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조유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
사전(10)
- 후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조유수(趙裕壽)의 시문집. [내용] 8권 4책. 목판본. 권1∼6에 시 1,017수, 권7에 행장‧묘지명‧묘표 각 3편, 묘갈 2편, 제문 5편, 권8은 소(疏) 1편, 서 (序) 4편, 기(記) 2편, 상량문 2편,
- 조유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63(현종 4)∼1741(영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의중(毅仲), 호는 후계(後溪). 할아버지는 예조판서 형(珩)이고, 아버지는 현감 상변(相抃)이다. [내용] 16...이칭별칭 의중(毅仲)| 후계(後溪)
- 조유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유진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장소저와 혼례시키고, 김인함 또한 조유수댁과 혼례시킨 후 행복을 누린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죽천재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등이 실려 있으며, 또한 안치택(安致宅)이 쓴 「죽천재기(竹泉齋記)」를 비롯하여 기미(奇瀰)‧조유수(趙裕壽) 등이 지은 차운시가 수록되어 있다.
고서·고문서(35)
- 黃海道 庄土文績_제58책 : 黃海道-長連郡殷栗郡-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 26. 乾隆十一年丙寅十二月初一日曹留守宅奴世札處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6057 奎 19303 黃海道 庄土文績 제58책 : 黃海道-長連郡殷栗郡-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 58-026 26. 乾隆十一年丙寅十二月初一日曹留守宅奴世札處明文 토지매매문기 1 41.7x42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4...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黃海道 庄土文績_제25책 : 黃海道長連郡殷栗郡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96. 乾隆十一年丙寅十二月初十日 曺留守宅奴世禮處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0944 奎 19303 黃海道 庄土文績 제25책 : 黃海道長連郡殷栗郡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25-096 96. 乾隆十一年丙寅十二月初十日 曺留守宅奴世禮處明文 토지매매문기 1 48.6x40 한지, 관인 무, 수결, 첨지 1장 ...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후계집(后溪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원사_元史44 本紀44 順帝7 至正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1922 중국 정사 원사 본기 521 공민왕(恭愍王) 4 1355 1 1 元史44 本紀44 順帝7 至正 十五年春正月戊午朔 以中書平章政事搠思監提調留守司 宣徽使黑厮為中書平章政事 河南行省左丞許有壬為集賢大學士 遼陽行省左丞奇伯顏不花陞本...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공민왕(恭愍王) 4
- 1 第一統統首김乃官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貴才本密陽女年拾陸壬子等甲子戶口相准 第三戶 黃山道驛吏鰥夫尹得千年伍拾肆甲戌本坡平父順卜祖有守 曾祖奉學外祖朴日東本密陽女年拾貳丙辰等甲子戶口相准연도_면이름1867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二十二牛家里
주제어사전(3)
-
조유수 / 趙裕壽 [종교·철학/유학]
1663(현종 4)∼1741(영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형, 아버지는 상변이다. 1688년 관학의 유생으로서 박세채의 신원을 상소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694년 천거로 희릉참봉을 거쳐, 장흥고주부·연풍현감·옥천군수·회양부사를 지냈고, 이어 선
-
후계집 / 後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조유수의 시문집. 8권 4책. 목판본. 권1∼6에 시 1,017수, 권7에 행장·묘지명·묘표 각 3편, 묘갈 2편, 제문 5편, 권8은 소 1편, 서 4편, 기 2편, 상량문 2편, 간독 19편, 잡저 24편, 부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잡저의
-
순암집 / 順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병성의 시문집. 6권 3책. 활자본. 형 병연과 아들 도중이 수집한 것을 1741년(영조 17) 이질인 유엄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어유봉과 윤봉조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조유수·유엄·유최기의 발문이 있다. 권1∼4에 시 718수, 권5·6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