南尙敎)‧이만용...
    이칭별칭 지원(芝園), 자익(子翼)| 추재(秋齋), 경원(經?)
  • 요양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바쁘고 어지러움. 治簿之節 自多擾攘 果能有把筆時耶, (), 31-6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48)

주제어사전(9)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2∼1850). 1819년 식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다. 1826년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한 뒤로 이조참의·대사성·세손좌유선 등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1839년 천주교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을 주도하였고, 우의정에 올라《척사윤음》을

  • 춘당유사 / 春堂遺事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문신 변중랑의 유고와 세계·기적 등을 수록하여 1863년에 간행한 실기. 1책. 목판본. 1863년(철종 14) 병암서원(屛嵓書院)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시찬(金是瓚)과 홍석주(洪奭周)의 서문이, 권말에 ()의 발문이 있다. 내용은 세계(世系

  • 공거문회 / 公車文會 [역사/조선시대사]

    정원용(鄭元容)·()·김좌근(金左根), 좌의정 김도희(金道喜)·이헌구(李憲球), 우의정 박회수(朴晦壽) 등 총 95편이다. 제2책 후반부와 제3책 전반부는 중추부로 판부사 박회수, 영부사 , 판부사 권돈인(權敦仁), 지사 김흥근(金興根)에서 행지사 김병

  • 금석과안록 / 金石過眼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실학자 김정희가 진흥왕순수비 가운데 황초령비와 북한산비의 두 비문을 판독·고증한 고증서. 1책. 필사본. 『완당선생전집 阮堂先生全集』 권1에 실려 있는 「진흥왕이비고 眞興王二碑考」에서 제시된 견해를 자세한 고증을 통해 대폭 수정하였다. 끝에는 친구 (

  • 생육신합집 / 生六臣合集 [문학/한문학]

    기자료 및 공사문서 등을 모아 묶은 것으로 조려의 후손 조기영이 여러 자료들을 널리 고찰하여 한 질로 묶었다. 편제는 첫머리에 유상조(柳相祚)의 「생육신선생합집서(生六臣合集序)」에 이어 ()의 서문이 있다. 그 뒤에는 이헌경(李獻慶)의 「경은일고서 (耕隱逸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