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인규” 에 대한 검색결과 1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8)

사전(67)

  • 조연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278(충렬왕 4)∼1325(충숙왕 12).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평양(平壤). 초명은 후(珝). 자의도첨의사사(咨議都僉議司事) 인규(仁規)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충렬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도진령...
    이칭별칭 문극(文克)
  • 최충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당시 권신인 ()의 딸이 왕비가 되었는데, 이때 “인규의 처가 신(神)과 무(巫)를 섬겨 왕으로 하여금 공주를 사랑하지 않고 그 딸을 사랑하도록 저주한다.”라는 익명의 투서로 인규와 함께 사위인 최충소도 연루되어 공창(鞏昌)에 유배되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237(고종 24)∼1308(충렬왕 34).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평양(平壤). 자는 거진(去塵). 아버지는 금오위별장 영(瑩)이다. 평양부(平壤府) 상원(祥原)의 미미한 가문 출생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
    이칭별칭 거진(去塵)| 정숙(貞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조방목(國朝榜目)』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명가필보≫ 중 의 필적....
  • TD_L14_D_2491 인물 咨稟, 平壤伯, 致仕, 居家, 大事, 僉議密直 勝覽 D_12_05_22 대동운부군옥 12권 5장 2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5장 2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5)

  • 2_008338 18211_0652 奎18211 明禮宮(1887) 황해도 황주목 永豊坊 敬天里 황해도 황주목 永豊坊 敬天里 50 50결 () ()
    자료번호18211_0652 [奎18211]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2_008360 18211_0674 奎18211 明禮宮(1887) 황해도 황주목 永豊坊 敬天里 황해도 황주목 永豊坊 敬天里 10 10결 () ()
    자료번호18211_0674 [奎18211]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4568 B014568 강도 江都 정치행정 『高麗史』 30卷, 世家30 忠烈王3 忠烈王[辛卯]十七年 九月 乙未 以洪子藩判典理司事世子師 判軍簿司事世子傅 廉承益判版圖司事世子保 鄭可臣爲僉議贊成事世子貳師 金忻判密直司事⁄命判三司事韓希愈知密直司事柳陞留鎭江都命被兵州郡蠲免租...
    출처전거『高麗史』 30卷, 世家30 忠烈王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748 B048748 대청도 大靑島 도서 인천광역시 高麗史 권110 列傳23 [列傳23] 崔有渰 崔有渰平章事滋之子 性恬退不求名仕宦十年不遷 忠烈久聞其名卽位除監察雜端 遷侍丞上*䟽直言時事忤旨流大靑島 承旨白王曰 有渰勵節奉上不可輕弃 固請再三王怒稍解召還復職 侍史沈*양等...
    출처전거高麗史 권110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768 B048768 대청도 大靑島 도서 인천광역시 高麗史節要 卷之二十 忠烈王 五年 十二月 十二月 遣大將軍兪洪愼 如元賀正以許珙 同修國史 薛公儉 知密直司事 宋玢 李尊庇 同知密直司事 朴球 爲密直副使⁄流監察侍丞崔有渰于大靑島 以論時務 直言忤旨也 承旨 言於王曰 有渰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二十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16)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0358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1면 1. 동창회명부;1) 영생학교 졸업생;(11) 제11회(1921년) ; 선천 美東병원;평북
    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8287 남한 경성 욱의학전문학교 동창회명부(1943년 4월 현재) 1943 26면 ; 함남 제15회 1925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8719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30면 ; 함남;宣川 美東病院 제15회 1925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0531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96면 ; 경북 선산군 구미면 신평동 320 제22회 4267년 3월 5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8337 남한 경성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1-33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일람 1934 116면 2. 제7편. 졸업생일람;1) 졸업생명부;(15) 1925년;a. 본과12명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237(고종 24)∼1308(충렬왕 34). 고려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조영이다. 평양부 상원의 미미한 가문 출생이었으나 몽고어 통역관으로 출세해 충선왕의 장인이 되었으며 권문세가의 반열에 올랐다. 그의 아들은 조서, 조련, 조연수, 조위 등인데, 모두 재상의 지위

  • 상원 / 祥原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중화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식달현(息達縣)이었는데, 신라 헌덕왕 때 토산현(土山縣)으로 고쳤고, 1018년(현종 9) 황주(黃州)에 귀속시켰다. 1322년(충숙왕 9) 공신 ()의 고향이라 하여 상원으로 고치고 군으로 승격시켰고,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