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윤형” 에 대한 검색결과 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

사전(2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완구유집(宛丘遺集)』 영정 1725(영조 1)∼1799(정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 (1725-1799)...
    이칭별칭 치행(穉行)| 송하옹(松下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훈장 등을 받았다. (1932-1996) 1932∼1996. 정치가.
  • 염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글씨를 씀. 就此去表石字 因主家之求 柳法依樣染出, (), 22-28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서염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심한 더위. 無前暑炎 能無他故否 阻愈爲勞, (), 22-28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출입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들쑥날쑥함. 不失筆意 則些少出入長短 不足爲欠也, (), 22-28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9)

  • 爲禮曹參判, 李重馥爲兵曹參判, 李時秀爲大司成, 鄭民始爲判義禁, 兪彦鉉爲同義禁, 洪檍爲右尹, 李魯在爲童蒙敎官, 李長演爲典獄參奉, 李一曾爲春川府使, 朴崙壽爲兵曹佐郞, 金龍浩爲崇靈殿參奉, 兼喬桐府使單南憲喆。 戶曹佐郞李勉齊, 永陵令朴澈源相換, 書題單李命祐, 前郡守今加通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趾光, 錦山郡守李運永, 杆城郡守李最源, 沃川郡守鄭東協, 加平郡守, 大興郡守尹光濩, 載寧郡守金基厚, 淳昌郡守洪守榮, 安城郡守李天穆, 信川郡守尹行儼, 高陽郡守李素, 益山郡守鄭東愈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讀宣諭別諭訖。 命退出。 上曰, 差使員守今, 以次入侍, 進奏職姓名, 可也。 載寧郡守洪善養進奏。 上曰, 昨年年事, 何如? 善養曰, 免?矣。 加平郡守進奏。 上曰, 年事??, 何居? 允亨曰, 昨年則稍登矣。 金城縣令李敬魯進奏。 上曰,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府使金履鐸, 咸安前郡守呂萬永, 慈仁前縣監柳雲羽, 漆原前縣監姜膺煥,星州牧使, 前牧使李廷恢, 鎭海前縣監崔秉敎, 金海府使趙?, 盈德縣令趙亨逵, 竝拿問處之事。 榻前定奪 上曰, 兵判進前回啓。 命植曰, 因嶺南御史沈基泰書啓, ?帥·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1 第十一統統首김鳳喜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四戶 寡朴姓年肆拾參戊子本密陽父師默祖文淳曾祖守儉外 伋本坡平子李致碩年貳拾貳己酉本慶州婦鄭姓年貳拾貳己酉本延日 奴卜男年甲午前逃亡等丁卯戶口相准 第五戶 寡김召史年伍拾玖壬申本김海父南山祖元太曾祖萬奉外祖朴連 孫本密陽孫女年拾參戊午等丁卯戶口相准
    연도_면이름187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二十一路上里

신문·잡지(3)

  • 국무위원(문교 윤천주)해임건의의건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6) 정치교수·정치학생 논쟁 국무위원(문교 윤천주)해임건의의건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5년 4월 22일 국회사무처 국회회의록 제6대국회 제49회(7차)(pp.1-4) 회의록 4 이 글은 의원이 윤천주 문교부장관의 해임건...
    대표표제어국무위원(문교 윤천주)해임건의의건 | 자료유형회의록 | 집필자국회사무처 | 출처국회회의록 제6대국회 제49회(7차)(pp.1-4) | 키워드윤천주 문교부장관 해임건의안, 한일협상 반대 학생운동, 학생 사망, 조윤형, 김중배
  • 편집실 24 재덕겸비한 인물-전예용 씨 한은총재 29 이룩되는 정계삼총사-유석의 유지 받들을 군 30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0
  • 현 42 60년 10월호의 의원 48 광고4 49 교수재임용제도 첫 탈락자 성낙돈...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90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725∼1799. 조선후기의 문신. 부친은 조명교, 어머니 윤춘교의 딸이다. 문음과 학행으로 천거되어 1766년(영조 42)처음 벼슬길에 나간 이후의 관력을 서술했고, 특히 그림과 글씨에 능했는데, 공사간의 비문들이 대부분 그의 손으로 이루어졌음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