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조위” 에 대한 검색결과 3,3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64)

사전(48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287(충렬왕 13)∼1348(충목왕 4).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설] 자는 계보(季寶). 평양부(平壤府) 상원출신. 충렬왕 때 자의 도첨의사사(咨議都僉議司事)를 지낸 인규(仁規)의 아들이다. 9세에 아버지의 문음(門蔭)으로 ...
    이칭별칭 계보(季寶)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州志)』 (1454-1503). 조선 중기의 문신. (1454-1503)
    이칭별칭 태허(太虛)| 매계(梅溪)| 문장(文莊)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시대의 관등. [내용] 일명 선저지(先沮知)라고 하였다. 17등 관계(官階) 중의 제17등 관계이다. 사두품(四頭品) 이상이면 받을 수 있는 관등으로, 공복(公服)의 빛깔은 황색이었다. 『삼국사기(三...
    이칭별칭선저지(先沮知)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성종의 때의 신하이다. 풍채와 문장이 당시에 으뜸이다. 눈이처음 개고 달이 밝은 밤에 책을 읽던 중 어떤 궁녀가 들어와 사모의 정을 얘기하자 좋게 타이르며 거절한다. 상심한 궁녀가 자결하려 하자 깜짝 놀라 이를 말리고 궁녀의 마음을 받아들여 동침한다. 다음날 일어나 보...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G1_D_0122 국제관계 遣使, 上表, 乞救, 來侵, 朝貢, 國諱, 帝系, 諱, 謝恩 高勾麗, 北 盖鹵王, 魏主, 長壽王 濟史, 勾史 D_13_05_10 대동운부군옥 13권 5장 1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5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韓國學研究論文集(四)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
    저자 : ...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5.12.
    유형단행본
    , 대중음악 그리고 극영화예술로의 이행 - 최세훈ŸŸ ‧ 台籍學生的韓語模組: 以單詞與聲調詞主 - 林智凱ŸŸ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터넷 신문 교육 방안에 대한 소고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 소 미ŸŸ

고서·고문서(2,648)

  • 宋名臣言行錄 前集 卷三 【武穆公】 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56 【武穆公】 字寶臣武惠王之子以父任補官位至樞密配享真宗廟庭 知渭州圖涇原環慶兩路山川城郭戰守之要以獻真宗留其一樞密院以其一付本路使諸將出兵皆按圖議事 曹侍中將薨太宗親臨視之問以後事對曰臣無可言固問之對曰臣二子璨與...
    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예맥의 조공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14-10-11 『冊府元龜』 卷968 外臣部 朝貢1 예맥 예맥의 조공 261년 경원(景元) 2년 11379쪽 3832쪽 11208쪽 본 기사는 위나라 진류왕 때인 경원 2년에 한과 예맥이 조공한 사실을 전한다. 陳留王 景元二年七月 樂浪外夷韓濊貊 各率其屬來朝貢 (...
    권차『冊府元龜』 卷968 外臣部 朝貢1 | 연도261년 | 기사해제본 기사는 위나라 진류왕 때인 경원 2년에 한과 예맥이 조공한 사실을 전한다.
  • 부여의 지원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14-11-6 『冊府元龜』 卷973 外臣部 助國討伐 부여 부여의 지원 246년 정시(正始) 7년 11431쪽 3864쪽 11263쪽 본 기사는 위나라 제왕 때인 정시 7년(246) 관구검이 고구려를 토벌하고 현도태수를 부여에 보냈는데, 이때 부여에서 이들에게 군...
    권차『冊府元龜』 卷973 外臣部 助國討伐 | 연도246년 | 기사해제본 기사는 위나라 제왕 때인 정시 7년(246) 관구검이 고구려를 토벌하고 현도태수를 부여에 보냈는데, 이때 부여에서 이들에게 군량을 제공한 사실을 전한다.
  • 의 예맥 정벌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14-17-5 『冊府元龜』 卷983 外臣部 征討2 예맥 의 예맥 정벌 246년 정시(正始) 7년 11552쪽 3938쪽 11385쪽 본 기사는 위나라 제왕 때인 정시 7년(246) 관구검이 고구려를 토벌한 사실과 한나해 등 수십국이 항복했다는 내용을 전한다. 齊王...
    권차『冊府元龜』 卷983 外臣部 征討2 | 연도246년 | 기사해제본 기사는 위나라 제왕 때인 정시 7년(246) 관구검이 고구려를 토벌한 사실과 한나해 등 수십국이 항복했다는 내용을 전한다.
  • 1848년 록(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조객록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조객록 | 현소장처안동 수곡 전주유씨 무실 종가

기초학문(3)

  • 詩의 天機描出樣相과 그 意味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호진, 게재일 : 2005
    13000 유호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5 詩의 天機描出樣相과 그 意味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 西晉時期 幷州 匈奴社會 - 五胡十六國의 前奏曲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재훈, 게재일 : 2010
    51755 정재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앙아시아학회 2010 , 西晉時期 幷州 匈奴社會 - 五胡十六國의 前奏曲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魏晋南北朝의 ‘遼東’ 認識과 高句麗 : 의 ‘遼東’ 遠征과 그 歷史的 意味를 중심으로_pre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성제, 게재일 : 2005
    06993 이성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2005 魏晋南北朝의 ‘遼東’ 認識과 高句麗 : 의 ‘遼東’ 遠征과 그 歷史的 意味를 중심으로_pre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47)

