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유수” 에 대한 검색결과 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

사전(10)

  • 후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의 시문집. [내용] 8권 4책. 목판본. 권1∼6에 시 1,017수, 권7에 행장‧묘지명‧묘표 각 3편, 묘갈 2편, 제문 5편, 권8은 소(疏) 1편, 서 (序) 4편, 기(記) 2편, 상량문 2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63(현종 4)∼1741(영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의중(毅仲), 호는 후계(後溪). 할아버지는 예조판서 형(珩)이고, 아버지는 현감 상변(相抃)이다. [내용] 16...
    이칭별칭 의중(毅仲)| 후계(後溪)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유진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장소저와 혼례시키고, 김인함 또한 댁과 혼례시킨 후 행복을 누린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죽천재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이 실려 있으며, 또한 안치택(安致宅)이 쓴 「죽천재기(竹泉齋記)」를 비롯하여 기미(奇瀰)‧() 등이 지은 차운시가 수록되어 있다.

고서·고문서(35)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663(현종 4)∼1741(영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형, 아버지는 상변이다. 1688년 관학의 유생으로서 박세채의 신원을 상소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694년 천거로 희릉참봉을 거쳐, 장흥고주부·연풍현감·옥천군수·회양부사를 지냈고, 이어 선

  • 후계집 / 後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의 시문집. 8권 4책. 목판본. 권1∼6에 시 1,017수, 권7에 행장·묘지명·묘표 각 3편, 묘갈 2편, 제문 5편, 권8은 소 1편, 서 4편, 기 2편, 상량문 2편, 간독 19편, 잡저 24편, 부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잡저의

  • 순암집 / 順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병성의 시문집. 6권 3책. 활자본. 형 병연과 아들 도중이 수집한 것을 1741년(영조 17) 이질인 유엄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어유봉과 윤봉조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유엄·유최기의 발문이 있다. 권1∼4에 시 718수, 권5·6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