  • 민세안재홍전집 : 金九金奎植兩氏 政治犯釋放要請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626 1948 2 7 1 1 金九金奎植兩氏 政治犯釋放要請 신문 동아일보 1면 1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메논, UN, 유엔, 朝鮮委員會, 協議 A19480207동아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督捧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졍삼품 장용급씨 경상남북도 역둔토도조 미슈독관을피명얏고 졍삼품 완규씨 젼라남북도 역둔토구미슈독봉관을 피명고 함경남북도 각광감리 리쥬건에 졍삼품 렴홍진씨가피명고 죵이품 방응쥬씨 평안남도 슈원을피명얏더라
    게재일1905년 10월 31일 | 기사분류잡보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命全羅南北道驛屯舊未納督捧官 正三品 白元圭以上十月廾五日 解咸鏡南北道各礦△理 六品 李柱健 命咸鏡南北道各礦監理正三品△弘鎭 命平安南道收員從二品方興周 任陸軍副將 從一品閔丙奭以上十月廾六日
    게재일1905년 10월 31일 | 기사분류관보
  • 용 16 소련 미소정책의 연혁 미주노련자유노원회 22 23쪽까지 소련 미소정책의 연혁-계획적인 대환영 미주노련자유노원회 23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6
  • 민세안재홍전집 : 平和를𧰼徵하는유엔旗下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605 1948 1 14 1 1 平和를𧰼徵하는유엔旗下 初日부터熱烈한討議 유엔第一次會議經過 신문 동아일보 1면 1단 기사 국제정세 간접자료 선집외 朝鮮問題, UN, 유엔, 朝鮮委員會 A19480114동...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기타자료(84)

  • 사신을 보내 연호 개정을 축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사신을 보내 연호 개정을 축하하다. 교류담당 237년(丁巳/신라 조분이사금 8/고구려 동천왕 11/백제 고이왕 4/ 景初 1/倭 神功 37) 고구려 ...
    대표표제어사신을 보내 연호 개정을 축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237년(丁巳/신라 조분이사금 8/고구려 동천왕 11/백제 고이왕 4/曹魏 景初 1/倭 神功 37)
  •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사신을 보내 화친을 맺다. 교류담당 234년(甲寅/신라 조분이사금 5/고구려 동천왕 8/백제 구수왕 21, 고이왕 1/ 靑龍 2/倭 神功 34) 고구...
    대표표제어사신을 보내 화친을 맺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234년(甲寅/신라 조분이사금 5/고구려 동천왕 8/백제 구수왕 21, 고이왕 1/曹魏 靑龍 2/倭 神功 34)
  • 사신을 보내 조공하고 좋은 말 10필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倭 繼體 17) 고구려 고구려→북위 【번역】 11월에 사신을 위나라에 보내 조공하고 좋은 말 10필을 바쳤다. (󰡔三國史記󰡕 19 高句麗本紀 7 安藏王 5年) 【원문】 十一月 遣使 進良馬十匹 (󰡔三國史記󰡕 19 高句麗本紀 7 安藏王 5年)
    대표표제어사신을 보내 조공하고 좋은 말 10필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23년(癸卯/신라 법흥왕 10 建元 8/고구려 안장왕 5/백제 무령왕 23, 성왕 1/梁 普通 4/倭 繼體 17)
  • Labor Policy Coordinating Committee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Joe W. Parrack, Capt, AGC, Asst Adj Gen CZAG-P 숙명여자대학교 유엔군사령관과 주한 미 대사가 노동정책협원회 개최에 합의하였으며, 노동정책협원회의 임무와 위원회에 참석하는 인원들의 명단...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Joe W. Parrack, Capt, AGC, Asst Adj Gen | 수신자CZAG-P
  • 이타인이 고구려 부흥군을 정벌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이미 촉한(蜀漢)의 강유(姜維)가 ()에서 난리를 일으켜 다시 성도(成都)를 함락시켰듯이, 수혈(穟穴)에 요사스러운 기운을 길게 늘여 예(穢)의 경계에서 문득 나부끼게 하였다. 이타인(李他仁)은 또 조서를 받들어 부여(夫餘)로 나아가 토벌하고 적의 우두머리를 거...
    대표표제어이타인이 고구려 부흥군을 정벌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0년(庚午/신라 문무왕 10/唐 總章 3, 咸亨 1/倭 天智 9/庚午)

주제어사전(28)

  • / [종교·철학/유학]

    1454(단종 2)∼1503(연산군 9). 조선 전기의 문신. 조경수의 증손, 할아버지는 조심, 아버지는 조계문이다. 어머니는 유문의 딸이다. 1472년(성종 3) 생원·진사시에 합격, 1474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정자·예문관검열, 홍문관정자·저작·박사·수

  • 경 / [종교·철학/유학]

    1698년(숙종 24)∼1780년(정조 4). 조선 후기 성리학자. 부친은 조언철이다. 경전을 익히며 학문에 매진하였다. 남을 대할 때에도 한결같이 예의에 어긋나지 않아서 사람들로부터 군자다운 모습을 지녔다는 칭송을 받았다. 박손경과 이상정·이광정 형제들과 도의로 교

  • 소위장군 / 將軍 [정치·법제/법제·행정]

    將軍)으로 개칭되었다.

  • 사장학 / 詞章學 [종교·철학/유학]

    문장과 시부를 중시한 학문. 조선 중종 때 도학을 중시하는 조광조 일파에 대해 한문학도 무시할 수 없다고 나선 문학 중심의 학파를 지칭한다. 대표적 인물로는 김일손, 남효온, , 남곤 등이다.

  • 부담 / [문학/구비문학]

    적인 동기는 이 책 둘째 면에 있는 다음과 같은 일화로 말미암은 것이다. 한(韓)은 이항복(李恒福)의 벗으로 말을 잘하고 해학을 즐기었다. 하루는 한이 이항복의 집으로 놀러 오니, 마침 이항복이 외출하고 없었으므로 문 위에 “부담천자(浮談天子) 붕(崩)하다.